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브 Rababah, rabab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닌 아라비아의 현악기. (아). Rabābah.|중세 유럽 레베크의 시조이다. 최초의 기록은 10세기부터 나타나며, 중세에 많이 사용되다가 후에는 아랍 예술음악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중세에는 바브가 활로 켜는 현악기를 총칭하는 말로 쓰였다. 앞판에 막이 있으며 보통 2~3개의 줄을 지닌다. 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악기
  • 바브 Rebab, ラバーブ
    바브 또는 레밥은 중동,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음악에서 연주되는 찰현악기이다. 바브는 8세기 이전에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에서 등장한 현악기로서 이슬람 세계의 무역로를 통해 북아프리카, 아랍 세계, 이란, 중앙아시아 각지로 전파되었다. 11세기에는 바브가 스페인을 비롯한 서유럽 각지로 전파되...
    도서 위키백과
  • 바브 the Bāb
    모하마드는 물라 후사인의 지원을 받아 그 자신이 바브라고 선언할 것을 서두르게 되었다. 그 해 그는 18명의 사도를 모아 자신까지 포함해 바브교의 신성한 숫자인 19를 채웠고, 후루프 알 하이(ḥurūf al-ḥayy:살아 있는 자의 문자) 불렸다. 그들 19명은 페르시아의 여러 지방에서 새로운 신앙의 사도가 되었다...
    출생 :
    1819. 10. 20/1820. 10. 9, 이란 시라즈
    사망 :
    1850. 7. 9, 타브리즈
    국적 :
    이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라미드 우프닉스 Tzadikim Nistarim
    라미드 우프닉스(Lamed Wufniks) 또는 메드 바브닉스는 유대 전설에 등장하는 세계 곳곳에 흩어져 사는 36명의 의인으로, 신의 앞에서 세상을 정당화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머나 먼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살아온 의롭지만 가난한 36명의 의인인데, 자신이 라미드 우프닉스라는 사실을 모른다. 이들은 서로를 모르고...
    도서 위키백과
  • 난 오 카바브 Nan-o-kabab
    바브 또는 나네 카바브는 쿠비데 등의 케밥을 라바시 등의 납작빵과 곁들여 먹는 이란의 전통 식사이다. 빵 대신 밥을 곁들이는 경우 "첼로 카바브" 부른다. 페르시아어 "난 오 카바브"은 "빵과 케밥"이라는 뜻이다. "난"은 "빵"을, "오"는 "~와"를, "카바브"는 "케밥"을 뜻한다. "나네 카바브""는 "빵"을 뜻하는 "난...
    도서 위키백과
  • 첼로 카바브 Chelow kabab, チェロウ・キャバーブ
    등의 케밥을 쌀밥과 곁들여 먹는 이란의 전통 식사이다. 음료로는 보통 두그를 곁들인다. 이란의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쌀밥 대신 납작빵을 곁들이는 경우 "난 오 카바브" 부른다. 페르시아어 "첼로 카바브"는 "쌀밥"을 뜻하는 "첼로"와 "케밥"을 뜻하는 "카바브"가 합쳐진 말이다. 난 오 카바브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짐바브웨 Zimbabwe
    무가베가 2017년 11월 21일에 사임하게 되면서, 37년간의 무가베의 독재도 끝나게 되었다. 짐바브웨의 헌법에 따르면, 무가베의 대통령직은 부통령인 펠레케젤 음포코가 이임받아야 하나, ZANU-PF당 원내 총무 러브모어 마투케는 로이터에 음낭가과가 대통령으로 임명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7년 12월, 짐바브웨 뉴스...
    도서 위키백과
  • 리라 lira
    로 뜯어 연주하는 그리스 리라와는 대조적으로 리라는 켜는 현악기에 해당하며, 9세기경 모든 유럽의 켜는 현악기의 기원이 된 아랍의 바브(rabāb)의 비잔틴형으로 나타났다(→ 바브). 이 비잔틴형 리라가 어떻게 서유럽으로 전해졌고, 변형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11~12세기 학자들은 종종 피들과 리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악기
  • 파블로 Pablo, パブロ
    선수 파블로 데 에스칸돈 이 바론 후안 파블로 앙헬: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중앙 공격수 파블로 베네기스: 스페인의 시인 겸 음악가 파블로 라인: 칠레의 영화 감독 파블로 오르바이스 호세 파블로 칸틸로: 미국의 배우 파블로 이글레시아스: 스페인의 사회주의자, 노동운동가 파블로 카사도: 스페인의...
    도서 위키백과
  • 샤미 케밥 Shami kebab
    익힌 뒤 갈아서 동글납작하게 빚은 다음 기름에 지져 먹는다. 번 사이에 샤미 케밥과, 달걀, 양파, 차트니 등을 끼워 먹는 것은 "안다 샤미" 불린다. 힌두스탄어 "샤미 카바브는 어원이 불분명한 "샤미"와 아랍어 "카밥"이 페르시아어 "카바브"를 거쳐 들어온 말인 "카바브"로 이루어져 있다. "샤미"의 어원에 관해서...
    도서 위키백과
  • 레베크 rebec
    원래 루베베(rubebe)라고 불렸으며, 11세기에 아랍의 비슷한 악기 바브(rabāb)에서 발전하여 이슬람 문화와 함께 스페인에 전해졌다. 바브와 마찬가지로 몸체가 얇은 배 모양(pear-shaped)이지만, 가죽으로 된 바브의 공명판 대신 나무 공명판과 지판이 사용되었다. 가슴이나 턱에 대고 연주하였으며, 몸체의 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악기
  • 발르크 케밥
    음식 정보 발르크 케밥는 아제르바이잔의 생선 케밥이다. 흔히 철갑상어 살로 만들지만, 다른 생선을 사용하기도 한다. "내래 발르그" 불리는 카스피해 철갑상어가 흔히 사용된다. 생선살을 토마토 페이스트 등에 재어 두었다가, 꼬치에 꿰어 굽는다. 토마토, 양파, 레몬을 곁들여 내며, 나르섀라브와 숨마끄를 함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