항목

  • 로젠바흐 A(braham) S(imon) W(olf) Rosenbach
    미국의 서적·필사본 수집가, 상인(→ 장서).|탄탄한 학식과 특출난 사업수완을 겸비했다. 그가 정리한 문헌자료집인 〈미국의 초기 아동서적 Early American Children's Books〉(1933)은 표준 참고서로 쓰이고 있다. 1930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 로젠바흐 서지학회를 세웠으며 1950년에는 책, 그림, 기타 예술품에 ...
    출생 :
    1876. 7. 22, 미국 필라델피아
    사망 :
    1952. 7. 1, 필라델피아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 Friedrich Julius Rosenbach
    인물 정보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Anton Julius Friedrich Rosenbach, 1842년 12월 16일 ~ 1923년 12월 6일)는 독일의 의사이자 미생물학자이다. 그는 1884년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과 표피포도상구균(S. albus, 현재는 S. epidermidis)을 구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농성연쇄상구균...
    도서 위키백과
  • 마르셀 로젠바흐, 위키리크스 vs. 저널리즘
    투입하는 기성 미디어의 몫이라 해야 옳을 것입니다. 물론 블로거도 원한다면 문건에 접속하여 기자가 취재한 바를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마르셀 로젠바흐(ROSENBACH, Marcel) 〈슈피겔〉 기자 & 《위키리크스》 공동 저자 마르셀 로젠바흐는 2001년부터 독일의 대표적 주간지 〈슈피겔〉의 기자로 활동해왔다...
  • 이다은
    외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 송유빈 외 파워레인저 애니멀포스 - 어린 조하늘 외 파워레인저 갤럭시포스 - 최지웅(리틀베어 스카이블루) 던전앤파이터 - 오베리아 로젠바흐, 타나 마비노기 영웅전 - 레서웹 인용 메이플스토리 - 아델 쿠키런: 킹덤 - 슈크림맛 쿠키, 설원 마을 아이 블랙 위도우 - 위도우(난나 블론델...
    도서 위키백과
  • 화농성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pyogenes, 化膿レンサ球菌
    근막을 파괴한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시 류마티스열이 발생해 콩팥, 심장에 해를 끼친다. 성홍열이 일어나 분홍색 발진이 생기고 작은 혈관들이 손상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패혈성 인두염으로 고열, 기침이 발생하며 편도와 림프절이 부풀어오른다.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 프리드리히 뢰플러 분류군 식별자
    도서 위키백과
  • 줄리어스 Julius, ユリウス
    독일의 동양학자, 탐험가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 · 군인 율리우스 폰 작스: 독일의 식물학자 율리우스 톰센: 덴마크의 화학자 율리우스 파울루스: 고대 로마의 법률가 에밀 율리우스 굼벨: 독일계 유대인 수학자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 독일의 의사이자 미생물학자 동명이인
    도서 위키백과
  • 제21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트랜스옥시아나 드림 - 알마굴 멘리바예바 정상성(작업중) - 히토 스테옐 기억이 나를 속일 수 있는 것처럼 - 마르셀 오덴바흐 여자를 위한 춤 - 울리케 로젠바흐 선 인 유어 헤드 - 볼프 보스텔 La Course a la saucisse - 알리스 기-블라쉐 Le Lit a roulette - 알리스 기-블라쉐 댄스, 걸, 댄스 - 도로시 아즈너 감각...
    도서 위키백과
  • 1842년 1842, 1842年
    오페라 작곡가 쥘 마스네. (~1912년) 12월 2일 - 영국의 축구 행정가 찰스 윌리엄 앨콕. (~1907년) 12월 16일 - 독일의 의사이자 미생물학자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 (~1923년) 조선 후기의 문신 김홍집. (~1896년) 조선 후기의 성서번역가 이수정. (~1886년) 조선 후기의 무신 이재명. (~?) 대한제국의 문신...
    도서 위키백과
  • 황색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黄色ブドウ球菌
    이후 현미경을 통해 형태를 확인한 결과 포도알과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Staphylococcus이라 명명하였다. 이후 독일의 과학자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가 백색포도상구균(S. albus, 현재 학명은 S. epidermidis)으로부터 황색포도상구균을 동정하였다. 1930년대 초에 의사들은 응고효소 검사를 통해 황색포도상구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마르셀 로젠바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