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치법 도장법(倒裝法), 倒置法
    문장 또는 단어를 정상적인 순서와는 다르게 배열하는 수사법. 도장법·역도법·전도법·환서법|내용 문장 또는 단어를 정상적인 순서와는 다르게 배열하는 표현법이다. 도장법(倒裝法), 역도법(逆倒法), 전도법(顚倒法), 환서법(換序法)이라고도 한다. 도치법에는 “보고 싶어요, 그녀가……”, “꽃이 지네, 한 잎,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도치법 도역법, 倒置法
    수사법의 하나. 하나의 문장 안에서 낱말과 구가 놓여야 할 정상적인 순서를 뒤바꾸어, 읽는 이로 하여금 지루함을 없애주는 것으로 도역법(倒逆法)이라고도 한다.|문장 가운데 특별히 어떤 부분을 강조하거나 감정의 격화된 상태, 즉 놀람이나 감탄의 경우에 주로 쓰인다. 내용의 자연적인 순서를 바꾸는 것과 문법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수사법 (관련어 도치법) 修辭法
    수사법은 비유법·강조법·변화법으로 나뉜다. 비유법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유추관계가 성립될 수 있는 다른 대상에 비겨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표현하는 대상을 원관념·주지라 하고 비교되는 대상을 보조관념·매체라 한다. 비유법에는 직유법·은유법·제유법·환유법·의인법·활유법·풍유법·의성법·의태법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문학
  • 도치법 Anastrophe, 倒置
    도치법(倒置法) 또는 어순전위(語順轉位)는 문장 성분의 정상적인 배열을 뒤바꾸어 놓아 내용을 강조하거나 두드러지게 하는 표현 방법이다. 영어에서는 도치법에 의문문, There(Here) 구문, 감탄문, 가정법, 기원문, as 양보절 등으로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일을 잘도 먹는다"로 보통 사용하지만 "잘도 먹는다, 과...
    도서 위키백과
  • 수사법 修辭法
    기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강조법에는 과장법(誇張法)·대조법(對照法)·반복법(反復法)·점층법(漸層法)·열거법(列擧法)·영탄법(咏嘆法)·비교법(比較法)·도치법(倒置法)·대구법(對句法)·문답법(問答法)·반어법(反語法)·역설법(逆說法)·돈호법(頓呼法) 등이 있다. 강조법은 내용을 생생하고 두드러지게 하거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언어유희 말장난, 言語遊戱
    광주리 유리 항아리’ 또는 봉산탈춤에서 말뚝이가 양반을 소개하는 장면에서 ‘양반인지 허리 꺾여 절반인지, 개다리소반인지, 꾸레미전에 백반인지’ ③도치법으로 문장의 앞뒤를 바꾸는 경우 ‘먼 옛날 만주에서 개 타고 말 장수 하던 시절’ ④어울리지 않는 단어를 조합하여 새 말을 만들어내는 경우 : ‘멘탈(정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국어
  • 문장의 수사법
    단조로움과 평이함을 깨뜨리는 데 목적이 있다. 강조법에는 과장법·영탄법·반복법·미화법·점층법·점강법·열거법·억양법·연쇄법 등이 있다. 변화법은 문장이 단조롭고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어구나 서술에 변화를 주어 느낌을 새롭게 하는 기법으로, 설의법·도치법·대구법·대조법·반어법·돈호법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강조성
    둘째, 필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논거는 자세하게 서술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충분히 이해시키고 설득한다. 셋째, 수사법이라고 하는 반복법과 과장법, 도치법, 점층법 등을 활용하여 강조할 자리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수사법은 자칫하면 지적 논리와 무관한 감정노출로 비추어질 수 있고, 남용할 경우...
    도서 다음백과
  • 주제적 의미
    주제적 의미는 화자가 발화할 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로 특정 상황에 따라 어순·초점·강조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능동·피동, 도치법 등에서 잘 드러난다. 예를 들어 "경찰이 범인을 잡았다"는 능동문이고, "범인이 경찰에게 잡히었다"는 피동문으로 개념적 의미는 같으나 피동표현에서는 ‘범인이 잡혔다’는...
    도서 다음백과
  • 변화주기
    설의법은 단조로운 문장의 흐름에 변화를 주기 위해 일부러 의문투로 끝맺어 독자로 하여금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방법이며, 도치법은 어순을 뒤바꾸어 변화를 주는 방법이다. 대구법은 비슷한 가락을 지닌 구절을 나란히 늘어놓거나 맞세워 문장의 흐름에 변화를 주는 방법이며 한시나 고대시가에 많이 사용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하첩 夏帖
    화훼인 연꽃에 그 계절적 대표성을 부여하여 여름날의 화려함을 강조한 내용이다. 작자의 이와 같은 생각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이 작품의 전체적 구도는 도치법과 명령법을 동시에 쓰고 있는데, 1·2구에서 이와 같은 수사법이 두드러지고 있다. 결국, 작자는 이러한 수사적 효과를 바탕으로 3·4구에서는 연꽃을 묘사...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상
    창작/발표시기 :
    조선 초기
    성격 :
    한시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변화법 變化法
    글의 구절이나 서술에 변화를 주어 글의 맛과 힘을 살리는 표현방법이다. 설의법·도치법·경구법·대구법·인용법·반어법·생략법·비약법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