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라 로슈푸코 리앙쿠르 François-Alexandre-Fréd..샬롱에 있는 국립고등공예학교를 설립했다. 그가 리앙쿠르에 세운 시범 농장은 프랑스 농업발전에 기여했다. 에스티삭 공작 프랑수아 아르망 드 라 로슈푸코의 아들로 군대에서 복무한 뒤 1769년 영국에 가서 영농방법을 공부하고 돌아와 자신의 시범 농장을 세웠다. 이 농장에서 그는 영국과 스위스 품종의 소를 사육...
- 출생 :
- 1747. 1. 11, 프랑스 라로슈귀용
- 사망 :
- 1827. 3. 27, 파리
- 국적 :
- 프랑스
-
도덕에 대한 성찰과 잠언 Reflexions ou sentences et maximes ..유서 깊고 고귀한 가문의 공작인 작가 자신이 직접 체험한 궁정 생활을 토대로 한 이 작품은 당시 사블레 부인의 살롱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던 '잠언'(maxime)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확한 묘사와 정의를 요구하는 이 형식은 17세기의 사교 정신이 과학적 합리주의와 내적 일체를 이루고 있음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
-
프랑수아 6세 드 라로슈푸코 공작 François de La R..작가 정보 프랑수아 6세 드 라로슈푸코 공작는 프랑스의 귀족 출신 작가이자 모랄리스트이다. 대귀족의 장남으로 파리에서 출생하였다. 16세에 이탈리아 전쟁에 참가한 후부터 사랑과 야심에 찬 모험의 시대를 보낸다. 루이 13세의 궁정에 들어갔으나 왕비 안 도트리슈의 심복인 미모의 슈브뢰즈 공작 부인과 정을...도서 위키백과
-
프랑수아 드 라로슈푸코프랑수아 드 라로슈푸코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프랑수아 드 라로슈푸코 추기경(1558년-1645년) 프랑수아 6세 드 라로슈푸코 공작(1613년-1680년) 프랑수아 드 라로슈푸코 드 몽탕드르 후작(1672년-1739년) 프랑수아 12세 드 라로슈푸코 공작(1792년-1827년) 프랑수아 13세 드 라로슈푸코 공작(1765년-1848년) 동음이의도서 위키백과
-
François de La Rochefoucauld 프랑수아 드 라로슈푸코, Franço..François VI, Duc de La Rochefoucauld, Prince de Marcillac (15 September 1613 – 17 March 1680) was a noted French author of maxims and memoirs. It is said that his world-view was clear-eyed and urbane, and that he neither condemned human conduct nor sentimentally celebrated it. Born in Paris on...출처 영어 위키백과
-
라 파예트 Marie-Madeleine Pioche de la Vergne,..1660년대에 라 파예트 부인은 오를레앙 공작 부인인 영국의 헨리에타 앤에게 총애를 받았다. 이 시기에 그녀는 유명한 〈잠언집 Maximes〉의 저자인 라 로슈푸코 공작과도 친밀한 우정을 맺기 시작했는데, 이 우정은 그후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공작과 함께 그녀는 탁월한 문학적 그룹을 이루었다. 부인은 전통적인 연애...
- 출생 :
- 1634. 3. 18, 프랑스 파리에서 세례받음
- 사망 :
- 1693. 5. 25, 파리
- 국적 :
- 프랑스
-
롱그빌 Anne-Geneviéve de Bourbon-Condé, duchesse de ..큰오빠인 대(大)콩데가 1643년 로크루아에서 큰 승리를 거둠으로써 그녀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1646년경 〈잠언록 Maxims〉의 저자인 라 로슈푸코 공작과 사랑에 빠졌는데, 공작은 사랑을 미끼로 그녀의 오빠에게 영향을 미쳐서 자신의 명예를 얻으려 했다. 그녀는 제1차 프롱드의 난에서 중요한 역할을...
- 출생 :
- 1619. 8. 28, 프랑스 뱅센 감옥
- 사망 :
- 1679. 4. 15, 파리
- 국적 :
- 프랑스
-
17세기 프랑스 문학있다. 고전주의 문학의 개화 루이 14세가 친정을 시작한 1660년이 문학사의 구분점이 되어 고전주의 문학이 꽃피었다. 사교인들이 가져다준 걸작들이 있다. 라 로슈푸코 공작(1613~80)의 〈잠언집 Maximes〉(1665)은 염세가의 저작으로 거기서는 모든 것을 이기주의, 즉 욕심으로 돌리고 있다. 17세기 심리소설의 걸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