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데메테르 Demeter
    크로노스 신과 레아 여신의 딸로 주신(主神) 제우스의 누이동생이자 배우자이다. 데메테르라는 이름은 '곡식의 어머니' 또는 '어머니인 대지'를 뜻한다. 데메테르는 호메로스의 작품에 거의 나오지 않고 올림포스의 신들에 포함되지도 않지만, 데메테르 전설은 매우 오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전설은 그녀의 딸인 페르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데메테르 땅의 어머니
    어원 그리스 신화에서는 ‘Demeter’, 로마 신화에서는 ‘Ceres’로 칭하는 데메테르는 땅을 지배하는 여신이다. ‘Demeter’는 ‘땅’을 뜻하는 ‘De’, 혹은 ‘Da’와, ‘어머니’를 뜻하는 ‘Meter’의 합성어로서 문자 그대로 ‘땅의 어머니’라는 뜻이다. 데메테르는 어머니와 같다. 여신은 곡물, 과실, 목초 등 모...
  • 데메테르 Demeter, デーメーテール
    신 정보 데메테르는 그리스 신화의 곡식과 수확의 여신이며 올림포스의 12신의 하나이다. 계절의 변화와 결혼의 유지를 관장하는 것으로도 여겨졌다. 올림포스의 12신 이전부터 숭배받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로마 신화의 케레스에 해당된다. 데메테르는 신들의 신인 제우스와의 사이에 딸 페르세포네를 낳았다. 후에 ...
    도서 위키백과
  • Demeter 데메테르, デーメーテール
    In ancient Greek religion and Greek mythology, Demeter (Attic: Dēmḗtēr; Doric: Dāmā́tēr) is the goddess of the harvest, who presided over grains and the fertility of the earth. Her cult titles include Sito , "she of the Grain", as the giver of food or grain and Thesmophoros (thesmos: divine o...
  • 플루토스 Plutos
    이름이 비슷한 저승의 신 플루톤(하데스)과 혼동되기도 한다.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플루토스는 크레타인 이아시온과 크레타 섬에서 풍작을 관장하는 여신 데메테르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하며, 미술에서는 주로 풍요를 상징하는 뿔인 코르누코피아를 들고 있는 어린 아이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플루토스에 관해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데모폰 Demophon
    엘레우시스 왕 켈레우스의 아들이다. 데메테르 여신은 딸 페르세포네를 찾아 헤매다가 데모폰의 유모가 되었다. 데메테르는 자기를 받아들여준 사람들에게 보답하려고 데모폰에게서 필멸의 부분들을 불태워 그를 불멸의 존재로 만들려고 했지만, 이 장면을 목격한 데모폰의 어머니는 데메테르가 자기 아들을 해치려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이아시온 Iasion
    개요 그리스 신화에서 데메테르의 사랑을 받은 청년. ‘Iasios’라고도 한다. 데메테르는 세번 경작한 후 묵혀 둔 휴경지에서 이아시온과 사랑을 나누었다고 전하며, 또 다른 전설에서는 이아시온이 데메테르를 범하려 하다가 제우스가 내린 번개를 맞고 죽었다고도 한다. 이와 같이 이아시온은 풍요 의식과 관련된 고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페르세포네 Persephone
    주신 제우스와 농업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이며 지하세계의 왕 하데스의 아내이다. 호메로스의 〈데메테르에게 바치는 찬가 Hymn to Demeter〉에는 페르세포네가 어떻게 니사의 계곡에서 꽃을 꺾다가 하데스에게 붙잡혀 지하세계로 가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있다. 어머니 데메테르는 딸이 유괴된 사실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엘레우시스 신비의식 Eleusinian Mysteries
    호메로스의 시 〈데메테르 찬가 Hymn to Demeter〉에 나오는 신화에 따르면, 지모신(地母神) 데메테르는 지하세계의 신 하데스(플루토)에게 유괴당한 그녀의 딸 코레(페르세포네)를 찾으러 엘레우시스(고대 그리스 도시)에 갔다가 엘레우시스 왕가(王家)와 친하게 되었고, 여왕의 아들을 맡아 길러달라는 부탁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종교
  • 어머니 여신과 아들
    한 사람의 다른 측면인 것처럼 사실은 하나다. 그녀의 자식들이 이 두 세계를 오가는 것이다. 비슷한 구조를 가진 또 하나의 신화가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신화다. 밀의 여신인 데메테르는 전형적인 태모신 중에 하나다. 그의 딸인 페르세포네는 어느 날 지하세계의 왕인 하데스에게 납치되어 그의 신부가 된다. 갑자기...
  • 인간이 걸친 최초의 얼굴인 가면 신화 속의 얼굴에서 인간의 가면까지
    대지의 여신이자, 아직 사회에 통합되지 않은 젊은이(십대)의 신이기도 하다. 또한 초목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것들의 성장과 풍요를 보호한다는 점에서 데메테르 여신과 매우 가깝다. 예를 들어 , 그녀는 아기에게 젖을 먹이고, 처녀를 결혼시키며, 출산 중인 산모를 보호한다. 사냥의 여신이기 때문에 거칠어 보일 수도...
  • 그리스 신화 속 얼굴의 상징 신화 속의 얼굴에서 인간의 가면까지
    메두사가 지하세계와 관련이 있음이 보다 분명해진다. 메두사는 포세이돈과 관계를 맺어 말인 페가수스를 낳는데, 이는 추수와 곡물, 대지의 여신인 데메테르가 포세이돈의 구애를 피해 암말로 변했다가 수말로 변해 따라온 포세이돈과 관계를 맺고 말을 낳은 것을 상기시킨다. 이 두신, 즉 포세이돈과 데메테르가 대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페르세포네를 애도하는 데메테르, Evelyn de Morgan, 1906
페르세포네의 납치, Peter Paul Rubens, 1636년경
트리프톨레모스와 페르세포네, BC 470-460년경의 도기 그림
페르세포네, Dante Gabriel Rossetti, 1874
페르세포네의 귀환, Frederic Leighton, 1891
대지의 신 '데메테르(Demeter)'
데메테르와 코레 사이의 트립톨레모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