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런던 대역 Great Plague of London
    1664년말부터 1666년초까지 런던을 폐허로 만든 대유행(흑사병).|런던 인구 46만 명 가운데 7만 5,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대역은 이때 처음 발생한 것이 아니었다. 1625년에도 역병이 돌아 4만 명의 런던 시민이 사망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의 역병은 최상·최악의 유행병이었다. 1664년 늦가을 런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런던 대역 (관련어 런던대역병) Great Plague ..
    런던 대역은 1665년 ~ 1666년에 잉글랜드 왕국(오늘날의 영국)에서 발생한 최후의 흑사병(페스트) 대역이다. 1347년 시작되어 1750년까지 계속된 제2차 페스트 범유행의 일부이다.인용 18개월에 걸친 런던 대역으로 죽은 사람의 수는 약 100,000명으로, 당시 런던 인구의 25%에 달한다. 주로 박테리아에 감염된 쥐...
    도서 위키백과
  • Great Plague of London 런던 대역병, 倫敦大瘟疫
    The Great Plague, lasting from 1665 to 1666, was the last major epidemic of the bubonic plague to occur in England. It happened within the centuries-long time period of the Second Pandemic, an extended period of intermittent bubonic plague epidemics which began in Europe in 1347, the first year o...
  • 런던 대화재 Great Fire of London, ロンドン大火
    재건을 하게 된다. 1660년대까지 런던은 영국에서 가장 큰 도시였고, 그 인구가 50만 명에 육박하는 수였다. 하지만, 이 인구는 1665년에 불어닥친 런던 대역에 의해 한풀 꺾이게 된다. 당시 초만원이었던 빈민가에서는 위생 상태가 최악이었다. 런던 월 안의 작은 공간에는 위생 시설도 없었고, 거리의 중심을 따라서...
    도서 위키백과
  • 런던의 역사 History of London, ロンドンの歴史
    상태였던 런던시는 수백년에 걸쳐 수많은 전염병이 휩쓸고 갔지만, 영국인들이 기억하는 마지막 대규모 역병은 1665년부터 1666년까지 발생했던 '런던 대역'으로, 런던시 인구의 5분의 1에 달하는 6만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새뮤얼 페피스는 자신의 일기에 이 당시 역병에 대해서 기록한 바 있다. 1665년 9월 4일자...
    도서 위키백과
  • 런던 가제트 The London Gazette, ロンドン・ガゼット
    발행하고, 국왕이 저작권(Crown copyright)을 가지게 된다. 1665년 11월 7일, 〈옥스포드 가제트〉(The Oxford Gazette)로 창간했다. 찰스 2세와 왕실은 런던 대역에서 벗어나기 위해 옥스포드로 이동했지만, 신하들은 감염을 두려워 런던에서 발행되는 신문을 읽기는커녕 만지는 것조차 주저하고 있었다. 에 따르면...
    도서 위키백과
  • 고드프리 Sir Edmund (Berry) Godfrey
    영국 내에 반(反)가톨릭 감정이 크게 일어나 찰스 2세의 통치를 위태롭게 했다. 런던에서 사업에 종사하다가 뒤에 웨스트민스터의 치안판사가 되었다. 런던 대역 기간(1664~65)에 보인 활약으로 1666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 타이터스 오츠라는 배교(背敎)한 영국 성공회 목사 외 두 사람이 이른바 가톨릭 음모사건...
    출생 :
    1621. 12. 23
    사망 :
    1678. 10
    국적 :
    잉글랜드,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범유행 Pandemic, パンデミック
    2년에서 5년 주기로 페스트가 돌아왔다. 1370년에는 영국의 인구가 50% 감소되었다. 1665년부터 1666년까지 발생한 런던 대역은 마지막 2차 페스트 범유행이었다. 질병은 런던에서 10만명을 죽여, 런던 인구의 25%를 사망시켰다. 19세기 중반에 중국에서 시작하여, 모든 사람이 살고 있는 대륙을 전염시키고 인도...
    도서 위키백과
  • 유행병 Epidemic, エピデミック
    감염병 곡선 평탄화"를 목표로 하는 완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치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공격적인 접촉 추적 등의 비약물적 개입과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로 구성된다. 감염병 풍토병 팬데믹(범유행) 인플루엔자 범유행 홍콩 독감 런던 대역 아테네 역병 1837년 대평원 천연두 유행 자연재해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제2차 페스트 범유행 Second plague pandemic, 第二次鼠疫大流行
    1631년 이탈리아 페스트 1647년-52년 남스페인 50만 세비야 대역 1656년-1657년 나폴리, 로마 15만 나폴리 페스트 1664년–1667년 잉글랜드 런던 7만-10만 런던 대역 1679년-80년 오스트리아 7만 6천 빈 대역 1681년 프라하 8만 3천 1689년-1690년 바그다드 15만 sfn 1704년-10년 폴란드 7만 5천 대북방전쟁과...
    도서 위키백과
  • 잉글랜드의 흑사병 Black Death in England
    유행이 재발했는데 인구의 약 20%가 사망했다. 이후 페스트는 14세기와 15세기에 걸쳐 국지적 혹은 전국적으로 재발했다. 이후 페스트의 영향은 줄었고 런던 대역은 잉글랜드에서의 마지막 유행이었다. 흑사병이 브리스틀이나 햄프셔주 사우샘프턴을 통해 유입되었다는 기록도 있지만 도싯주 웨이머스가 가장 널리...
    도서 위키백과
  • 검역 Quarantine, 検疫
    40일간 격리시켜 상륙을 허락하지 않았는데, 해당 단어에서 검역을 뜻하는 영어가 나왔다고 한다. 현대사에서 주목할만한 검역은 다음과 같다. 영국에서 런던 대역 발생한 시점에서 선박에서 유입되는 질병을 막고자 선박을 30~40일 동안 계류했다가 입국시키는 검역 정책을 실시 1918년 스페인 독감 전염 중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