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댈후지 James Andrew Broun Ramsay, marquess an..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의 총독(1847~56).|개요 인도의 여러 군소 독립국들을 정복·병합함으로써 오늘날 인도의 지리적 경계선을 확정했고 중앙집권화한 국가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가 추진한 변화는 너무 급진적이어서 많은 인도인들이 반감을 갖게 되었고 따라서 그가 물러난 다음해인 1857년에 인도 반란이 일어난...
    출생 :
    1812. 4. 22, 스코틀랜드 미들로시언 댈후지 성(城)
    사망 :
    1860. 12. 19, 댈후지 성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댈후지 팬뮤르 남작 2세 폭스 몰, Fox Maule Ramsay, 11th..
    영국의 육군장관(1855~58). Fox Maule, 2nd baron Panmure(1852~60)이라고도 함.|크림 전쟁 때의 한 사건으로 비난을 받았다. 폭스 몰이 본명인 그는 1852년 팬뮤르 남작 2세가 되었고 1860년에는 댈후지 백작이 되었다. 1861년부터 댈후지 가문의 성(姓)을 램지로 바꾸었다. 12년 동안 군복무를 마친 뒤 하원의원이 ...
    출생 :
    스코틀랜드 앵거스 브레컨 성, 1801. 4. 22
    사망 :
    1874. 7. 6, 브레컨 성
    국적 :
    영국
  • 파간 Pagan
    미얀마의 다른 계몽 군주들축에는 들지 못하지만 전쟁이 일어나기 전의 위기 때 자제하는 태도와 정확한 사리판단을 가지고 처신했다. 당시 인도총독이었던 댈후지 경이 취한 호전적인 정책은 그를 파멸로 이끈 원인 중 하나였다. 총독은 인도 식민정부가 상대해야 할 동방국가 중에서 미얀마인이 가장 건방지고 오만...
    출생 :
    미상
    사망 :
    1880, 미얀마 만달레이
    국적 :
    미얀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무사실권원칙 無嗣失權原則, doctrine of lapse
    권위의 원칙과 맥을 같이 한다. 힌두법에 의하면 왕이나 어느 개인이 후계자가 없을 경우 아들과 동일한 개인적·정치적 권리를 누릴 양자를 들일 수 있다. 댈후지는 종속국의 경우 최고권력인 식민통치자가 이런 양자의 입양을 승인할 권리가 있고, 양자를 구하지 않았을 때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주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로렌스 Sir Henry Montgomery Lawrence
    돌아가 있던 1848년 기사작위를 받았고 제2차 시크 전쟁(1848~49)이 일어남에 따라 인도로 돌아왔다. 그는 충고와 충동적인 행동으로 새로 부임한 인도 총독 댈후지 백작 제임스 램지를 화나게 했지만 당시 새로 합병한 펀자브의 행정장관이 되었다. 그는 정치사건을 책임졌고 동생 존은 재정문제를 맡았다. 그는 시크...
    출생 :
    1806. 6. 28, 실론 마투라
    사망 :
    1857. 7. 4, 인도 러크나우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강용흘 姜龍訖
    서울에서 항일 학생단체에 가담하여 3·1운동에 참가했다가 체포되어 몇 달 감옥을 살았다. 출옥하여 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1921년 캐나다로 가서 댈후지대학교를 다녔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보스턴대학교에서 의학을,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미문학을 전공했다. 미국에 귀화하여 〈브리태니커백과사전〉의 편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