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만년 풍작에 도전한다 - 벼 도열병 균 유전자 완전 해독농작물에도 ‘암’이 있다. 생산량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지만, 마땅히 치료할 방법이 없어 농민들의 애간장을 태우는 병이 있는 것이다. 쌀 수확량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도열병’도 그 중의 하나다. 조선시대인 1429년에 편찬된 농사직설에도 실려있는 도열병은 볍씨가 싹이 틀 때부터 수확 직전까지 농민들의 애간장...
-
벼의 병충해와 방제 (관련어 도열병)주요병해인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등은 병균, 바이러스로 벼의 생육에 지장을 주는 병들이다. 병에 따라 논물의 온도 조절, 질소질 비료 사용량 감소, 제초, 종자 관리 등 통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해충은 약 7% 정도의 수확량 감소를 가져오지만 방제를 철저히 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벼에 피...
-
사료작물의 품종 개발, 사료용 벼 국내 육성 목초 및 사료작물 신품종 소개사료적성 양호 • 내병성 : 흰잎마름병(K1-K3), 줄무늬 잎마름병, 오갈병 • 용도 : 총체사료용 • 적응지역 : 중남부 및 영남내륙평야 재배상 유의점 • 도열병에는 약한 편이므로 적기에 기본 방제를 하여야 한다. • 이앙이 늦어질수록 온도감응에 의한 지발분얼 및 수전일수가 길어질 수 있으 므로 반드시 적기 이앙...
-
벼관계가 있다. 논의 토양은 물을 서서히 침투시키는 것이 좋으며 3일에 약 6㎝의 물을 흡수하는 정도가 좋다. ⑤ 생물환경:벼에 피해를 주는 주요 병은 도열병, 문고병, 백엽고병, 호엽고병 등이 있으며 주요 해충으로는 멸구류, 이화명충, 물바구미, 혹명나방, 멸강충 등이 있다. 논의 잡초는 130종 이상에 이르고 있다...
- 분류 :
- 벼과
- 성격 :
- 식물, 작물
- 유형 :
- 동식물
- 학명 :
- Oryza sativa L.
- 분야 :
- 과학/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