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라슬로 4세 Laszlo IV
    헝가리의 왕. (영). Ladislas Ⅳ. 별칭은 Kun Lszl.|뒤른크루트 전투에서 독일 왕 루돌프 1세를 도움으로써 장차 합스부르크 왕가가 오스트리아를 다스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헝가리 왕 이슈트반 5세의 아들로, 유능했지만 거칠고 무모한 성격을 갖고 있었다. 1272년 아버지가 죽은 뒤 왕위에 올랐으나 1277...
    출생 :
    1262
    사망 :
    1290. 7. 10, 헝가리 쾨뢰세그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라슬로 4세 (관련어 라슬로4세) Ladislaus IV of Hung..
    인물 정보 라슬로 4세는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이다. 아르파드 왕조 출신이며 쿠만인 라슬로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슈트반 5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인 에르제베트(Erzsébet)는 쿠만인 출신이다. 1269년 9월 이슈트반 5세가 시칠리아의 군주였던 카를로 1세와 동맹 관계를 수립했다. 1270년 ...
    도서 위키백과
  • 라슬로 1세 Laszlo I
    1073) 게자가 왕위에 올랐다. 게자가 죽자(1077) 그 뒤를 이어 헝가리 왕 라슬로 1세가 되었다. 헝가리 국경을 트란실바니아까지 넓히고 크로아티아 군주...벌어졌을 때는 교황편을 들었지만 한편으로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에게는 화해정책을 폈다. 헝가리 영토에 사는 이교도들을 가혹하게 탄압하고 크로아티아...
    출생 :
    1040. 6. 27, 폴란드
    사망 :
    1095. 7. 29, 슬로바키아 니트라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부아디수아프 3세 바르네인치크 Wladyslaw III Warnenczyk
    꾸몄고 이것이 성공해 1440년 7월 부아디수아프는 부도에서 헝가리의 왕 울라슬로 1세로 즉위했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가문의 신성 로마 황제 알브레히트의...했기 때문에 이후 3년 동안 전쟁이 일어났다. 결국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부아디수아프 사이의 화해를 주선했고 부아디수아프는 투르크...
    출생 :
    1424. 10. 31, 폴란드 크라쿠프
    사망 :
    1444. 11. 10, 불가리아 바르나
    국적 :
    폴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블라디슬라프 2세 Vladislav II
    그는 두 나라를 연합해서 다스렸다. 폴란드 왕 카지미에슈 4세 야기에우오의 맏아들이었던 그는 1471년 보헤미아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통치 초기는 1478년...점철된 시기였다. 그러나 마티아스가 죽자 블라디슬라프는 1490년 울라슬로 2세로 헝가리 왕에 선출되었다. 그가 보헤미아와 헝가리 양쪽에서 신하들의...
    출생 :
    1456
    사망 :
    1516. 3. 13, 헝가리 부다페스트
    국적 :
    보헤미아·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라슬로
    라슬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라슬로 1세: 헝가리의 국왕 라슬로 2세 라슬로 3세: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라슬로 4세 비로 라슬로: 헝가리, 아르헨티나의 발명가 하나 라슬로: 이스라엘의 배우, 코메디언 베네데크 라슬로: 헝가리 태생으로 할리우드에서 활동한 영화 감독 쿠벌러 라슬로: 헝가리의 전 축구...
    도서 위키백과
  • 라슬로 2세 Vladislaus II of Hungary, ウラースロー2世..
    왕족 정보 울라슬로 2세는 보헤미아의 국왕이다. 폴란드의 야기에우워 왕조 출신이며 보헤미아의 국왕 블라디슬라프 2세에 해당한다. 폴란드의 국왕인 카지미에시 4세와 그의 아내인 합스부르크 가의 엘리자베트(Elisabeth) 사이에서 태어났다. 엘리자베트의 아버지는 독일, 헝가리, 보헤미아의 국왕인 알브레히트 2세...
    도서 위키백과
  • 라슬로 1세 Ladislaus I of Hungary, ラースロー1世 (ハン..
    왕위에 즉위한 이후에는 옛날부터 헝가리에 전하고 있던 법률을 종합한 《라슬로 1세 법전》을 편찬했다. 1085년에는 헝가리를 침공한 페체네그인, 1091년에는...로마 제국 황제 사이에서 일어난 서임권 투쟁에서 신성 로마 제국의 하인리히 4세 황제를 지지했다. 1095년 7월 29일 십자군 원정에 나서던 도중에 사망했다...
    도서 위키백과
  • 이슈트반 4세 Stephen IV of Hungary, イシュトヴァーン4世 ..
    인물 정보 이슈트반 4세는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으로 이슈트반 3세의 대립왕이다. 1133년 벨러 2세와 그의 아내였던 세르비아의 옐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1156년과 1157년에는 라슬로와 이슈트반이 게저 2세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했고 나중에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하게 된다. 1160년경에는 자신...
    도서 위키백과
  • 아르파드 왕조 Arpad dynasty
    더욱 줄어들었다. 그의 아들인 이슈트반 5세(1270~72 재위)는 쿠만족(유목 생활을 하는 투르크족의 일파)의 공주와 결혼했고, 둘 사이에 태어난 아들 라슬로 4세(1272~90 재위)가 왕이 되자 헝가리 왕실의 권위는 더욱 떨어졌다. 라슬로 4세는 합법적인 후계자를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엔드레 2세의 손자 엔드레 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브와디스와프 3세 Władysław III of Poland, ヴワディスワフ3世 (ポーラ..
    죽었다)의 아들 라슬로 5세(Ladislaus Posthumus)가 어린 나이에 계승했고, 폴란드 왕위는 3년간의 공위 기간을 거쳐 동생 카지미에시 4세가 계승했다. 카지미에시 4세는 1454년 라슬로의 누이 엘리자베트와 결혼했고, 그들의 손자 중 한 명인 러요시 2세도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종조부 브와디스와프 3세와 같은 운명...
    도서 위키백과
  • 이슈트반 5세 Istvan V
    족 출신 아내 엘리자베트의 영향으로 그가 이교도 성향을 지녔다고 여겨졌기 때문이었다. 불만세력은 보헤미아의 오타카르 2세와 손잡고 헝가리 서부를 침공했다. 그러나 그는 모소니에서 오타카르를 물리쳤으며(1271), 반란군에게 납치되어간 어린 아들 라슬로(뒤에 라슬로 4세)를 되찾아올 준비를 하다가 갑자기...
    출생 :
    1239
    사망 :
    1272. 8. 6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