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문학의 한 갈래.|남인도에서 쓰는 드라비다 여러 언어 가운데, 특히 타밀나두(옛 마드라스 주)를 중심으로 한 타밀어, 안드라 주를 중심으로 한 텔루구어, 카르나타가를 중심으로 한 칸나다어, 케랄라 주를 중심으로 한 말라얄람어 등의 언어는 각각 독자적인 문학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문학 모두를 합쳐서 ...
쓰인다. 지금은 드라비다어가 주로 남인도에서만 쓰이지만 예전에는 보다 넓은 지역에서 쓰였다는 것이 틀림없는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 드라비다어족의 특징은 최초의 인도아리아 문학작품으로 알려진 〈리그베다 Ṛgveda〉 에 나타난다. 학자들은 원시 인도아리아어와 드라비다 공통조어라는 2개 언어를 함께 썼다는...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지속되어왔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인도문학은 사용된 언어에 따라 산스크리트 문학, 프라크리트(大衆語) 문학, 드라비다문학, 그리고 인도의 여러 방언에 의한 문학과 영국의 영향에 의한 영어 문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인도문학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것은...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남인도의 여러 언어들 가운데서도 독자적인 고전문학을 가진 점에서 드라비다문학을 대표하는 것은 타밀 문학이다. 최고(最古)의 타밀 문학은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고전기(BC 100~AD 250)에 3개의 문학 학파(caṅkam)가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그중 2번째 학파에 속하는 〈톨카피얌...
고전(인도아리아인의) 산스크리트로 씌어진 문학작품을 제외하면 타밀 문학은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문학이다. 금석문 몇 가지는 BC 3세기까지 소급되지만 타밀 문학은 AD 1세기경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초기시는 다수가 종교시 또는 서사시였으며, 예외적인 것으로는 창캄(문학협회) 회원들이...
최초의 칸나다어 기록은 6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명문들에 이미 보이지만 최초의 문학 작품은 산스크리트 시를 기초로 하여 씌어진 시학 논문 〈대시인의 길 Kavirājamārga〉(850경)이다. 칸나다어로 된 초기 문헌으로서 현존하는 거의 모든 작품은 자이나교 시인들이 쓴 종교시이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12세기...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하는 칸나다족이 거주하고 있다. 칸나다족은 드라비다계 종족에 속하지만 여러 세기 동안 아리아인과 혼혈되어왔다. 주요종교는 힌두교이나 한때 번성했던 자이나교와 불교도 아직까지 남아 있다. 칸나다 문학은 자이나교·브라만교 작가들 및 비라사이바(링가야트라고도 함)파(派) 작가들에...
타밀족은 힌두교를 믿지만 이슬람교·그리스도교·자이나교를 믿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에 타밀 지역에서는 타밀 문화와 언어, 문학의 탈산스크리트화·탈브라만화를 주장하는 드라비다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타밀족은 역사적으로 많은 업적을 이룩해왔다. 이들 사이에서는 일찍부터 항해·도시건설·상업 등이 발전...
인도는 원래 인구가 많고 국토가 넓은데 이에 따른 민족의 이동 이들 종교들 상호간에는 충돌과 교류가 있었다. 인도 문학의 언어면에서는, 인도의 언어는 인도 아리아어 계통("인도유럽어족-인도이란어파-인도아리아어군")과 드라비다어 계통("드라비다어족")으로 나뉜다. 인도 아리아어 계통에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동사에 붙는 인칭어미가 없다는 점에서 타밀어와 다르다. 대부분 드라비다어족의 언어들처럼 말라얄람어는 권설자음(예를 들어 혀 끝을 입천장 뒤쪽으로 말아서...문법범주를 접미사를 써서 나타낸다. 9세기 후반부터 쓰이기 시작했고 최초의 문학 작품은 13세기초의 것이다. 이 언어는 타밀 문자에서 유래한 '콜렐루투...
고전문학을 인도의 주요언어들로 소개하는 한편 격년제로 국제서적전람회를 개최한다. 전국 또는 지방별로 서적전시회, 세미나, 작가 캠프 등의 행사를 주최한다. 또한 해외에서 열리는 주요 국제서적전람회에 인도의 서적을 전시하는 일도 담당하고 있다. 신문·방송 신문은 영국 통치기에 엄격한 통제를 받았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