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빛과 어둠의 마술사, 렘브란트 렘브란트 하르멘스존 반 레인, Rembrandt네덜란드 예술의 황금시대를 열었으며 서양 미술사상 17세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로 꼽힌다. 빛의 마술사, 빛과 어둠의 화가로 불리는 렘브란트 하르멘스존 반 레인은 네덜란드의 최고 화가로 네덜란드 예술의 황금시대를 열었으며, 서양 미술사상 17세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로 꼽힌다. 그는 특히 초상화에 인물의 개성...
- 출생 :
- 1606년 07월 15일
- 사망 :
- 1669년 10월 04일
- 국적 :
- 네덜란드
- 대표작 :
- 〈야경〉,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 〈플로라처럼 분장한 사스키아〉 등
-
-
렘브란트 하르먼스 반 레인 화가가 그림에게 묻는다. '나는 누구인가?'그림 속 내가 바로 '나'다 중국에서 내려오는 고사 중에 "구리로 거울을 삼아 의관(衣冠)을 고치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에는 사람이란 본디 외적인 모습만을 중시하는 속물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관조할 줄 하는 존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자신의 모습을 직접 그리는 자화상은 외모만을 그리는 게 아니라...
- 출생 :
- 1606년
- 사망 :
- 1669년
- 국적 :
- 네덜란드
- 대표작 :
- 〈돌다리가 있는 풍경〉, 〈툴프 교수의 해부학 강의〉, 〈야간 순찰〉
-
-
렘브란트, 〈야경〉 화학반응으로 바뀐 그림의 제목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1606~1669)의 대표작 중 하나인 〈야경〉은 당시 유행하던 단체초상화인데 여느 그림들과 다르다. 대부분의 단체초상화는 등장인물들이 정렬하여 정적으로 그려지는 데 반하여 이 그림은 매우 역동적인 순간을 포착하여 드라마틱한 여러 상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 그림의 제목...
-
렘브란트 하멘순 반 레인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1606. 7. 15 네덜란드 레이덴~ 1669. 10. 4 암스테르담. 네덜란드의 화가. 유화·소묘·에칭 등 다양한 분야에 통달한 17세기의 화가이며 미술사에서 거장으로 손꼽힌다. 그의 그림은 화려한 붓놀림, 풍부한 색채, 능숙한 명암배분이 특징이다. 그의 수많은 초상화와 자화상은 인간의 성격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
-
합리론 미학과 17세기 바로크 · 로코코 미술 (관련어 렘브란트)합리주의 철학이 생각하는 예술 데카르트가 생각하는 예술과 그 영향 데카르트는 미학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지는 않았다. 《음악소론》을 통해 미(美)를 나름대로 정의하려 시도하지만 체계를 갖춘 미학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존재와 인식에 대한 철학적 주장 속에는 미학 논의를 가능케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
렘브란트, 〈베레를 쓰고 금장식을 두른 자화상〉 외렘브란트(Harmensz van Rijn Rembrandt, 1606~1669)는 고요하고 은은한 빛을 구사하는 17세기 바로크 최고의 화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청년 시절 이미 출중한 그림 솜씨로 많은 고객을 확보했던 그는 엄청난 지참금을 가지고 온 아내 사스키아와 함께 전성기를 보냈지만, 그녀가 어린 아들을 두고 세상을 떠나면서부...
- 저작자 :
- 렘브란트(Harmensz van Rijn Rembrandt, 1606~1669)
- 제작시기 :
- 〈베레를 쓰고 금장식을 두른 자화상〉 1633년 제작〈이젤 앞 자화상〉 1660년 제작
-
렘브란트, 〈목욕하는 밧세바〉 외〈목욕하는 밧세바〉는 《구약성경》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것이다. 다윗 왕은 부하 장수의 아내였던 밧세바가 목욕하는 모습을 보고 한눈에 반해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했고, 갈등하던 그녀는 결국 다윗을 따르기로 한다. 다윗은 그녀의 남편을 전쟁터로 보내 죽음에 이르게 하고, 그녀와 동침하여 아들 솔로몬을 낳는다...
- 저작자 :
- 렘브란트(Harmensz van Rijn Rembrandt, 1606~1669)
- 제작시기 :
- 〈목욕하는 밧세바〉 1654년 제작〈복음서 저자 마태와 천사〉 1661년 제작
-
행복에 대하여 (관련어 렘브란트) 바사노 ‘부자와 병든 거지’와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부자와 거지, 전통적인 행복의 비유 서양의 사고방식은 상당 부분 기독교 도덕률과 연관이 있다. 로마 시대가 막을 내린 후 시작된 중세만 치더라도 1000년에 걸친 기독교 승리의 시대였으니 당연한 일이다. 기독교 도덕률이 30~40세대 이상 이어지면서 삶의 구석구석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대부분의 철학이 목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