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두루미류 crane
    두루미목(―目Gruiformes) 두루미과에 속하는 15종(種)의 키가 큰 섭금류(涉禽類).|외견상 왜가리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몸집이 더 크고 머리는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부리가 더 단단하고, 깃털이 더 조밀하며 뒷발가락의 위치가 더 높다. 날고 있는 동안에는 긴 목을 앞으로 뻗치며, 긴 다리는 뒤쪽으로 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두루미과 (관련어 두루미류) Crane (bird), ツル
    생물 분류 두루미과(Gruidae)는 목과 다리가 길며 두루미목에 속하는 새의 한 과이다. 남극과 남아메리카 대륙을 제외한 전 대륙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적으로 유사해 보이는 백로류와는 목을 펴고 비행하는 것이 다르며, 일반적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지 않는다. 두루미류 중 관두루미 만이 잠을 잘 때 나무 위에서 잠...
    도서 위키백과
  • 검은목두루미 검은두루미
    호수 등에서 농작물의 곡류, 뿌리, 풀, 수생식물과 동물성인 곤충류, 지렁이, 개구리, 설치류를 비롯하여 소형 조류 등도 먹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두루미류는 예로부터 학, 선금, 야학으로도 불렸다. 신선과 같이 대하고 산, 물, 돌, 태양, 구름, 소나무, 거북, 사슴, 불로초와 함께 십장생(十長生) 중의 하나로...
    시대 :
    현대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28호, Hooded Crane
    생활하며 이동시기와 월동지에서는 가족군이 모여 큰 무리를 이룬다. 넓은 농경지 또는 갯벌을 거닐며 낟알, 씨앗과 뿌리, 어류 등을 먹는다. 특징 소형 두루미류다. 이마가 검은색이며 정수리 앞부분에 붉은색 피부가 노출되었다. 머리와 목 윗부분은 흰색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회흑색이다. 어린새 머리와 목이 엷은...
    분류 :
    두루미과(Gru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28호
    서식지 :
    러시아의 아무르 유역과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한다.
    크기 :
    L96.5cm
    학명 :
    Grus monacha Hooded Crane
  • 두루미 Grus monacha
    형태 크기: 약 96~100cm 정도의 크기이며, 두루미류 중에 소형에 속한다. 채색과 무늬: 머리와 턱 밑, 목 윗부분은 흰색이며, 아랫부분은 검은색이다. 머리꼭대기에는 붉은색 피부가 드러나 있다. 등, 어깨, 허리, 위꼬리덮깃은 어두운 갈색빛이 도는 회색이다. 날개덮깃은 회색이며, 꼬리는 검은색이다. 부리는 황갈색...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두루미목(Gruiformes) > 두루미과(Gruidae)
    학명 :
    Grus monacha Temminck, 1835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1997년 전라남도 순천만 일대 습지에서 70여 개체가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매년 월동개체수가 증가해 현제 500~600여 개체가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청남도 천수만 간월호 인근 논경지에서 200~250여 개체가 월동하지만 간월호가 결빙되면 순천만으로 이동한다.
    해외분포 :
    러시아의 아무르 지역과,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양쯔강, 일본 규슈지방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천연기념물 제228호
  • 두루미 hooded crane
    두건을 쓴 두루미’라는 뜻으로 몸 전체가 까맣지만 이마를 제외한 머리 부분은 하얀 깃털이 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이다. 종 자체를 천연기념물 제228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76cm~1m, 무게는 약 3.3~8.8kg이다. 다른 두루미류처럼 둘째 날개 깃이 길게 뻗어 꼬리를 덮고...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두루미목 > 두루미과 > 두루미속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논, 밭, 소택지, 하구
    먹이 :
    게, 벼, 보리
    크기 :
    약 76cm ~ 1m
    무게 :
    약 3.3kg ~ 8.8kg
    학명 :
    Grus monach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7~30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시베리아흰두루미
    강원 철원평야, 파주, 화성, 천수만, 만경강, 순천만, 고흥, 흑산도, 제주도 등지에서 관찰기록이 있다. 행동 습지, 논 등지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다른 두루미류 무리에 섞여 먹이를 찾거나 단독으로 월동한다. 긴 부리를 이용해 땅 위에 떨어진 식물의 종자, 곤충류, 어류, 조개류를 먹는다. 특징 이마에서 눈 뒤...
    분류 :
    두루미과(Gruidae)
    서식지 :
    러시아의 오브강과 시베리아 북동부의 콜리마천 유역에서 번식하고, 중국의 포양호, 양쯔강에서 월동한다.
    먹이 :
    식물의 씨앗, 곤충류, 어류, 조개류
    크기 :
    약 135cm
    무게 :
    약 5~9kg
    학명 :
    Grus leucogeranus Siberian Crane
    임신기간 :
    약 29일
    멸종위기등급 :
    위기
    분포지역 :
    러시아(오브강), 시베리아 북동부(콜리마천 유역) 등
  • 쇠재두루미 Demoiselle Crane
    번식한다. 건조한 기후지대에서 서식하며 비교적 단단한 땅, 키 작은 풀밭지역을 좋아한다. 땅에 떨어진 씨앗이나 식물의 뿌리를 먹는다. 특징 소형 두루미류다. 부리가 짧다. 먼 거리에서 검은목두루미로 착각하기 쉽다. 날 때 가슴이 검은색으로 보이며, 첫째날개덮깃과 첫째날개깃의 색 차이가 거의 없다. 셋째날개깃...
    분류 :
    두루미과(Gruidae)
    서식지 :
    우크라이나에서 중국 북동부, 몽골의 아시아 내륙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나일강 유역, 중동, 인도, 중국에서 월동한다.
    크기 :
    L68~90cm
    학명 :
    Grus virgo Demoiselle Crane
  • 캐나다두루미 Sandhill Crane
    무리를 이루지만 국내에서는 다른 종에 섞여 월동하거나 이동 중 잠시 기착한다. 넓은 논, 습지에서 낟알, 씨앗, 곤충, 달팽이류 등을 먹는다. 특징 소형 두루미류에 속한다. 전체적으로 회색이며, 날개덮깃과 등깃에 녹슨 듯한 갈색 깃이 불규칙하게 섞여 있다. 이마에서 정수리까지 붉은색 피부가 노출되었다. 머리...
    분류 :
    두루미과(Gruidae)
    서식지 :
    북아메리카 북부와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 중부와 남부에서 월동한다.
    먹이 :
    곡류, 식물의 씨앗, 곤충류, 달팽이류 등
    크기 :
    약 95cm
    무게 :
    약 5.2~6.1kg
    학명 :
    Grus canadensis Sandhill Crane
    임신기간 :
    약 29~32일
    분포지역 :
    시베리아 동부, 알래스카 동부, 캐나다 북부 등
  • 캐나다두루미 Grus canadensis
    형태 크기: 약 95cm 정도의 크기이며, 두루미류 중에 소형에 속한다. 채색과 무늬: 전체적으로 회색을 띠며 머리와 목은 흰색이다. 이마에 붉은색을 띤다. 주요 형질: 이마는 붉은색 피부가 들어나 있다. 머리와 목은 회색이며, 날개덮깃과 등깃에 녹슨 갈색깃이 섞여 있다. 생태 서식지: 습지와 논에서 생활한다. 먹이...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두루미목(Gruiformes) > 두루미과(Gruidae)
    학명 :
    Grus canadensis (Linnaeus, 1758)
    국내분포 :
    경기도 파주시, 강원도 철원평야, 충청남도 천수만,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소수개체만이 관찰된다.
    해외분포 :
    북아메리카와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 중부와 남부에서 월동한다.
    특징 :
    길잃은새
  • 두루미목 Gruiformes
    제외한 모든 종들의 날개는 둥그스름하며 길다. 꼬리 길이는 다양하여 뜸부기류와 나팔새류는 짧고 지느러미발류·메사이트류·뱀눈새는 꽤 길다. 두루미류·뜸부기류·두루미사촌의 부리는 길고 가늘지만, 느시사촌류의 부리는 갈고리 모양이다. 긴 다리는 걷기에 좋으며, 이 목에 속하는 종류들은 모두 걸어서 이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두루미
    학명지사(鶴鳴志士)’라 하면 몸을 닦고 마음을 실천하는 선비를 말하며, ‘학명지탄(鶴鳴之歎)’이란 선비가 은거하여 도를 이루지 못함을 탄식하는 것을 뜻한다. 학의 형상에서 비유된 ‘두루미 꽁지 같다.’라는 말은 수염이 짧고 더부룩한 모습을 일컫는데, 학의 꽁지가 뭉툭하고 더부룩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