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레벤후크 Antonie van Leeuwenhoek
    세균과 원생동물을 최초로 관찰했으며, 하등동물을 연구해 자연발생설을 반박했고, 세균학과 원생동물학의 기초 확립에 도움을 주었다. 그의 초기생애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아주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양질의 렌즈로 이루어진 단안현미경을 만들었는데, 그당시 색수차의 문제가 많았던 복합현미경보...
    출생 :
    1632년 10월 24일, 네덜란드 델프트
    사망 :
    1723년 8월 26일, 델프트
    국적 :
    네덜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레벤후크 현미경제작 및 정자발견
    안토니 반 레벤후크(Antoni van Leeuwenhoek, 1632~1723년)는 네덜란드의 과학자이며 독특한 구조의 단(單)렌즈 현미경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그는 1674년 원생동물과 세균, 담수성의 조류 등 미생물을, 1682년 물고기 적혈구의 핵을, 1683년 가로무늬근육(횡문근)의 미세구조 등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발견하였으며,...
  • 조직학의 역사 (관련어 레벤후크)
    조직학의 발전은 몇 가지 요소가 어우러져야 가능하다. 먼저, 조직학 초기에는 현미경의 발명 및 성능의 발전이 필요하였으며, 채취된 조직을 현미경에 관찰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표본제작 과정에 대한 지식의 발전도 중요하였다. 전반적인 의학 지식의 발전 또한 조직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미경의 발견과 발전사 ...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해부학 역사 (관련어 레벤후크)
    고대 의학의 역사는 해부학의 역사이다 해부학이 언제부터 체계를 갖춘 지식분야로 발달되었는지는 대부분의 기록물이나 책들이 소실되어 정확히 확인할 방법은 없다. 고대에는 호기심으로 죽은 사람을 관찰하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각 장기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질병이 생긴 경우 장기들이 어떻게 손상되는지 알아...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17세기의 해부학 (관련어 레벤후크)
    17세기 해부학의 주요사건 실험생리학의 발전 하비의 혈액순환설 현미경적 해부학의 발전 17세기 해부학의 주요인물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웹툰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안톤 판 레이우엔훅
    단세포 생물, 세균, 효모, 사람의 정자 등을 처음으로 관찰한 사람은 대학 연구실이나 왕립 학회의 과학자가 아니었습니다. 17세기에 가장 성능 좋은 고배율 현미경을 들고 미시 세계의 깊은 곳까지 발을 들여놓은 사람은 네덜란드의 한 포목점 주인이었습니다.
  •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 (관련어 레벤후크) Antonie van Leeuwenhoek, アントニ・..
    과학자 정보 안토니 필립스 판 레이우엔훅 FRS은 네덜란드의 미생물학자, 현미경 과학자이다. 미생물학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으며 현미경의 발달과 미생물학의 정립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는 스스로 렌즈를 갈아 만든 현미경으로 단세포 생물을 관찰하였다. 네덜란드의 델프트 출신으로 특별한 교육을 받은 적은 없으나...
    도서 위키백과
  • 미생물학 微生物學, microbiology
    등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고, 분자생물학·유전공학이란 최신 학문을 탄생시켰다. 미생물의 존재는 17세기 후반, 네덜란드의 안톤 반 레벤후크에 의해 알려지게 되었다(레벤후크). 그는 자신이 직접 만든 현미경을 이용해 오염된 물이나 하천, 빗물 속의 많은 미소생물들을 관찰하고 이들이 작은 동물임을 알고 미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생물 , 학문
  • 혈액학 血液學, hematology
    혈액 구성의 과학적 지식에 관한 첫번째 단계는 17세기 네덜란드의 현미경학자인 A. 반 레벤후크에 의해 이루어졌다. 레벤후크는 원시적인 단일 렌즈 현미경을 사용해서 붉은색 소체(小體)를 관찰했으며 모래알과 크기를 비교했다. 18세기에 영국의 병리학자인 윌리엄 휴슨은 붉은색 소체에 대해 부연 설명을 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진료과
  • 현미경적 해부학의 발전
    네덜란드 알크마르의 드레벨은 더 좋은 현미경을 만들었으며, 그에게 있어서 현미경을 소개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다. 또 네덜란드의 델프트 출신 레벤후크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근면했던 사람으로, 말피기의 모세혈관과 혈구의 발견을 확인했고,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여러 종류의 생명체를 관찰하여 대단한...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20세기를 향한 생물학의 진전
    따라 복합현미경이 개량되어왔으며 관찰기술도 발달했다. 그결과 생물의 미세구조를 밝히고 매우 작은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며, 말피기·레벤후크·스왐메르담·그루·훅 등의 현미경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말피기는 생물의 미세구조 연구를 창시했고, 레벤후크는 세균·원생동물의 발견과 동물의 정자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학문
  • 효모 酵母, yeast
    속한다. 자낭균강에 속하는 효모는 일반적으로 빵·맥주·포도주를 생산하는 빵효모의 변종이다. 약 1,5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1680년 네덜란드의 안톤 레벤후크에 의해 맥주효모가 처음 관찰되었다. 성질 효모는 출아 에 의해 무성생식한다. 작은 혹이 모(母)세포로부터 돌출하여 커지고 성숙하여 분리된다. 소수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균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