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레닌그라드 사건 Leningrad Affair
    소련의 레닌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및 그 주변지역에서 공산당과 정부관리를 갑작스럽게 완전히 숙청한 사건(1948).|이 숙청은 레닌그라드파의 우두머리이자 전후시대 스탈린 참모들 중 가장 유력한 인물로 꼽혔던 안드레이 A. 주다노프가 갑자기 죽은(1948. 8. 31) 뒤 몇 달 만에 일어났다. 이 사건은 러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레닌그라드 사건 Leningrad affair, レニングラード事件
    레닌그라드 사건은 1948년 말(또는 1949년 초)부터 전연방 공산당 레닌그라드 지구당에 속한 당 간부 및 관료 약 2천 명이 약 4년에 걸쳐 숙청된 사건이다. John Barber, BBC, 2001-08-01 1949년 1월 10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레닌그라드에서 도시 재건을 위한 경제 정책의 일환으로 무역 박람회가 개...
    도서 위키백과
  • 레닌그라드 포위전 Siege of Leningrad, レニングラード包囲戦
    손실 기근 목록 레닌그라드 공방전의 도시 영향 1942년 북극광 작전 나치즘의 영향 레닌그라드 영웅 도시 오벨리스크 피스카료브스코예 메모리얼 광장 레닌그라드 사건 추축국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바르바로사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제1차 세계대전 참고 자료 시작 1941–1944. Walker and Co., New York 2011...
    도서 위키백과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응향〉 필화 사건
    것은 국가 재건에 방해가 된다고 주장한다. 1946년 8월 14일, 주다노프는 레닌그라드 문학자 대회에서 「문학 운동에 대한 소련 당의 새로운 비판」이라는 연설...이런 움직임을 1947년에 들어 북로당이 그대로 본뜨며 『응향』 필화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조선문학가동맹은 『문학』 제3호에 북조선예맹의 ‘시집 응향...
    시기 :
    1947년
  • 주다노프 Andrey Aleksandrovich Zhdanov
    1948년 주다노프는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그 사건은 그의 동맹자들과 추종자들에게는 불길한 사건이 되었으며, 그가 죽은 뒤 바로 악명 높은 레닌그라드 사건이 일어났다. 그의 정적인 G. M. 말렌코프와 L. P. 베리아의 공작이라고 여겨지는 이 사건에서 주다노프의 동료들과 부하들이 상당수 포함된 2,000명이나 되는...
    출생 :
    1896. 2. 26(구력 2. 14), 러시아 우크라이나 마리우폴
    사망 :
    1948. 8. 31, 모스크바
    국적 :
    소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상트페테르부르크 Saint Petersburg, サンクトペテルブルク
    위해 레닌그라드로 변경되었다. 제 2차 세계 대전 당시 1941년 8월부터 29개월 동안 독일군에 포위당한 상태로 40만 명이 아사(餓死)당하면서까지 지켜낸 도시라고 하여 영웅 도시 칭호를 획득하였다. 이후 1991년 국민 투표를 통해 1991년 9월 6일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상트...
    도서 위키백과
  • 보즈네센스키 안드레이 안드레이예비치 보즈네센스키, Andrey Andreyevich Vo..
    스탈린 시대 이후 세대에서 가장 걸출한 작가로 손꼽힌다. 블라디미르 시에서 어린시절을 보내다가, 1941년 포위된 레닌그라드에서 공장들을 소개시키는 아버지를 남겨두고 어머니·누이와 함께 우랄 산맥 기슭의 쿠르간으로 이사했다. 성장기에 있는 그의 영혼에 전쟁이 끼친 심대한 영향은 나중에 쓴 시에 생생하게...
    출생 :
    1933. 5. 12, 러시아 모스크바
    사망 :
    2010. 6. 1, 러시아 모스크바
    국적 :
    소련
  • 요세프 브로드스키 이오시프 알렉산드로비치 브로츠키, Joseph Brodsky
    1987년 중요한 서정적 비가들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15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그때부터 여러 가지 직업을 전전하면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레닌그라드 문단에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나 독립적 성향과 꾸준하지 않은 작품활동으로 소비에트 당국으로부터 '사회주의의 기생충'이라는 비난을 받았고 1964년 5...
    출생 :
    1940. 5. 24, 소련 레닌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
    1996. 1. 28, 미국 뉴욕 뉴욕시티
    국적 :
    소련/미국
  • 키로프 Sergey Mironovich Kirov
    시작했다. 1934년 12월 1일 키로프는 청년당원, 레오니드 니콜라예프에게 레닌그라드 공산당 본부에서 암살당했다. 니콜라예프와 13명의 공범자들은 총살되었다...지목한 수천 명을 유형에 처했다.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1956년 2월 25일에 행한 그의 '비밀연설'에서 스탈린 자신이 키로프의 암살사건을 조작했다고 시사...
    출생 :
    1886. 3. 27(구력 3. 15), 러시아 뱌트카 우르즈움
    사망 :
    1934. 12. 1, 레닌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
    소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아키 카우리스마키 아키 올라비 카우리스마키, Aki Kaurismaki
    Union, 1985), <햄릿 장사를 떠나다>>(Hamlet Goes Business, 1987),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Leningrad Cowboys Go America, 1989) 등 독특한 영화...극도로 단순한 이야기구조, 무성영화를 연상케 하는 긴 침묵, 사건의 전개 과정을 객관적으로 응시하는 롱 테이크 촬영, 필수불가결한 요소들로만 구성된...
    출생 :
    1957년 4월 4일, 핀란드 오리마틸라
    본명 :
    아키 올라비 카우리스마키(Aki Olavi KAURISMAKI)
    수상 :
    1992년 베를린영화제 비평가상(<보헤미안의 삶>), 2002년 칸영화제 심사위원대상(<과거가 없는 남자>), 2011년 칸영화제 비평가상(<르 아브르>)
    데뷔 :
    1983년 <죄와 벌>(Crime and Punishment, 핀란드)
  • 교향곡 5번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Symphony No. 5 in e minor, Op.64
    위해 연주회 전에, “어떤 경우에도 연주를 멈추지 말 것”을 요청하였고, 오케스트라는 대포의 포격에도 마지막 음까지 연주를 계속하였다. 이 사건이 바로 ‘레닌그라드 공방전’(Siege of Leningrad) 때의 일이다. 사람들은 전쟁 속에서 〈교향곡 5번〉으로 위안을 받으며, 같은 시기 차이콥스키를 대표하는 〈교향곡...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교향곡
    제작시기 :
    1888년
    작곡가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초연 :
    1888년 11월 6일, 페테르부르크, 차이콥스키 지휘
    출판 :
    1888년, 모스크바
    헌정 :
    테오도르 아베-랄러망
    구성 :
    4악장
    편성 :
    오케스트라(플루트 3(3번은 피콜로와 겸함), 오보에2, 클라리넷2, 바순2, 호른4, 트럼펫2, 트롬본3, 튜바, 팀파니, 현5부)
  • 시대와 불화한 고독한 천재,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Dmitrii Dmitrievich Sho..
    7번 '레닌그라드'〉, 〈교향곡 제13번 '바비 야르'(Symphony No.13 in B flat minor Op.113 'Babi Yar')〉, 〈교향곡 제14번 '죽은 자의 노래'(Symphony No.14 in G minor Op.135 'Lyrics for The Death')〉이다. 쇼스타코비치 이전의 러시아 교향곡은 감상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쇼스타코비치는 이들과는...
    출생 :
    1906년 09월 25일
    사망 :
    1975년 08월 09일
    국적 :
    러시아
    대표작 :
    〈교향곡 제9번〉,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현악 4중주 제8번〉 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레닌그라드 사건(Leningrad Affai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