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랑비에 결절 Ranvier's node
    신경섬유에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하는 결절.|1878년 프랑스의 해부학자 L.A. 랑비에가 발견했다. 축색을 싸고 있는 미엘린 수초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단되기 때문에 잘록한 결절을 이루게 되며, 이곳에서는 축색이 세포외액에 그대로 노출이 된다. 신경섬유는 이곳에서 분지를 시작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경계
  • 랑비에결절 node of Ranvier
    유수신경섬유에서 수초없이 시반세포(schwann cell)의 돌기만으로 덮여 있는 축삭의 일부분.
  • 신경세포 (관련어 랑비에 결절) 생명은 세포의 작용이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뇌신경과 척수신경, 뇌와 척수 등으로 복잡해 보이는 신경계의 근원으로 들어가면 하나의 독립된 세계, 신경세포를 만나게 됩니다. 우리 몸은 1조 개쯤 되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세포들의 기능은 너무나도 다양하죠. 기능에 따라 세포들을 구분해보면 상피세포, 시각세포, 적혈구, 지...
  • 랑비에결절 Node of Ranvier, ランヴィエの絞輪
    뉴런 지도 랑비에결절은 신경세포인 뉴런에 있는 공간이다. 말이집신경의 줄기에서 말이집으로 덮여져 있지 않은 부분을 일컫는다. 말이집신경 중 말이집에 감싸져 있는 부분은 이온이 통과하지 못하여 활동전위를 일으키지 못한다. 하지만 랑비에 결절은 말이집에 둘러싸여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온의 이동이 가능해져...
    도서 위키백과
  • 뇌와 신경, 신경세포 구조 (관련어 랑비에 결절) 정보를 전기신호로 전달하는
    신경계의 기본단위는 뉴런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세포다. 뉴런 세포체에는 핵이 있고 그 밖에도 축색, 수상돌기 같은 소기관이 있다.|신경세포 구성 몸속의 정보 네트워크인 신경은 무수 신경세포(뉴런)가 모여서 만들어졌다. 신경세포는 핵이 있는 신경세포체와 거기서 뻗은 한 개 이상의 신경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
    참고 :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정보의 전기신호가 전해지는 속도는 축색의 종류나 굵기에 따라서 다르다. 평균 매초 약 60m라고 한다.
  • 랑비에 Louis-Antoine Ranvier
    확립하는 데 전념했다. 1878년 특정 신경섬유(오늘날 유수신경섬유로 알려져 있음)에서 보여지는 신경에 있는 미엘린수초의 단락을 이루는 구조(오늘날 랑비에 결절이라고 함)와 혀의 상피세포들 사이에 있는 신경섬유종말(오늘날 랑비에촉각판이라고 함)를 기술했다. 그는 19세기 의학의 이정표로 인식되고 있는...
    출생 :
    1835년 10월 2일, 프랑스 리옹
    사망 :
    1922년 3월 2일, 텔리스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도약 전도 跳躍傳導, saltatory propagation
    있는 미엘린 수초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단되기 때문에 잘록한 결절을 이루게 되며, 이곳에서는 축삭이 세포외액에 그대로 노출이 된다. 신경섬유는 이곳에서 분지를 시작한다. 척추동물의 축삭은 보통 수초로 둘러싸여 있는데 수초로 싸인 뉴런에서는 수초가 없는 부분인 랑비에 결절에서만 활동전위가 일어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 생물
  • 사람 이름이 붙은 해부 구조물
    루이스 랑비에 1835∼1922년) Rathke's pouch 라트케오목; 뇌하수체 앞엽(anterior lobe of pituitary gland 하수체 전엽)이 발생되는 구조 – Martin Heinrich Rathke (마틴 라트케 1793~1860년) Reichert cartilage 라이헤르트 연골; 사람 발생 중 관자뼈의 붓돌기(styloid process of temporal bone 측두골의 경상...
  • 도약전도 Saltatory conduction, 跳躍伝導
    랑비에결절의 한 결절에서 다음 결절로 수초 축삭을 따라 활동전위가 전파되어 활동전위의 전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절연되지 않은(uninsulated) 랑비에결절은 축삭 막을 통해 이온이 교환되는 축삭을 따라 있는 유일한 장소로, 간단한 회로의 전기 전도와 달리 미엘린으로 절연된 축삭 영역 사이의 활동 전위를...
    도서 위키백과
  • 활동전위 Action potential, 活動電位
    수초가 있는 부분은 흥분성이 아니고 활동전위를 만들지 않아 신호가 전기긴장성 전위처럼 수동적으로 전파된다. 일정한 간격으로 수초가 없는 부분, 즉 랑비에결절은 활동전위를 만들고 신호를 빠르게 도약 전도한다. 도약 전도는 축삭 지름이 작아도 신호의 속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축삭 말단이 탈분극되면 신경...
    도서 위키백과
  • 슈반세포 Schwann cell, シュワン細胞
    100 μm 정도 감싼다. 길이 1 m의 축삭(더 긴 축삭도 존재한다)은 계산상으로 대략 10,000개의 슈반세포가 감싸고 있다. 인접한 슈반세포까지의 틈을 랑비에결절이라고 한다. 척추동물의 신경계는 말이집으로 절연되어 있어 축삭의 막 전기용량을 유지한다. 활동전위는 랑비에결절에서 결절로 도약전도한다. 이를 통하여...
    도서 위키백과
  • 19세기 해부학 역사 연표
    학자 랑비에. 최초의 신경조직학 교과서 『Leconssur l'histologie du systeme nerveaux』 (1878년) 저술. 과학 학술지 (1897년) 창간. 신경의 랑비에마디(란...귀의 결합관과 근육원섬유마디(근절), 창자배형성(장배형성)에 관여하는 원시결절 발견. • 1836~1921년 : 독일 해부학자 발다이어. 신경원설 주장. 염색체...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