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Flavius Momyllu..
    5세기 후반에 활동한 서로마의 마지막 황제(475~476 재위). 본명은 Flavius Momyllus Romulus Augustus.|왕위를 찬탈하여 동로마 황제에게는 합법적인 통치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서로마군 지휘관 오레스테스의 아들로 원래의 성(姓)은 아우구스투스였다. 전(前) 황제 율리우스 네포스를 이탈리아에서 몰아낸 아버지에...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Romulus Augustu..
    460년 ~ 511년 이후)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이다. 본명은 그냥 로물루스이며 아우구스툴루스란 「어린 아우구스투스」라는 뜻이 담긴 별명이다. 10개월간 재위하였으나 그는 정식 황제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통상 그를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보나 율리우스 네포스를 마지막 황제로 보기도 한다. 로물루스가 즉위한...
    도서 위키백과
  • 서로마제국 멸망
    이끌고 이탈리아 지역으로 들어와 서로마제국의 용병이 됐다. 475년 서로마의 장군 오레스테스가 황제 율리우스 네포스를 쫓아내고 자신의 아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새 황제로 세웠다. 하지만 오레스테스가 이 과정을 도운 게르만족 용병들에게 땅을 나눠 주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자, 오도아케르는 여러 부족...
    시대 :
    476년
    국가/대륙 :
    유럽
  • 서유럽의 분열, 서로마 제국의 멸망
    곧 실권을 잡는 것처럼 보였지만 리키메르는 후계자로 최고 군사령관인 오레스테스를 점찍어 두고 있었다. 새 황제로는 오레스테스의 어린 아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이미 낙점된 상태였다. 오도아케르는 이 어린 황제를 용납할 수 없었다. 그는 같은 부족 출신의 용병을 모아 ‘대장’을 자칭한 뒤 476...
    시대 :
    476년
  • 오도아케르 Odoacer
    그로부터 5일 후 오레스테스는 이탈리아 플라켄티아(지금의 피아첸차)에서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오도아케르는 그후 오레스테스의 어린 아들인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황제를 폐위했다. 오도아케르는 동로마 제국 황제 제노의 종주권을 인정하면서 이탈리아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하려 했다. 제노는 그에게 귀족의 지위...
    출생 :
    433경
    사망 :
    493. 3. 15, 라벤나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네포스 Julius Nepos
    귀족인 오레스테스가 반란을 일으키자 달마치야로 도망쳐(475. 8) 5년 동안 살로나이(지금의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근처)에서 살았다. 동로마는 그를 황제로 인정했지만, 오레스테스는 자기의 어린 아들인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서로마 제국 황제라고 선언했고, 네포스는 결국 글리케리우스의 지지자들에게 살해...
    출생 :
    미상
    사망 :
    480. 5. 9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로마는 어떻게 함락되었나?
    되었다. 410년에는 서고트족이 침공해 수도를 약탈했고, 455년에는 반달족의 침공을 받았다. 위태하던 로마 제국은 476년경 게르만의 오도아케르가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로부터 왕권을 빼앗으면서 수도 로마 또한 그들의 손에 넘어간다. 하지만 당시 서로마 제국은 이미 여러 왕국으로 나뉠 만큼 급격하게 기울어...
  • 심플리치오 Saint Simplicius
    하지는 못했다. 그러자 심플리치오는 공의회를 통해서 단성론 논쟁을 해결하려고 했다. 심플리치오가 교황으로 재위하고 있었던 476년 소년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이교도 오도아케르에게 폐위당한 뒤에 후계자 지명이 이루어지지 못해 서로마 제국은 멸망했다. 그뒤 오도아케르는 제노의 허락을 얻어 이탈리아...
    출생 :
    ?, 로마 근처 티볼리
    사망 :
    483. 3. 10,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율리우스 네포스 Julius Nepos, ユリウス・ネポス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그는 달마티아에 체류하며 서로마 제국의 정치를 방관했고 그해 8월 오레스테스에 의해 축출되었다. 476년 8월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오도아케르에 의해 폐위당한 뒤, 그는 여전히 서로마 제국 황제를 자처하였다. 480년 5월 글리케리우스의 지지자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는 서로마...
    도서 위키백과
  • 시아그리우스 Syagrius, シアグリウス
    동로마 제국에 보낸 외교사절이 시아그리우스 백작이라고 하며, 739년 시아그리우스의 후손인 시아그리아가 노발레사 수도원에 많은 양의 토지를 기부했다. 그 혈통이 알려진 마지막 시아그리우스의 후손은 757년 낭튀아에서 수도원장을 지냈다. 네포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서로마 제국 갈리아 클로비스 1세 전임후임
    도서 위키백과
  • 오도아케르 Odoacer, オドアケル
    오도아케르는 초대 이탈리아 국왕이다. 훈족과 스키리아인의 피가 반씩 섞인 헤룰리족으로 476년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쫓아내고 서로마를 멸망시켰다.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는 나폴리만의 루쿨라눔에 유배되었으며 그의 최후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511년까지는 살아남았다. 그는...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Constantine XI Palaiologos, コンス..
    는 예언이 있다는 소문이 떠돌았는데 이 소문은 들어맞고 말았다. 흥미롭게도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플라비우스 모마일루스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도 로마의 첫 번째 왕 로물루스와 로마의 첫 번째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이름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시신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의 얼굴이 새겨진 금화
오도아케르 앞에서 황제의 지위를 포기하는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