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레트 증후군 Rett syndrome정의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은 1983년 안드레아스 레트(Andreas Rett)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신경 발달 장애 질환입니다. 레트 증후군은 생후 6개월에서 18개월까지는 비교적 정상적으로 발달하다가, 그 이후에 두위 발달 감소와 함께 습득했던 인지 및 운동 능력 상실, 언어 기능 상실, 손을 씻는 듯한 동작을 ...
- 분류 :
- 유전질환
- 발생 부위 :
- 전신
- 증상 :
- 상동적 행동, 운동장애, 인지장애, 정신 지체
- 진료과 :
-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의학유전학과
- 관련 질환 :
-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실조 증후군 , 피질하 경색과 백질뇌증을 동반하는 상염색체 우성 뇌동맥질환, 로우 증후군, 신경섬유종, 결절성 경화증
-
Rett syndrome 레트 증후군, レット症候群Rett syndrome (RTT), originally termed cerebroatrophic hyperammonemia, is a rare genetic postnatal neurological disorder of the grey matter of the brain that almost exclusively affects females but has also been found in male patients. The clinical features include small hands and feet and a decel...출처 영어 위키백과
-
리플록신정100mg Letroxin Tab.대동맥류 또는 대동맥 박리가 있거나 또는 대동맥류 또는 대동맥 박리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 대동맥류 또는 대동맥 박리의 가족력이나 위험 인자 (예. 말판증후군 등)가 있는 환자 10) 심장판막 역류/부전이 있거나 또는 심장판막 역류/부전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 심장판막 역류/부전의 가족력이나 위험 인자(예...
- 식약처 분류 :
- 기타의 화학요법제 (629)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건일바이오팜주식회사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654701540_567원/1정, 급여(2017-02-01)
- 임산부 금기 :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 제형 :
- 정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경구(내용고형)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보관(1-30℃)
-
레트록신점안액 Letroxine Eye Drops부종, 이물감, 눈부심, 시력불선명, 눈물, 건조감, 안통, 드물게 어지러움, 비만성 표층각막염등의 각막장애 및 독성표피괴사로까지 악화되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한다. 4) 기타 : 청각장애, 때때로 자극증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5) 국내 시판후 조사...
- 식약처 분류 :
- 안과용제 (131)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케이엠에스제약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654700131_2795원/5mL/병, 급여(2023-02-27)
- 제형 :
- 점안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눈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차광보관(1~30℃)
-
세레트캡슐 200mg Celet Cap. 200mg이 약과의 인과관계에 상관없이, 이 약의 투여 후 성인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위장관계: 소화불량(8.8%), 설사(5.6%), 과민성대장증후군, 배변횟수 증가, 때때로 복통, 상복부통증, 고창, 구역, 변비, 게실염, 삼킴곤란, 트림, 식도염, 위장염, 위장관궤양, 위식도 역류, 위 불쾌감, 위장장애, 치질...
- 식약처 분류 :
- [01140]해열.진통.소염제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염증, 통증 관련 작용약 > 해열, 진통, 소염제 > NSAID > COX2 inhibitor
- 제조/수입사 :
- 건일바이오팜주식회사
- 급여정보 :
- 급여
- 임산부 금기 :
- 2등급: 임부에 대한 안전성 미확립.동물실험에서 생식독성(기형발생 포함) 보고.임신말기에 투여시 자궁무력증, 태아 동맥관조기폐쇄 가능성
- 성상 :
- 흰색 내지 미황색의 분말이 든 흰색의 불투명한 경질캡슐제
- 제형 :
- 경질캡슐제
- 모양 :
- 장방형
- 색상 :
- 하양
- 식별표기 :
- 2K C200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5~30℃)보관
-
세레트캡슐200mg Celet Cap. 200mg이 약과의 인과관계에 상관없이, 이 약의 투여 후 성인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위장관계: 소화불량(8.8%), 설사(5.6%), 과민성대장증후군, 배변횟수 증가, 때때로 복통, 상복부통증, 고창, 구역, 변비, 게실염, 삼킴곤란, 트림, 식도염, 위장염, 위장관궤양, 위식도 역류, 위 불쾌감, 위장장애, 치질...
- 식약처 분류 :
- 해열, 진통, 소염제 (114)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건일바이오팜주식회사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073001160_521원/1캡슐, 급여(2023-01-01)
- 임산부 금기 :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 제형 :
- 경질캡슐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경구(내용고형)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5~30℃)보관
-
티모레트0.5%점안액 Timolet 0.5% Eye Drops또는 그 병력 환자 2) 중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3) 동성서맥, 방실블록(2, 3도), 명백한 심부전, 심인성 쇽 환자 4) 이 약에 과민증 환자 5) 레이노 증후군 환자 및 말초혈관 순환 장애 환자 6) 치료되지 않은 크롬친화세포종 환자 7) 수유부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뇌혈관 부전증 환자 4. 부작용 가장...
- 식약처 분류 :
- [01310]안과용제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감각기관 작용약(눈 및 안과용) > 녹내장 치료제 > 안방수생성 억제제 > β adrenergic antagonist
- 제조/수입사 :
- 한불바이오(주)
- 급여정보 :
- 삭제
- 성상 :
- 무색 투명한 점안액
- 제형 :
- 점안제(점안액)
- 투여 경로 :
- 외용제
- 보관방법 :
- 저장방법:기밀용기,실온(1~30℃)보관
-
레트록신점안액 5mL/병 Letroxine Eye Drops 5mL/BT부종, 이물감, 눈부심, 시력불선명, 눈물, 건조감, 안통, 드물게 어지러움, 비만성 표층각막염등의 각막장애 및 독성표피괴사로까지 악화되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한다. 4) 기타 : 청각장애, 때때로 자극증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5) 국내 시판후 조사...
- 식약처 분류 :
- [01310]안과용제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감각기관 작용약(눈 및 안과용) > 국소 항균제 > 퀴놀론계 > Fluoroquinolones
- 제조/수입사 :
- 케이엠에스제약(주)
- 급여정보 :
- 급여
- 성상 :
- 차광 플라스틱 용기에 든 미황색 - 담황색의 투명한 용액
- 제형 :
- 점안제(점안액)
- 투여 경로 :
- 외용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차광보관(1~30℃)
- FDA 임산부 금기 :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
아스퍼거증후군 Asperger syndrome영국의 아동정신과 의사 로나 윙(Lorna Wing)이 그의 이름을 따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명명했다. 고전적 자폐증이라고도 불리는 자폐성 장애, 레트장애 증후군, 소아기 붕괴성 장애와 같은 비전형성 전반적 발달장애(PDD-NOS,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과 함께 전반적 발달장애(PDD...
- 분류 :
- 전반적 발달장애
- 공식명칭 :
- 아스퍼거질환장애
- 발생 부위 :
- 뇌신경
- 증상 :
- 자폐증, 사회적 상호작용 부족, 특정 대상에 대한 비정상적 집착, 상동적이고 제한된 행동 반복
- 진료과 :
- 소아청소년 정신과
- 관련 질환 :
- 자폐성 장애, 레트장애 증후군, 소아기 붕괴성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