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년대 스위스 로잔 아카데미의 발라에 의해 성립되어 파레토 등에 의해 계승·발전된 근대 경제학파.|모든 경제현상을 '일반적 균형관계'로 파악한 이들은 수학적 방법을 사용해 그 상호관계를 엄밀히 규정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수리경제학파라 불리기도 했다. 일반균형이란 부분 또는 특수균형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로잔학파(Lausanne School) 또는 수학파는 레옹 발라스와 빌프레도 파레토를 둘러싼 신고전파 경제학파를 가리킨다. 이 학파는 발라스와 파레토가 교수직을 맡았던 로잔 대학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폴란드 경제학자 레온 위니아르스키(Leon Winiarski)도 로잔학파의 회원이었다고 한다. '로잔학파'라는 용어는 수...
경제학파의 이론적 기초를 세운 것으로 널리 인정을 받았다. 이 학파는 뒷날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에 의해 계승·발전되어 로잔학파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발라는 고전 역학에서 자주 사용된 연립방정식의 해법을 경제학에 적용했다. 그의 연구는 '완전경쟁'의 가정하에 생산요소...
기업인 파레토를 학계로 끌어들인 사람은 한계효용가치론으로 유명한 레옹 발라스. 후임자로 파레토를 골랐다. 20세기 수리경제학의 기반인 로잔학파가 여기서 생겼다. 스위스 로잔대학에서 그의 강의를 가장 경청한 학생은 징집을 피해(1차 대전에는 참전) 유학 중이던 무솔리니. 선거와 의회민주주의의 한계를 지적...
이같은 효용가치설의 한계에 대한 비판은 가치의 수량화를 대체하기 위해 가격과 수요 간의 수요함수를 주장한 G. 카셀이나, 일반균형이론을 제시한 로잔학파 등에 의해 마침내 가치론무용설로 이어졌다. 실제로 오늘날의 경제학은 가치론을 전제로 한 '마르크스경제학'과 가치론을 부정하는 '근대경제학'의 2가지 흐름...
로잔학파의 시조 L. 발라가 창시했으며 V. 파레토, J. R. 힉스, P. A. 새뮤얼슨, K. J. 애로, G. 드브뢰 등에 의해 계승·확장되었다. 자유기업제도하의 가격기구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되며, 가격기구가 가장 이상적으로 기능하는 완전경쟁시장의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일반균형이론은...
논리경험주의 철학자이자 빈 학파로 알려진 유럽 실증주의 철학학파의 지도자이다. 하이델베르크와 스위스 로잔에서 물리학을 공부했고, 베를린에서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와 함께 공부했다. 물리학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 〈현대논리학에서 본 진리의 본질 Das Wesen der Wahrheit nach der modernen...
로잔 대학교 정치경제학 교수였던 발라스는 로잔 대학교 경제학 교수이자 후계자였던 빌프레도 파레토와 함께 한계주의의 분파인 로잔학파를 세웠다. 1892년 교수 자리에서 은퇴했으나 로잔 대학교 명예 교수로서 몽트뢰에서 계속해서 연구를 했다. 발라스의 대표작들의 대부분은 은퇴한 이후에 쓴 것들이다. 1896년에는...
경제학자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학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오스트리아 학파: 카를 멩거, 조지프 슘페터,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로잔학파: 레옹 발라스, 빌프레도 파레토 제번 학파: 윌리엄 제번스, 앨프리드 마셜, 아서 세실 피구 Backhouse, Roger E. "Marginal Revolution." eds. Steven N...
기관 등 세계적인 리서치하우스로 명성이 높다. 맨체스터대학교는 산업과 경제학에 대한 학문적 발전에 기여 하였으며 케임브리지학파, 오스트리아학파, 로잔학파, 시카고학파와 경쟁하는 맨체스터학파의 유산을 태동시켰다. 25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이 대학을 나왔으며, 각종 세계 대학 순위에도 상위권으로 이름을...
대표했다. 오스트리아 학파는 카를 멩거,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 프리드리히 폰 비저로 구성되어 자본 이론을 발전시키고 경제 위기를 설명하려고 했다. 로잔학파는 레옹 발라스와 빌프레도 파레토가 주도하여 일반 평형 이론과 파레토 효율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시대에 경제학은 처음으로 대학에 독립된 학과로 개설...
이암블리코스 학파는 정교한 형이상학적 사변을 강조했다. 이암블리코스와 마찬가지로 프로클로스도 그리스도교에 대항했고 이교 신앙을 열정적으로 옹호했다. 신플라톤주의 관념론자로서 사상이 실재를 포함하는 반면 구체적 '사물'은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궁극적 실재인 '일자'가 신이자 선이며 자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