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가침조약 나치-소비에트 불가침조..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기 며칠 전 독일과 소련 사이에서 체결된 상호불가침 조약(1939. 8. 23). Nazi-Soviet Nonaggression Pact, German-Soviet Treaty of Nonaggression, Hitler-Stalin Pact, Molotov-Ribbentrop Pact라고도 함.|조약으로 동유럽에서 독일과 소련의 세력권 분할이 확정되었다. 소련은 영국·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Molotov–Ribbentrop Pac..
    조약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은 1939년 8월 23일에 나치 독일과 소련이 상호 불가침을 목적으로 조인한 조약이다. 조약에 서명한 인물의 이름을 따서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2년 뒤인 1941년에 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여 독소 전쟁이 벌어져 이 조약은 파기되었다. 이 조약의 체결은 전 세계...
    도서 위키백과
  • 불가침 조약 不可侵條約, Nonaggression Pact
    분할하는 비밀의정서가 첨부되어 있었다. 이 조약으로 라트비아·에스토니아·핀란드 등과 나레프·비스툴라·산 강으로 이루어진 폴란드 동쪽은 소련 세력권에 할당되었다. ·불가침조약은 나치 독일이 서부 유럽과 중부 유럽의 대부분을 침략한 뒤 1941년 6월 22일 바바로사 작전에서 선전포고 없이 소련을...
    도서 다음백과
  • 전체주의 국가들의 침략
    맺었다. 1939년 8월에 체결된 · 상호 불가침 조약은 나치가 지금껏 강조한 공산주의 궤멸 주장을 포기한 것으로 여겨져 세계를 긴장시켰다. · 불가침 조약에는 조약국이 제3국과 전쟁을 할 경우 다른 조약국은 중립을 지킨다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에 더욱 주목되었다. 독일과 프랑스 또는 독일과 영국이 전쟁...
    도서 이야기세계사2 | 태그 세계사
  • 리벤트로프 Joachim von Ribbentrop
    5. 22)을 체결, 유럽의 두 파시스트 독재정권을 전시동맹체제로 연결시켰다. 리벤트로프 활약의 가장 큰 성과는 무엇보다도 1939년 8월 23일 체결된 ·불가침조약이었다. 이로 말미암아 독일은 안심하고 폴란드를 침공할 수 있었고 바야흐로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 개전과 함께 리벤트로프의 위상은 급격히...
    출생 :
    1893. 4. 30, 독일 베젤
    사망 :
    1946. 10. 16, 뉘른베르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반코민테른 협정 방공협정, Anti-Comintern Pact
    분노하고 있었다. 또한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는 자신들을 공산주의에 대항한 서유럽 가치의 수호자로서 선전할 수 있었다. 일본은 1939년 8월 23일 ·불가침조약의 체결에 분개하여 반코민테른 협정을 파기했지만 1940년 9월 27일 다시 3국동맹 조약에 서명했다. 이 협정에서 독일·이탈리아·일본은 "현재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3국방공협정 三國防共協定, Anti-Comintern Pact
    가졌다. 협정은 본문 3개조, 비밀 부속협정 3개조로 구성되었다. 1936년 스페인 내란에 독일과 함께 개입한 이탈리아는 이듬해말 가입함으로써 3국 방공 협정이 성사되었다. 일본은 1939년 8월 23일 ·불가침조약의 체결에 분개하여 반코민테른 협정을 파기했지만 1940년 9월 27일 다시 3국동맹 조약에 서명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태평양전쟁의 발발과 마오쩌둥 사상의 성립
    지역의 패권을 놓고 소련과 각축을 벌여야 하는 입장에서 소련을 견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독일과 동맹 관계를 맺고자 협상을 벌이고 있었다. ‘ · 불가침조약’이 맺어지자 그 여파로 히라누마 내각이 총사퇴하고, 당시 육군의 양대 파벌인 통제파(統制派)와 황도파(皇道派)의 어느 한쪽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적인...
  • 나치의 집권과 제2차 세계대전
    조약과 영국과의 해군조약을 폐기했다. 히틀러는 영국·프랑스·소련의 대(對) 독일 견제노력이 난조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고 소련과 비밀조약을 체결했다. ·불가침조약에서 스탈린과 히틀러는 동유럽, 특히 폴란드 분할에 합의했다. 폴란드에 대한 영국과 프랑스의 보장이 철회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영국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테헤란 회담 Tehran Conference
    했으나 연합국 수뇌들간에 벌어진 그 이전의 어떤 회담에서보다도 정치 분야에 대한 논의가 더 많이 이루어졌다. 스탈린은 1939년의 · 불가침조약과 1940년의 러시아-핀란드 조약에 의해 소련이 획득한 지역을 전후에도 계속 보유해야 한다는 희망을 거듭 피력했으며, 또한 발트 해 연안의 동프로이센도 소련의...
  • 베사라비아 Bessarabiya, Bessarabia
    연합을 결정했다. 이 연합은 파리 조약(1920. 10. 28)에서 승인되었으나 소련에서는 이 지역에 대한 루마니아의 권리를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 · 불가침조약(1939. 8. 23)이 조인된 뒤 소련은 루마니아에 베사라비아와 부코비나 북부를 양도할 것을 요구했다(1940. 6. 26). 루마니아 정부가 이에 응하자 6월 28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몰로토프 뱌체슬라프 미하일로비치 스크랴빈, Vyacheslav Mikhaylovich M..
    의장(소련의 총리)에 올라 1941년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인 1939년 5월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고 그해 10월 ·불가침조약(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체결했다. 1941년 5월 스탈린이 그를 대신하여 각료회의(이전의 인민위원회) 의장이 되었을 때 그는 제1부의장의 지위를 유지했다...
    출생 :
    1890. 3. 9(구력 2. 25), 러시아 쿠카르카(지금의 소베츠크)
    사망 :
    1986. 11. 8
    국적 :
    소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독소불가침조약(German-Soviet Nonaggression Pac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