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로스해물 Ross seal
    남극에 사는 물범과 동물. 크기는 2.3~3m 정도이고, 무게는 150~215kg 정도이다. 육식성이다. 높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정의 포유강 식육목 물범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Ommatophoca rossi’이다. 원산지는 남극해이며, 식성은 육식성이다. 크기는 약 2.3~3m, 무게는 약 150~215kg이다. 높은 위기...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물범과
    원산지 :
    남극해
    크기 :
    약 2.3m ~ 3m
    무게 :
    약 150kg ~ 215kg
    학명 :
    Ommatophoca rossi
    식성 :
    육식
    멸종위기등급 :
    높은위기
  • 로스해물 Ross seal, ロスアザラシ
    생물 분류 로스해물(Ommatophoca rossii)은 물범과에 속하는 물범의 일종으로 모두 남극 대륙의 유빙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로스해물범속 (Ommatophoca)의 유일종이다. 1841년 로스(James Clark Ross)의 영국 남극 탐사 기간 동안에 처음 기술되었으며, 남극 기각류 중에서 가장 작고, 개체수가 적으며 덜 알려진 종...
    도서 위키백과
  • 남극대륙의 동물
    포유류는 모두 바다에 사는 것으로, 작은 곱등어류·돌고래류·고래류 등이다. 남극 수렴선 남쪽에는 바다사자류만이 살고 있으며 웨들해물·게잡이물범·얼룩무늬물범·로스해물 등의 물범류는 남극대에 서식하고 있는 거의 유일한 포유류이다. 남극대 남쪽과 남극 수렴선 사이에는 코끼리물범류 등이 서식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극
  • 남방물범아과 Monachinae
    생물 분류 남방물범아과(Monachinae)는 물범과를 형성하는 2개 아과 중의 하나이다. 열대와 아열대 바다의 몽크물범, 웨들해물로스해물, 게잡이물범, 얼룩무늬물범 등과 같은 남극 물범류를 포함하고 있다. 가장 크고 강력한 남방코끼리물범이 가장 대표적인 표본 종이다. 몽크물범족 또는 남방물범족 (Monachini...
    도서 위키백과
  • 게잡이물범족 Lobodontini, 鋸齒海豹族
    생물 분류 게잡이물범족(Neomonachus)은 물범과에 속하는 포유류 분류군의 하나이다. 4개 속에 로스해물과 게잡이물범, 얼룩무늬물범, 웨들해물의 4종의 물범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두 남극 대륙 주변에서 서식한다. 세계에서 개체수가 가장 풍부한 물범(게잡이물범)과 유일하게 다른 포유류를 포식하는 물범(얼룩...
    도서 위키백과
  • 물범과 Earless seal, アザラシ
    Monotherium wymanii † Piscophoca † Piscophoca pacifica † Hadrokirus † Hadrokirus martini † Homiphoca † Homiphoca capensis 로스해물범속(Ommatophoca) 로스해물(Ommatophoca rossii) 게잡이물범속(Lobodon) 게잡이물범(Lobodon carcinophagus) 얼룩무늬물범속(Hydrurga) 얼룩무늬물범(Hydrurga leptonyx...
    도서 위키백과
  • 게잡이물범 Crabeater seal, カニクイアザラシ
    생물 분류 게잡이물범(Lobodon carcinophaga)은 물범의 일종이다. 이 이름과는 달리 게를 주식으로 하지 않고 부유성 갑각류와 유생들을 먹는다. 몸길이 2~2.5m, 체중 225kg이다. 얼룩무늬물범 로스해물 웨들해물 물범과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로스해물범
로스해물범
로스해물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