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구로동맹파업 구동파, 九老同盟罷業대우어패럴 위원장 등 노조간부 3인을 구속했다. 이에 6월 24일부터 대우어패럴 노동자들의 항의 파업을 시작으로 효성물산, 가리봉전자, 선일섬유 노조가 동맹파업을 벌였다. 이들은 “구속자 전원석방, 노동운동탄압중지, 민주노동운동을 짓밟는 모든 악법 즉각 철폐, 노동부 장관 사퇴” 등을 요구했다. 6월 25일에는...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85년 6월 24일
- 성격 :
- 노조운동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85년 6월 29일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관련 장소 :
- 구로공단
-
구로동맹파업 돌입구로공단의 노동자들이 동맹 파업에 돌입했다. 동맹 파업의 발단은 6월 22일 경찰이 구로공단에 있던 업체 중 하나인 대우어패럴의 노동조합 간부 3명을 연행한 것이었다. 노동자들은 이를 정부가 구로공단의 민주노조들을 차례로 탄압해 해산시키기 위한 첫걸음으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대우어패럴을 비롯...
- 시대 :
- 1985년 6월 24일
- 국가/대륙 :
- 한국
-
위장취업 僞裝就業등 4인이 위장취업자였다는 사실에서, 그리고 대기업에서 발생한 파업이었다는 점에서 이 사건은 언론의 주목을 크게 받았다. 대우자동차파업에 이어 일어난 구로동맹파업도 학생운동 출신 노동자들의 활동을 기반으로 발생한 것이었다. 구로지역 활동가들은 1984년에 대우어패럴, 효성물산, 선일섬유, 가리봉전자 등...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목포부두노동자동맹파업임금 인상을 요구했다. 당시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노동에 시달렸음에도 제대로 된 임금을 받을 수 없었던 것에 대해 항의했다. 1903년까지 일어난 동맹파업은 점심을 물로 채웠던 노동자들이 주민과 함께 항거한 것으로서 초보적 노동자들의 항쟁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1897년 개항한 목포항에 있어 각 개항장의...도서 위키백과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9월 총파업 · 10월 인민항쟁 · 남로당청년 단체까지 동원해 파업 본부를 짓밟고 1천2백여 명의 노동자를 검거한다. 그 뒤 전평이 제시한 요구 조건을 대한노총이 다시 내놓고, 이것을 미군정이 수락...파악한다. 이에 따라 미군정의 정치 규제가 강화되기 시작하자 ‘조선문학가동맹’은 비교적 감시를 피하기 수월한 문화 단체로 침투하는 전술로 방향을...
- 시기 :
- 1946년
-
-
-
평양 고무공장 파업즉시 그 보충을 불쌍한 직공에게 하려 드는 것은 옳지 못한 일이라 하여 직공들도 결속을 하고 어디까지든지 항쟁을 하기로 되었다는데 7일 정오까지 동맹 파업을 단행한 곳과 인원수는 아래와 같다고 한다. ▲대동고무공장 여공 80명 ▲국제고무공장 70명 ▲정창고무공장 180명 ▲평안고무공장 70명 ▲내덕고무공장...
- 간행/발행 :
- 조선일보(1930년 08월 08일)동아일보(1923년 07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