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돌출무대 突出舞臺, open stage
    무대가 없는 연극무대. thrust stage, platform stage라고도 함.|관객 속으로 돌출되어 3면이 관객에게 둘러싸여 있다. 스페인 연극의 황금기(1570경에 시작됨)에 등장한 코랄레스와 일본의 전통적 노[能] 연극에 사용되었다. 엘리자베스 시대에 세워진 글로브 극장을 비롯해서 처음으로 런던에 세워졌던 극장들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극장 劇場, theatre
    객석과 무대를 구분하는 아치가 있는 무대의 제약으로부터 연극을 해방시켰다. 미국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에 있는 '거스리 극장'(1963) 같은 개방무대(돌출무대)는 관객과 배우 간에 친밀한 분위기를 만들어, 특히 고전극 공연을 위해 20세기에 많이 이용되었다. '런던 국립극장'의 일부인 '올리비에 극장'(1976)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코포 Jacques Copeau
    그곳에서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클로델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배우와 관객 사이의 벽을 허물고자 무대와 관람석 사이의 돌출된 부분 을 없애고 무대를 나타내기 위해 단순한 스크린을 설치하는 등 엘리자베스 시대의 앞 무대(apron stage)를 자신의 극장에 재현시켰다. 각 극의 분위기는...
    출생 :
    1879. 2. 4, 프랑스 파리
    사망 :
    1949. 10. 20, 본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안마당 극장 코랄레, courtyard theatre
    이후로 점차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장구조는 이전의 여인숙 안마당 극장과 비슷했다. 배우들은 뒷벽에서 돌출한 탁 트인 무대 위에서 연기했다. 반면 관객들은 무대의 3면 위나 원형면 위 4면이 유리로 된 '칸막이 석(席)' 안에서 앉거나 서서 연극을 감상했다. 대부분의 안마당 무대는 가대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프로시니엄 proscenium
    안에 있다는 사실을 잊게 함으로써 더욱더 강화시킬 수도 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프로시니엄 극장은 점차 인기를 잃어가고 있다. 그 이유는 배우와 관객 사이의 완전한 의사 전달을 이루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짐에 따라 돌출무대나 원형극장 같은 좀더 친근한 형태의 무대양식이 다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돌출 三突出
    의 영웅 인물을 묘사하는데 반드시 따라야하는 원칙으로 인식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모든 인물 중 긍정적인 인물을 돌출시킨다. 긍정적인 인물 중 영웅 인물을 돌출시킨다. 영웅 인물 중 주요 영웅 인물을 돌출시킨다. 구체적 실천은 문화 예술 창작 중에 긍정적 인물을 화면 또는 무대 중앙에 세우고...
    도서 위키백과
  • 그랜빌 바커 Harley Granville-Barker
    와 〈십이야 Twelfth Night〉의 사보이 공연 때 전통적인 무대장치와 웅변조의 말투를 사용하지 않고 빠르고 억양이 가벼운 말투와 중단되지 않은 줄거리를 돌출무대(open stage)에 도입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민족극의 발전을 위해 활약했으며 1914년까지만 해도 그 방면에서 눈부신 성공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제...
    출생 :
    런던, 1877. 11. 25
    사망 :
    1946. 8. 31, 파리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개릭 David Garrick
    있던 관현악단을 아래쪽으로 옮기고 관중석을 넓힐 계획도 마련했다. 연기자들이 걸어나와 자세를 취하고 긴 독백을 하기 위해 자리를 잡던 막 앞의 돌출무대는 새롭게 등장한 자연스러운 연기방식에서는 쓸모없는 것이 되어버렸다. 새로운 조명도 도입하려 했으나 1765년이 되어서야 반사경이 있는 석유등을 각광과...
    출생 :
    영국 히어포드셔 히어포드, 1717. 2. 19
    사망 :
    1779. 1. 20,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드라마센터 동랑레퍼토리, Drama Center
    무대를 본뜬 것인데, 성당의 성가대 무대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다. 전면에는 중세기의 동시무대 형식을 본떠서 만든 관객석 가운데까지 돌출무대가 있으며, 주무대는 근대극의 무대형식이다. 극장의 또다른 특색은 연기자들이 객석 밑에서 드나들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배우가 관객 속에서 솟아나오고 관객들...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8-19
    설립 :
    1962년 4월 12일
    성격 :
    연극전용극장
    유형 :
    단체
    설립자 :
    유치진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인도·중국·일본의 연극사
    없었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차츰 연극 공연을 목적으로 하는 상설극장이 만들어졌다. 중국 극장의 전형은 4각형 건물로 정4각형의 돌출된 큰 무대가 설치되어 있고, 무대 안쪽에서 막을 내리게 되어 있으며 2개의 출입구를 가진 채색된 벽이 둘려 있다. 일본 연극의 하나인 가무극 노[能]와 이를 기초로 한 초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바로크건축, 조반니 로렌초 베르니니 Gian Lorenzo Bernini, Giovanni ..
    꾸며서 장경주의로 처리했다. 건물의 전체 윤곽을 형성하는 신전 파사드는 무대의 배경 막으로 읽혔고 그 앞에 출입구 차양이 무대 세트처럼 돌출했다. 차양을 계단 위에 올려 무대 효과를 높였으며 차양 위에 조각상을 더해 시선이 더욱 집중되도록 했다(도 7-16). 출입구에서 제단에 이르는 동선에 장경주의가 연속...
  • 예술의전당 藝術─殿堂
    오페라와 뮤지컬, 창작음악극에 이르는 다양한 공연예술 작품을 함께 수용하고 있다. 자유소극장은 형식과 내용에서 가장 실험적인 극장으로, 무대와 객석의 벽을 과감히 허물어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300석에서 500석까지 변화가 가능하며, 프로시니엄, 아레나, 돌출, 비정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모한다. 또한 무대의...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서초동 700)
    설립 :
    1988년 2월 15일
    성격 :
    복합 예술센터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