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루드비히 데프린트 Ludwig Devrient
    재능을 계발했다. 1809년 브레슬라우 시립극장에 들어가 예술적으로 원숙한 경지에 이르렀다. 배우이자 극작가인 아우구스트 빌헬름 이플란트는 그곳에서 데프린트의 연기를 보고 비범한 재능에 감동하여, 베를린에 있는 왕립궁정극단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데프린트는 1814년에 프리드리히 실러가 쓴 〈군도...
    출생 :
    1784. 12. 15, 독일 베를린
    사망 :
    1832. 12. 30,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에두아르트 데프린트 Eduard Devrient
    처음으로 자세히 설명한 〈독일 극예술의 역사 Geschichte der deutschen Schauspielkunst〉(1848)의 저자이기도 하다. 위대한 낭만파 배우 루트비히 데프린트의 조카인 에두아르트는 오페라 가수로 무대 생활을 시작하여, 1829년 3월에 처음으로 재공연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성 마태오 수난곡 St. Matthew...
    출생 :
    1801. 8. 11, 독일 베를린
    사망 :
    1877. 10. 4, 카를스루에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오토 데프린트 Otto Devrient
    위대한 낭만파 배우 루트비히 데프린트의 조카 에두아르트의 아들로, 연출가이자 셰익스피어 작품의 번역가이며 연극사가이기도 한 아버지로부터 연기훈련을 받았다. 초기에는 카를스루에와 슈투트가르트·베를린·라이프치히 등지에서 공연했다. 1863년 카를스루에로 돌아와 연출가가 되었다. 10년 뒤에는 바이마르...
    출생 :
    1838. 10. 3, 독일 베를린
    사망 :
    1894. 7. 23, 슈테틴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막스 데프린트 Max Devrient
    셰익스피어의 〈말괄량이 길들이기 Taming of the Shrew〉에서 페트루치오로 출연하는 등 희극에서도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위대한 낭만파 배우 루트비히 데프린트의 조카인 유명한 성격배우 카를 아우구스트 데프린트의 아들로 태어나 1878년 드레스덴에서 배우생활을 시작했는데, 처음 맡은 배역은 프리드리히 실러의...
    출생 :
    1857. 12. 12, 독일 하노버 왕국 하노버
    사망 :
    1929. 6. 13, 스위스 쿠어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에밀 데프린트 구스타프 에밀 데프린트, Emil Devrient
    19세기에 젊은 주인공 역할로 뛰어난 연기를 보였다. 위대한 낭만파 배우 루트비히 데프린트의 조카로서 1821년 브룬스비크에서 처음 무대에 섰다. 브레멘·라이프치히·함부르크를 거쳐 1831년 드레스덴에 정착한 뒤, 그곳의 궁정극장에 들어가 1868년 은퇴할 때까지 배우로 활약했다. 괴테의 〈토르콰토 타소 Torquato...
    출생 :
    1803. 9. 4, 독일 베를린
    사망 :
    1872. 8. 7, 드레스덴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칼 아우구스트 데프린트 Karl August Devrient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 King Lear〉 같은 작품의 주역을 맡아 영웅이나 개성이 강한 인물로 출연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위대한 낭만파 배우 루트비히 데프린트의 조카로서, 1819년 브룬스비크에서 배우생활을 시작했다. 1821~35년 드레스덴에서 배우로 활동하면서 가수 빌헬미네 슈뢰더 데프린트와 첫번째 결혼을 했다...
    출생 :
    1797. 4. 5, 독일 베를린
    사망 :
    1872. 8. 3, 독일 하노버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바흐의 명성과 영향
    나폴레옹의 출현으로 절판되었지만 1829년경에는 대표적인 건반음악 선집과 극소수이기는 하지만 성악곡도 출판되었다. 그해에 독일의 음악가 에두아르트 데프린트와 독일의 작곡가 펠릭스 멘델스존이 〈마태오 수난곡〉 100주년 음악회를 가짐으로써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다. 이 작품과 〈요한 수난곡〉은 1830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