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돌묵상어 거물상어, basking shark
    악상어목 돌묵상어과에 속하는 대형 상어. 대서양·태평양·인도양의 북쪽과 온대해역에서 산다. 물 표면에 떠 있거나 천천히 헤엄치며 14m까지 자라는 큰 상어로, 어류 중에서 고래상어 다음으로 크다. 주로 플랑크톤을 먹지만, 가끔 어분이나 간유를 얻기 위해 먹이를 잡는다. 거대한 지느러미와 커다란 입을 갖고 있...
    분류 :
    척추동물 > 연골어강 > 악상어목 > 돌묵상어과 > 돌묵상어속
    원산지 :
    대서양, 태평양
    서식지 :
    바다
    크기 :
    약 10m ~ 15m
    무게 :
    약 4000kg ~ 5000kg
    학명 :
    Cetorhinus maximus
    식성 :
    육식
    멸종위기등급 :
    높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돌묵상어 Basking shark, ウバザメ
    돌묵상어는 악상어목 돌묵상어과에 속한 대형 바닷물고기이다. 상어 가운데서는 고래상어 다음으로 큰 상어로 태평양·대서양 등지에 분포하는 상어이다. 갑각류와 플랑크톤, 작은물고기 등을 먹으며 4km/h로 순항 할 수 있다. 몸길이는 보통 10m가 넘는 길이로 자라며 몸무게는 20 t에 육박한다. 사람에게 확인된 최대 ...
    도서 위키백과
  • 돌묵상어 거물상어, basking shark
    형태 몸은 크고 방추형이며, 단면은 원통형이다. 머리는 입 전방에서 종편되어 넓적하며, 주둥이는 짧고 둥글다. 눈은 작고 순막은 없다. 아가미구멍은 등에서 배까지 몸을 거의 둘러싸는 것처럼 길게 이어진다. 입은 주둥이 아래에 있고 크며, 입가에 짧은 입술주름이 있다. 턱에는 좁쌀과 같은 많은 이가 있다. 몸은 ...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연골어강(Chondrichthyes) > 악상어목(Lamniformes) > 돌묵상어과(Cetorhinidae)
    학명 :
    Cetorhinus maximus (Gunnerus)
    북한명칭 :
    거물상어
    분포지역 :
    우리 나라 전 해역, 세계의 온대와 한대 해역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상어 shark
    지느러미, 위로 향한 강건한 꼬리, 마치 이빨 같은 비늘이 특징이며 부레가 없다. 생태 어린 뱀상어는 짙은 색의 점으로 된 줄무늬가 있다. 고래상어(Rhincodon)와 돌묵상어는 15m, 수t(톤)에 이르기도 하지만 해를 주지 않는 동물로, 변형된 아가미갈퀴를 통해 바다에서 걸러낸 플랑크톤에 의존한다. 그 밖의 상어들은...
    분류 :
    척추동물 > 연골어강 > 악상어목
    서식지 :
    바다
    먹이 :
    물범, 거북이, 다랑어, 청새치
    크기 :
    약 16cm~18m, 매우 다양
    식성 :
    육식
    수명 :
    약 20~30년
  • 넓은주둥이상어 Megamouth shark, メガマウス
    넓은주둥이상어 ( Megachasma pelagios )는 심해 상어의 일종입니다. 그것은 인간에게 거의 보이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큰 고래상어돌묵상어와 함께 현존하는 여과섭식 상어 3종 중 가장 작습니다. 1976년에 발견된 이후로 관찰되거나 잡힌 표본은 100개 미만입니다. 다른 두 종류의 여과섭식 상어와 마찬가지로 입을...
    도서 위키백과
  • 고래상어 Whale shark, ジンベエザメ
    공식적으로 35.8톤으로 보고되었다.Mollet, H.F. 2008. Research Affiliate, Moss Landing Marine Laboratories. 고래상어돌묵상어, 넓은주둥이상어와 더불어 여과 섭식 상어이다. 고래상어는 작은 해조류, 요각류를 포함해 플랑크톤, 크릴, 작은 물고기 , 생선알, 새끼 크리스마스섬홍게 오징어와 같은 유영동물을...
    도서 위키백과
  • 독수리상어 Aquilolamna, アクイロラムナ
    로맹 뷜로 박사가 화석을 보관할 박물관인 아킬로니마 박물관의 명칭을 따서 아킬로람나 밀라르카이로 명명했다. 독수리상어는 고래상어, 돌묵상어, 뱀상어와 같이 표영성 상어가 가지는 전통적인 특징을 공유하여 잘 발달된 꼬리지느러미와 유선형의 몸통을 가지고 있다. 지느러미는 다른 상어종들과 대체로 흡사하지만...
    도서 위키백과
  • 연골어류 軟骨魚類, chondrichthian
    carcharias)이다. 대부분의 상어와 가오리들은 21℃ 이상의 물에서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 가장 큰 종들로는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고래상어(Rhincodon typus)와 돌묵상어(Cetorhinus maximus)가 있다. 먹이를 먹는 데 열중하고 있는 상어들은 서로 공격을 하며, 귀상어류의 특이하게 생긴 머리를 보면 어느 종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상어 이빨 Shark tooth
    더 잘게 자르기 쉽게 한다. 이러한 이빨을 가진 상어 가운데 유명한 것이 백상아리로 바다사자, 돌고래, 다른 상어, 심지어 작은 고래도 잡아 먹는다. 돌묵상어나 고래상어 같이 플랑크톤을 먹는 상어들은 이빨을 쓸 이유가 없다. 그 결과 이빨이 점점 작아지는 쪽으로 진화하였다. 이 상어들은 입을 벌려 물과 먹이를...
    도서 위키백과
  • 상어 Shark, サメ
    넘으며 긴 것은 100년 정도이다(곱상어). 육식성으로, 특히 발달해 있는 아가미갈퀴로 작은 물고기나 동물성 플랑크톤을 여과하여 먹거나(돌묵상어·고래상어·넓은주둥이상어), 포석모양의 어금니로 새우나 게를 잡아먹거나(별상어), 예리한 엄니모양의 이나 톱니모양의 이로 큰 동물을 잡아먹는다(백상아리·뱀상어...
    도서 위키백과
  • 단속 평형설 斷續平衡說, punctuated equilibrium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물고기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현재 가장 큰 물고기인 고래상어의 2배나 된다. 이 물고기는 수염고래나 돌묵상어처럼 물을 걸러 영양을 섭취했다. 상어 가장 큰 상어는 카차리아스 메갈로돈(Carcharias megalodon)이다. 현대의 흰상어와 비슷하며 약 1,000만 년 전인 미오세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도서 손안의 지구과학 | 태그 지구
  •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의 역사와 제주인의 얼을 집약해놓은 공간
    돔 등 제주 바닷속에서 공생하는 바다 생물들의 모습을 박제로 전시하고 있으며, 제주 바다에서 볼 수 있는 해조류, 대형 어류표본, 연산호, 산갈치와 고래상어, 돌묵상어, 소가오리 등을 볼 수 있다. 돌, 돌, 돌. 제주도 돌 맛 좀 볼 텨? 바람, 여자, 돌이 많아 삼다도로 불리는 제주도답게 예부터 제주도에는 돌을...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삼성로 40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돌묵상어
상어
돌묵상어
상어
돌묵상어
상어
돌묵상어
돌묵상어
돌묵상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