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물가지수 산정에서의 편차조정변동한다. 그러나 표시가격은 단지 흥정이 시작될 때의 기준가격만을 나타낸다. 즉 실제가격이라기보다는 판매자가 요구하는 가격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매물가지수를 계산하는 일반적인 경우처럼 주로 우편으로 가격을 수집한다면 응답자들은 표시가격만을 제시할 것이고 그 결과 단기적으로는 물가지수가 실제보다...
-
물가 物價척도일 뿐 아니라, 각종 정책지표로서 또는 디플레이터(가격 수정인자)로서 이용된다. 물가지수의 종류에는 상품거래의 단계에 따라 도매물가지수·소매물가지수·생계비지수 등이 있으며, 부문적으로는 생산재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수출입상품의 가격 동향을 파악하여 무역정책 및 국내 물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은 대체로 실물의 흐름에 비하여 통화가 과다하게 팽창하였거나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많을 경우에 발생한다. 일반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소비자물가지수, 도매물가지수, 지엔피디플레이터(GNP deflator) 등이 있는데 인플레이션의 지표는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소비자물가지수를 대체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경제통계의 부문별 경제통계관세청), '외환수급통계'(한국은행) 등이 있다. 물가와 임금 물가의 동향은 단계별·업종별·지역별·용도별·비목별로 구분할 수 있다. 도매단계의 물가통계는 '전국도매물가지수'(한국은행)로 작성되며 소비단계의 물가통계는 '전국소매물가지수'(재정경제원)로 파악될 수 있다. 그밖에도 '농촌물가조사'(농협중앙회...
-
경기 변동 景氣 變動그 파급효과로 한국의 농산물가격은 폭락하여 1925년에 국내산 미가지수(米價指數)는 348.2이던 것이 1931년에는 156.5로서 55% 폭락했고, 일반 도매물가지수는 1925년에 237.8이던 것이 1931년에는 147.5로서 38%의 하락을 보이고 있다. 광복 후 우리 나라의 경기변동은 1945년에서 1950년에는 미국의 원조에 의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환율 換率500圜)이라고 하는 새로운 단일환시세가 실시되었다. 그리고 이 때의 공정시세 변경에 관한 협의내용에 따르면 1955년 9월중의 서울 도매물가지수를 100으로 하여 1956년중의 이 물가지수가 125를 초과할 경우에는 외환시세를 재책정하기로 우리 나라와 미국 간에 합의를 보았다. 그리하여 1958년 말까지는 1:50선을...
- 시대 :
- 현대
- 성격 :
- 경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생산 生産석탄생산량은 4.6%로 각각 감소하였고, 철강생산량은 0으로 전락하였다. 재정규모와 통화량지수는 770.3과 1,086.3으로 팽창하였다. 이에 따라 도매물가지수는 1086.3, 쌀값지수는 1만 5121.6으로 폭등하였지만, 노임지수는 물가상승률에 대비하여 3분의 1 내지 5분의 1인 3517.4에 불과하다. 이러한 추세는 더욱...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