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떠들썩지빠귀 chat-thrush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지빠귀류보다 작고, 가는 다리와 화려한 깃털을 갖고 있다. 떠들썩지빠귀류는 때때로 검은딱새아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들은 전세계에 서식하지만 특히 아프리카의 열대지방에서 주로 서식한다. 이 종류는 흔히 날개와 꼬리를 떤다. 많은 종류가 딱새과(Muscicapidae)의 솔딱새류 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지빠귀 thrush
    근래에 와서는 구대륙의 곤충을 먹는 조류인 딱새과(Muscicapidae)의 한 아과(亞科)로 분류되기도 하고, 떠들썩지빠귀아과(Saxicolinae)의 떠들썩지빠귀류와 지빠귀아과(Turdinae)의 전형적인 지빠귀류로 나뉘기도 한다. 구대륙의 휘파람새과(Sylviidae:딱새과 휘파람새아과[Sylviinae]로 분류하기도 함)의 휘파람새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난생동물
  • 굴뚝지빠귀 wrenthrush
    정의 조강 참새목 지빠귀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Zeledonia coronata’이다. 크기는 약 10~11cm이다. 식성은 잡식이다. 참새목 지빠귀과의 떠들썩지빠귀류 새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신대륙개개비과(Parulidae) 숲개개비류에 가까운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는 잠정적으로 굴뚝지빠귀과(Zeledoniidae...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지빠귀과
    크기 :
    약 10cm ~ 11cm
    학명 :
    Zeledonia coronata
    식성 :
    잡식
  • 울새류 robin
    수컷이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주며 새끼는 14∼16일이면 날 수 있다. 신대륙지빠귀속의 조류도 흔히 울새라 부른다. 유럽울새는 검은딱새아과에 속하는 떠들썩지빠귀류의 일종으로 유럽 전역과 서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일부에 서식한다. 북유럽의 울새는 부분적으로 이동성이지만 보다 남쪽의 울새는 이동하지 않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휘파람새류 warbler
    지방의 정원에 흔한 맹그로브파리잡이새 등이 포함된다(이 과에 속하는 화려한 휘파람새류에 대해서는 '요정굴뚝새류' 항목 참조). 지빠귀과(Turdidae)의 떠들썩지빠귀류에는 새벽녘에 아름답게 노래하는 빨리우는딱새속의 3종이 포함된다. 아프리카 동부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은 아프리카빨리우는딱새로 갈색빛...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제비꼬리딱새류 forktail
    일반적으로 참새목 지빠귀과의 떠들썩지빠귀류로 분류하지만 제비꼬리딱새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산의 시냇물을 따라 돌 사이의 곤충을 잡아먹으며, 강한 휘파람 소리를 낸다. 대부분 아래, 위로 움직이는 깊게 갈라진 꼬리를 가지며, 눈에 잘 띄는 흑백의 무늬를 갖고 있다. 6종은 꼬리가 길어 몸길이가 28cm 정도이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참새하목
    나무떠들썩새 여새과 (Bombycillidae) 비단털여새과 (Ptiliogonatidae) Hylocitreidae 검은깃여새사촌과 (Hypocoliidae) - 단일종 검은깃여새사촌 오오과 (Mohoidae) 딱새상과 (Muscicapoidea) Elachuridae 물까마귀과 (Cinclidae) 딱새과 (Muscicapidae) 개똥지빠귀과 또는 지빠귀과 (Turdidae) 소등쪼기새과...
    도서 위키백과
  • 명금류 Songbird, スズメ亜目
    나무떠들썩새 여새과 (Bombycillidae) 비단털여새과 (Ptiliogonatidae) Hylocitreidae 검은깃여새사촌과 (Hypocoliidae) - 단일종 검은깃여새사촌 오오과 (Mohoidae) 딱새상과 (Muscicapoidea) Elachuridae 물까마귀과 (Cinclidae) 딱새과 (Muscicapidae) 개똥지빠귀과 또는 지빠귀과 (Turdidae) 소등쪼기새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