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African swine fever
    전염되기 쉽고 일반적으로 치명적인 돼지의 바이러스성 질병. '혹멧돼지콜레라(warthog fever)'라고도 함. 아프리카 케냐에서 1910년 발견된 이래 유럽을 거쳐 아시아 일대까지 전파되었다. 이 병에 걸린 돼지는 고열과 호흡 곤란을 거쳐 일주일 안에 대개 사망한다. 한국에서는 2019년 9월 17일 경기도 파주에서 처음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질병 , 감염성
  • 폐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모든 것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보건당국, 축산농가와 업계, 일반 소비자까지 그야말로 난리가 났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전파 속도는 너무나 빠르다. 2019년 9월 17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처음으로 확진 판정이 난 이래 바로 다음 날, 연천군의 돼지농가에서도 추가 확진 판정이 내려졌다. 9월 23일에는 김포시에서 확진 판정이 ...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감염성 , 전염병
  • 돼지의 주요 질병, 바이러스성 질병 (관련어 돼지열병)
    돼지열병(Classical Swine Fever, Hog Cholera) 과거 돼지콜레라로 불렸던 돼지열병의 원인체는 플라비바이러스과(Flaviviridae)의 페스티바이러스(Pestivirus)에 속하는 RNA바이러스로 돼지에게만 질병을 일으킨다. 국제수역사무국이 지정한 축산업에 피해가 심각한 질병인 리스트 A에 속하는 질병으로 이 병이 발생하...
    도서 돼지 기르기 | 태그 동물 , 질병
  • 돼지 열병의 확산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들
    독일 Leibniz-IZW(Leibniz Institute for Zoo and Wildlife Research), 프리드리히 뢰플러 연구소(Friedrich Loeffler Institute), UFZ(Helmholtz Centre for Environmental Research), 포츠담 대학(University of Potsdam)의 연구진은 야생 멧돼지를 감염시키는 고전적인 돼지 열병에 대한 장기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질병 , 감염성
  • 돼지콜레라 (관련어 돼지열병) 돼지페스트, swine fever
    돼지에게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질병.|종종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이 병에 걸리면 고열이 나고 무기력해지며 감염된 돼지로부터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다른 돼지에게 전염된다. 전염 매개체는 돼지를 실어나르는 운반수단, 여러 농장을 돌아다니는 상인, 농장에서 일하는 사람 등이다. 바이러스는 돼지먹이로 사용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질병 , 감염성
  • 돼지 돼지콜레라, swine fever
    Petivirus속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전염성이 강한 돼지의 질병. 입이나 코를 통하여 감염되며 잠복기간은 대개 5~10일 정도이다.
  • 돼지콜레라 (관련어 돼지 열병) Classical swine fever, 豚熱
    생물 분류 돼지콜레라 또는 돈역(豚疫, 고전적 돼지열병은 돼지아목의 포유동물들이 감염되는 매우 전염성이 높은 질병이다., The Center for Food Security and Public Health / Th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nimal Biologics,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owa State University, update Sep...
    도서 위키백과
  •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African Swine Fever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전 세계적으로 퍼진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출혈성 돼지 전염병이다. 감염된 돼지의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주로 감염된 돼지의 눈물, 침, 분변과 같은 분비물 등을 통해 전파되며 잠복 기간은 약 4일에서 19일이다. 돼지 외에는 ASF에 잘 감염되지 않으며 감염돼도 무해하다. ASF는 인수공통...
  •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 African swine fever vi..
    혹멧돼지, 강멧돼지, 연진드기과에 속하는 Ornithodoros 속을 지속적으로 감염시킨다. 아프리카 돼지 열병 바이러스는 절지동물이 전파하면서 두가닥 DNA 유전자가 있는 유일한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이 바이러스는 돼지에게 치명적인 출혈열을 발생시킨다. 어떤 분리 바이러스는 감염 후 일주일 만에 빠르게 동물의...
    도서 위키백과
  • 아프리카돼지열병 African swine fever, アフリカ豚熱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은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돼지의 전염병이다. 돼지와 멧돼지의 질병으로,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는다. 돼지과의 동물 즉 집돼지와 멧돼지 등의 돼지에 속하는 동물에게만 감염되는 전염병으로 본래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 발병하여져서 지어졌다. 주로 감염된...
    도서 위키백과
  • 청야전술 淸野戰術
    청야전술이 활용됐다. 세계적으로는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당시 러시아가 청야전술을 활용해 나폴레옹을 패망으로 이끌었던 바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과 관련해 청야전술이 등장했다. 정부는 ASF가 발생한 파주와 김포의 모든 돼지를 수매하거나 살처분하기로 했다. 그러나 보상안을 놓고 일부 농가들이...
  • 인수공통감염
    걸리면 공수병(물을 두려워하는 증상이 있어서), 광우병(BSE)에 감염되면 변형 CJD(vCJD) 라고 달리 표현한다. 콜레라와 돼지 콜레라는 인수공통감염병인가? 콜레라와 돼지콜레라(돼지열병)는 인수공통감염병이 아니다. 콜레라는 사람, 돼지콜레라는 돼지가 걸린다. 이 두 질병이 인수공통감염병이 되려면 사람과 돼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