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관성 (관련어 등가속도운동) 慣性, inertia관성(慣性, inertia)은 어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없거나, 작용하는 힘들의 합이 0일 때 물체가 운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질을 말한다. 관성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려는 정지관성(停止慣性)과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는 운동관성(運動慣性)이 있다. 관성은 물체의 운동 상태에 따라 정지관성과 운동관성으로 ...
-
포물선운동 抛物線運動, parabola motionχ축은 등속운동으로 속력이 일정하고 y축은 중력 방향으로 자유낙하운동을 하여 결국 물체는 수평 방향의 등속운동과 연직 방향의 등가속도운동을 합성한 운동이다. 일상생활에서의 포물선운동 대포, 농구, 축구 등과 같이 물체를 특정 공간에 정확하게 던지거나 쏠 때 흔히 구 모형의 물체를 이용하는 운동이나 도구는...
-
-
일 work작용했다면 '마찰력이 한 일'은 -f×s가 된다. 이때 알짜 힘이 한 일은 (F-f)s가 된다. 운동에너지 정리 아래 그림과 같이 수평에 질량이 m 물체가 운동할 때 등가속도 공식 V2 – V02 = 2as에서 가속도 이므로 대입하면, 그러므로 알짜 힘이 한 일은 (운동에너지 변화)가 된다. 연극으로 표현하는 일 • 상황 묘사 이해...
-
전기력 電氣力, electric force이은 선이다. 전기력선의 모양은 자석 주위에 쇳가루를 뿌려놓을 때 자기력선을 관찰할 수 있다. • 평행한 금속판 사이에 전기력선 = 균일한 전기장 = 등가속도 운동 • 전하량이 q, 전기장의 세기 E, 질량이 m인 대전체를 평행한 금속판 안에 넣으면 전기장의 세기는 전기력선에 밀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평행한 금속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