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돈오 頓悟
    깨달음에 높고 낮음의 질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으며 수행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순서를 밟아 수행하여 점차 높은 단계의 경지로 나아가 깨달음에 이른다는 점오에 반대된다. 돈오를 처음으로 주창한 이는 중국의 도생이었고 이와 대립하는 점오의 입장도 주창되었으나, 중국불교는 돈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남종선 (관련어 돈오) 자신의 청정한 성품을 단박에 꿰뚫어보아 깨닫다
    신회가 혜능의 문하를 달마의 직계라고 주장한 이후, 거기에 동조하는 수행승들이 많이 나타나 혜능의 문하, 즉 남종은 크게 번창하여 혜능이 선종 제6조가 되었다. 혜능의 전기와 법문은 그의 제자 법해(法海)가 엮은 《육조단경》에 잘 나타나 있다. <敦煌本 六祖壇經> 혜능대사가 대범사(大梵寺) 강당의 높은 자리에 ...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돈오점수 頓悟漸修
    宗密) 이후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종밀은 다섯 가지의 돈점설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단계를 밟아서 차례대로 닦아 일시에 깨닫는 점수돈오(漸修頓悟), ② 닦기는 일시에 닦지만 공행(功行)이 익은 뒤에 차차 깨닫는 돈수점오(頓修漸悟), ③ 차츰 닦아가면서 차츰 깨닫는 점수점오(漸修漸悟), ④...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돈오돈수 (관련어 돈오) Sudden awakening
    불교 돈오돈수(頓悟頓修, Subitism)는 한국불교에서, 찰나에 깨달아 부처가 되어, 더는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이론이다. 더 수행할 것이 있다면, 그러한 찰나의 깨달음은 찰나의 완전한 깨달음이 아니며, 따라서 부처가 아직 아니라고 본다. 부처는 더 수행할 것이 없어야 부처라고 본다. 그렇다고 돈오돈수가 부처가 된 ...
    도서 위키백과
  • 돈오점수 頓悟漸修
    돈점이라고도 한다. 돈오점수를 표방한 대표적인 인물로 한국불교의 보조국사 지눌(知訥:1158~1210)은 돈오로써 마음이 곧 부처임을 깨닫고 나더라도 이전의 나쁜 버릇들이 일시에 제거되기 어려우므로 점수로써 점차적으로 닦아나가 온전한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수심결 修心訣〉에서 먼저 돈오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성이호 돈오(惇五), 成彛鎬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돈오(惇五). 성재순(成載淳)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생원과에 합격하고, 1852년(철종 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55년 도당록(都堂錄)에 오르고 1857년 전라우도암행어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홍문관부교리를 지냈다. 1864년(고종 1) 남양부사(南陽府使)를 거쳐...
    시대 :
    근대
    출생 :
    1817년(순조 17)
    사망 :
    1895년(고종 32)
    경력 :
    홍문관부교리, 성균관대사성, 사간원대사간, 충청도관찰사, 이조참판, 예방승지,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사헌부대사헌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창녕(昌寧)
  • 고려시대 불교사, 지눌과 조계종 知訥 曹溪宗
    그러면 어떤 이론과 수행을 바탕으로 이 결사를 전개했는가? 보조비(普照碑)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여기서 세 가지 문은 지눌의 사상 체계이고, 이 체계는 돈오점수(頓悟漸修)를 바탕으로 한다. <東文選 제117권> 독송에는 《금강경》을 권했고, 가르침을 설할 때는 《육조단경》에 근거했으며, 이통현(李通玄...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돈오점수
    불교 돈오점수(頓悟漸修)는 중국 불교 중에서도 선종의 사상이다. 육조혜능의 제자인 하택신회가 돈오점수를 주장했다. 이 주장이 규봉종밀로 이어지며, 나중에 고려 지눌의 돈오점수가 되었다. 신회의 제자 규봉종밀의 저서에서는 "797년 황제의 칙명이 있어 신회를 7조로 했다."는 기록이 있다. 하택신회가 남돈북점설...
    도서 위키백과
  • 스야마 돈오 陶山鈍翁
    인물 정보 스야마 돈오(陶山鈍翁, すやま どんおう, 메이레키 3년 11월 28일(1658년 1월 1일) - 교호 17년 6월 24일(1732년 8월 14일))는, 일본 에도 시대 중기의 유학자로, 쓰시마 후추번의 농업 진흥에 노력하여 많은 농서(農書)도 저술하였다. 휘는 나가로우(存), 자는 시도(士道), 통칭은 쇼에몬(庄右衛門)이며...
    도서 위키백과
  • 칼턴 풋볼 클럽 Carlton Football Club, カールトン・フットボールクラブ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클럽 정보 칼턴 풋볼 클럽은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리그 (AFL)에 소속된 오스트레일리아의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클럽이다. 블루스라는 별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빅토리아주 멜버른에 연고지를 두고 있으며,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와 도클랜즈 스타디움을 구장으로 사용한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돈 오버도퍼 Don Oberdorfer, ドン・オーバードーファー
    인물 정보 돈 오버도퍼(Don Oberdorfer, 1931년 ~ 2015년 7월 23일)는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교수이자 한미관계연구소장이다. 애틀랜타 출신 프린스턴 대학 졸업. 포병 장교로 한국전쟁 참전. 40년 동안 기자였으며, 그 중 25년을 워싱턴 포스트를 위해 일했다. 1991년과 1995년에는 방북 취재를 했다...
    도서 위키백과
  • 수심결 보물 제770호, 修心訣
    본래 갖추고 있지만 스스로 보지 못할 뿐이며 우리가 보고 듣고 지각하는 것 자체가 곧 불성의 작용임을 설명했다. 제2문답에서는 불도에 들어가는 문은 오직 돈오와 점수의 이문에 있음을 밝혔다. 제3문답에서는 돈오와 점수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돈오란 자기의 본성이 곧 제불과 다르지 않음을 깨닫는 것이고, 점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혜능(Huinen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