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돈오점수 頓悟漸修宗密) 이후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종밀은 다섯 가지의 돈점설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단계를 밟아서 차례대로 닦아 일시에 깨닫는 점수돈오(漸修頓悟), ② 닦기는 일시에 닦지만 공행(功行)이 익은 뒤에 차차 깨닫는 돈수점오(頓修漸悟), ③ 차츰 닦아가면서 차츰 깨닫는 점수점오(漸修漸悟), ④...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성이호 돈오(惇五), 成彛鎬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돈오(惇五). 성재순(成載淳)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생원과에 합격하고, 1852년(철종 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55년 도당록(都堂錄)에 오르고 1857년 전라우도암행어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홍문관부교리를 지냈다. 1864년(고종 1) 남양부사(南陽府使)를 거쳐...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17년(순조 17)
- 사망 :
- 1895년(고종 32)
- 경력 :
- 홍문관부교리, 성균관대사성, 사간원대사간, 충청도관찰사, 이조참판, 예방승지,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사헌부대사헌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창녕(昌寧)
-
고려시대 불교사, 지눌과 조계종 知訥 曹溪宗그러면 어떤 이론과 수행을 바탕으로 이 결사를 전개했는가? 보조비(普照碑)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여기서 세 가지 문은 지눌의 사상 체계이고, 이 체계는 돈오점수(頓悟漸修)를 바탕으로 한다. <東文選 제117권> 독송에는 《금강경》을 권했고, 가르침을 설할 때는 《육조단경》에 근거했으며, 이통현(李通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