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시계획세 都市計劃稅, urban planning tax
    급속한 도시화는 도시기반시설의 수요를 증가시킨다. 더구나 도시계획 및 도시개발에 의한 도시재정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당할 재원에는 한계가 있어 세금을 인상하게 되는데, 이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지방정부와 주민들이 대처하기도 한다. 도시재정의 재원을 크게 나누어보면 자주재원과 의존재원으로 구분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지방세 地方稅, local tax
    분리과세표준의 세율은 전·답·과수원·목장용지·임야 등은 1/1,000, 골프장, 별장, 기타 사치성 재산으로 사용되는 토지 등은 50/1,000이다. 도시계획세도시계획사업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도시계획법에 의해 고시한 도시계획구역 안에 있는 토지 또는 건축물의 소유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이다. 과세표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지방세법 地方稅法
    방대한 법률로서, 취득세, 등록세, 경주·마권세, 면허세,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 농지세, 담배소비세, 도축세, 종합토지세 등 11개의 보통세와 도시계획세, 공동시설세, 사업소세, 지역개발세 등 4개의 목적세, 총15개의 세목을 규정하고 있는 단일세법으로 다세목일법주의(多稅目一法主義)를 취하고 있다. 지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
  • 지방세 地方稅
    그 반면에 도세의 개편으로 호별세부가세 등 8개 도세부가세와 시·군독립세인 차량세·교통세가 폐지되었다. 그러나 시·군의 재원 확충을 위해 목적세인 도시계획세와 공동시설세가 신설되었다. 1961년 말 지방세체계의 개편은 현행 지방세체계의 골격을 마련한 것으로서 1966년 8월 국세부가세제도의 폐지, 1973...
    시대 :
    현대
    성격 :
    조세제도
    유형 :
    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장기 미집행 도시 시설 계획 대책 長期 未執行 都市 施設 計劃 對策
    관계 대립 등으로 방치하는 경향 때문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도시 공원법 시행령」과 「지방세법」 등을 개정하여 장기 미집행 도시 계획 시설 지역에서 증축을 허용하거나 도시 계획세를 면제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장기 미집행 도시 계획 시설 대책] 부산광역시에서는 장기 미집행 도시 계획...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 세금의 종류
    지방세법에 의거해 지방자치단체가 그 재정수입을 충당하기 위해 관할구역 안의 주민에게 부과 징수하는 세금이다. 지방세는 세금을 부과 징수하는 주체에 따라 특별시세 및 광역시세, 도세, 시·군세, 구세로 분류한다. 총 15개의 세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취득세·주민세·재산세·농지세·도시계획세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탄력관세 彈力關稅, elastic tariff
    임시투자세액 공제제도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지방세의 경우 공동시설세, 지역개발세, 지방교육세,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 도축세, 취득세, 등록세, 도시계획세, 사업소세, 주행세, 담배소비세 등에 적용되고 있다. 현실 경제의 동향에 기동성 있게 대처하기 위해 관세율에 탄력성을 부여함으로써 국내 산업을 보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목적세 目的稅, objective tax
    사업의 수혜 대상이 직접 부담한다. 목적세 수입의 지출 또한 당해 사업의 범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된다. 한국의 경우 현행 지방세법에서는 도시계획세·공동시설세·사업소세·소방공동시설세 등의 목적세를 규정하고 있으며, 국세 가운데에는 교육세와 지방세가 목적세로 분류된다. 또한 목적세를 부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목적세 目的稅, Earmarked Tax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징수하는 특별세(special tax)를 말한다. 국세(國稅)로는 교육세·교통에너지환경세·농어촌특별세가 있고, 지방세(地方稅)로는 도시계획세·공동시설세·지역개발세와 사업소세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목적세는 사용 용도가 명백하므로 납세자의 납득을 얻기는 비교적 쉬우며 조세저항을 최소화...
    시대 :
    현대
    성격 :
    조세, 특별세
    유형 :
    제도
    시행처 :
    대한민국 정부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한다(제44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시설현대화 사업을 함에 따라 새로 설치하거나 확장하는 시설물 등에 대하여 부과하는 취득세·등록세·재산세 및 도시계획세 등의 지방세를 '지방세법'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감면할 수 있으며(제56조), 시장정비구역에서 시장정비사업으로 건축된 건축물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세
    목적으로 하는 재정 관세와 국내 산업의 보호 ・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 관세가 있다. 목적세는 당해 조세의 용도를 세법에 명시하여 당해 목적에만 지출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는 조세로 국세인 교육세 ・ 교통세 ・ 농어촌특별세가 있고, 지방세인 도시계획세 ・ 공동시설세 ・ 지역개발세와 사업소득세 등이...
  • 국세 國稅
    목적으로 하는 재정 관세와 국내 산업의 보호 ・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 관세가 있다. 목적세는 당해 조세의 용도를 세법에 명시하여 당해 목적에만 지출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는 조세로 국세인 교육세 ・ 교통세 ・ 농어촌특별세가 있고, 지방세인 도시계획세 ・ 공동시설세 ・ 지역개발세와 사업소득세 등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