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등세모근 승모근, trapezius muscle
    목의 뒤쪽과 등 윗부분의 표면에 있는 커다란 근육.|오른쪽과 왼쪽의 등세모근이 함께 불규칙한 4개의 면을 가진 사다리꼴을 이룬다. 등세모근은 두개골 바닥에 있는 후두골, 7개의 경추골 양쪽에 있는 인대, 7번째 경추골과 모든 흉추골에서 시작하여 쇄골의 뒤쪽과 견갑골의 돌출부에서 끝난다. 등세모근의 주요기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근골격계
  • 승모근 (관련어 등세모근) Trapezius, 僧帽筋
    승모근(trapezius)은 뒤통수뼈에서부터 척추의 아래등뼈로까지 세로로 이어지는, 측면으로는 어깨뼈 척추까지 이어지는 한 쌍의 커다란 표면 근육이다. 어깨뼈를 움직이며 팔을 지탱한다. 등세모근이라고도 한다. 승모근은 3가지 기능적 부분으로 나뉜다: 윗부분은 팔의 무게를 지탱한다. 중간부분은 어깨뼈를 들인다. ...
    도서 위키백과
  • 몸통 소도구 운동, 짐볼에 엎드려서 몸통 젖히기 Gymball back extension
    운동 영상 운동 순서 동작 1 배를 짐볼에 대고 양다리는 뒤로 뻗은 상태로 뒷짐지고 엎드린다. 동작 2 허리근에 힘을 주면서 몸통을 들어올린다. 응용동작 상체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팔을 벌려 아령 들어올리기를 실시하면 등세모근 발달에 좋다. [Tip] 허리가 과도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운동유형 :
    소도구 운동
    운동효과 :
    근력 향상
    운동부위 :
    몸통 - 등세모근, 허리근, 볼기근
    운동단계 :
    1~5단계(성인체력 단계별 운동 가이드라인 보기)
  • 토마호크 스테이크 Tomahawk Steak
    Steak)’라고도 한다. 짧은 자루가 달린 도끼와 유사하여, 미국 원주민 중 알곤킨 족이 사용하던 돌도끼의 이름이 붙었다. 등심의 바깥쪽에 붙어있는 등세모근을 제거하고 배최장근과 가시근을 둥그렇게 갈비뼈에 남긴 후 갈비뼈에서 아래쪽 치마살과 양지를 제거하여 손잡이처럼 뼈만 남기면 전형적인 토마호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레시피 , 식재료
  • 덤벨 몸통 운동, 허리 굽혀 덤벨 들기 Bent over dumbbell raise
    운동 순서 동작 1 덤벨을 들고 발을 어깨 너비만큼 벌려 선다.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앞으로 살짝 구부린다. 무릎도 안정적으로 약간 구부린다. 동작 2 등세모근에 집중하여 팔을 양 옆으로 들어 올린다. 응용동작 자세가 불안한 경우 벤치에 앉아 가슴을 무릎에 대고 실시할 수 있다. [Tip] 반동을 이용하지 않도록...
    운동유형 :
    바벨 · 덤벨 및 철봉 운동(Weight Training: Barbell & Dumbbell and Bar)
    운동효과 :
    근력 향상
    운동부위 :
    몸통 - 중간어깨세모근, 마름모근, 뒤어깨세모근, 등세모근
    운동단계 :
    3~5단계(성인체력 단계별 운동 가이드라인 보기)
  • 더부신경 Accessory nerve, 副神経
    좋은 글뇌신경 더부신경(accessory nerve), 또는 부신경(副神經)은 목빗근과 등세모근에 분포하는 뇌신경이다. 더부신경은 뇌에서 시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12쌍의 뇌신경 중 11번째 뇌신경이므로 간단하게는 뇌신경 XI(CNXI)로도 불린다. 더부신경이 분포하는 목빗근은 머리를 기울이고 회전시키며 어깨뼈와...
    도서 위키백과
  • 후만 · 전만 자세 kypho-lordosis
    회내 ㆍ단축된 근육 :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갈비사이근, 배곧은근, 가슴근, 허리폄근, 넙다리모음근 ㆍ약화된 근육 :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하부등세모근 ㆍ대상 ㆍ등뼈후만: 사무직, 비만이면서 가슴이 큰 여성, 매우 키가 큰 사람 ㆍ허리뼈전만: 댄서, 임산부, 비만, 체조선수, 허리를 지속적으로 과신전시키...
  • 흉근 胸筋, pectoralis muscle
    와 인체 축의 앞쪽으로 팔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팔이 올려진 채로 고정되었을 때(산을 오를 때처럼) 대흉근은 넓은등근[廣背筋]과 큰원근[大圓筋]을 도와 몸통을 끌어올린다. 소흉근은 대부분 대흉근 밑에 있고 견갑골에 붙어 있다. 소흉근은 어깨를 앞쪽으로 당기거나 밑으로 끌어내리는 것을 돕는다(등세모근과 반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근골격계
  • neck
    목 안에 있거나 목을 지나는 중요한 구조물들로는 7개의 경추골과 그 내부의 척수, 목정맥과 목동맥, 식도 일부, 후두, 성대, 앞쪽으로는 흉골쇄골유돌기근과 혀근육, 뒤쪽으로는 등세모근과 다른 목덜미근육들이 있다. 영장류 가운데 사람은 비교적 목이 긴 편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근골격계
  • 개흉술 흉강절개술, 開胸術
    안쪽 경계와 척추의 가시돌기(spinous process) 사이를 따라 위쪽으로 이어진다. 이때 앞톱니근(serralus anterior), 넓은등근(latissimus dorsal), 등세모근(trapezius) 등이 절단된다. 전외측절개술은 재빨리 흉곽을 열 수 있고, 환자가 수술대 위에서 반앙와위(半仰臥位)로 누울 수 있으며 마취시 환자의 심호흡계를...
  • 더부신경장애 Accessory nerve disorder
    condition (new) 더부신경장애(accessory nerve disorder) 또는 척수더부신경 마비(spinal accessory nerve palsy)는 더부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목빗근과 등세모근 위쪽 부분의 기능이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질환이다. 척수더부신경이 마비된 환자는 종종 근육 중량 감소, 근섬유다발수축, 목빗근과 등세모근의 부분적...
    도서 위키백과
  • 더부신경 척수뿌리 Spinal root of accessory nerve
    차지한다. 신경은 턱두힘살근과 붓목뿔근 뒤에서 목빗근의 위쪽으로 비스듬히 내려간다. 이후 목빗근을 관통하고 뒤목삼각을 가로지르며 비스듬히 주행하여 등세모근의 깊은 표면에서 끝난다. 목빗근을 가로지르면서 목빗근에 여러 신경 미세섬유를 내고, 둘째목신경에서 온 가지들과 합류한다. 뒤목삼각에서는 둘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등세모근(trapezius muscl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