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타협 Ausgleich
    1867년 2월 8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가 맺은 협정.|두 나라의 관계를 조정해 오스트리아-헝가리를 수립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타협 (관련어 대 타협)
    대타협(大妥協)은 두 가지를 가리킨다.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 왕국 간에 맺어진 헝가리인의 자치를 보장하는 방안. 코네티컷 타협: 코네티컷주에서 이루어진 헌법 개정 방안.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199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노동법 대타협 꼭 필요하다 96년 10..
    해소하려면 다른 무엇보다 당사자의 전원 참여가 필수적이며 양보와 타협의 정신이 요긴하다. 어느 한 당사자가 빠지거나 자기 주장과 얻는 것에만 집착하는 한 노동법을 둘러싼 오랜 갈등의 매듭을 풀 수 없다. 인내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끝까지 협상 자리에 남아 얻는 것만큼 양보하는 대타협의 자세로 사회적 합의를...
    시기 :
    1996년
  • 1850년의 타협 Compromise of 1850
    1849년 12월 3일 캘리포니아 준주(準州)가 자유주(노예제를 금지하는 주)로 연방에 가입할 것을 요청하자 위기가 일어났다. 당시 미국은 1848년 멕시코로부터 양도받은 영토에 노예제를 실시하는 여부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였으므로 문제는 매우 복잡해졌다. 자유주와 노예주의 균형을 유지시키려는 노력에서 '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오스트리아-헝가리 Österreich-Ungarn, Austria-Hungary
    프란츠 요제프는 제국의 동부에 새로이 관심을 쏟아 이질적인 요소로 이루어진 자신의 제국을 강화하려고 애쓰게 되었다. 전쟁 전에도 반항적인 헝가리인들과 타협해야 할 필요성은 깨닫고 있었다. 협상 결과는 1867년 2월 8일에 맺어진 대타협이었다. 이 협정은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제국의 나머지 지역 사이에 맺어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데아크 Ferenc Deák de Kehida, Ferenc Deák
    특히 1865년 4월 16일의 유명한 '부활절 담화'를 통해 헝가리의 요구조건을 제시했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협상은 이윽고 1867년의 '대타협'(Ausgleich)을 낳았으며, 이 타협에 따라 이중왕국이 수립되었다. 데아크가 이 대타협을 만들어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그 타협안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정치...
    출생 :
    1803. 10. 17, 오스트리아 제국 헝가리 쇠이퇴
    사망 :
    1876. 1. 28/29, 부다페스트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자원의 저주 왜 천연자원이 풍부한 나라들은 발전이 어려운가?
    아니라 전 세계로부터 네덜란드병(Dutch Disease)이라는 조롱을 받았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네덜란드 노사는 1982년 말 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한 대타협을 이루었고, 10여 년 만에 유럽의 문제 국가에서 강소국으로 환골탈태했다. 임금인상 자제와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가 대타협의 주요한 골자였다...
  • 프란츠 요제프의 중기생애
    제국의 외무장관에 임명된 온두라시는 독일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는 외교정책을 채택했고, 이 정책은 나중에 프란츠 요제프의 외교정책의 토대가 되었다. 대타협과 이중왕국 제국 안의 모든 민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연방제 해결책을 찾는 데 실패하자, 민족들 사이의 관계가 나빠졌다. 1867년에는 다루기 힘든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코슈트 Lajos Kossuth
    페렌츠 데아크의 지도로 오스트리아 황실과 화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코슈트는 울분을 참지 못한 나머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대타협, 즉 1867년 타협이 결정되기 전 날 밤에 이 조처와 그 문안을 작성한 사람에게 저주를 퍼붓는 공개서한을 발표했다. 이 '카샨드라 서한'은 대타협을 반대하는 이들을 선동...
    출생 :
    1802. 9. 19, 헝가리 모노크
    사망 :
    1894. 3. 20, 이탈리아 토리노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외트뵈슈 József, Báró Eötvös
    실제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자유주의 국가를 그렸다. 그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관계가 1848년 혁명의 원칙을 기초로 정립되기를 바랐는데 1867년의 대타협은 어느 정도 그의 노력의 결과였다. 말년에는 정치가이자 사상가로서 열심히 활동했다. 1864년에 출간된 그의 사색집에는 혁명 이후 헝가리 문학의 특징으로...
    출생 :
    1813. 9. 13, 헝가리 부도
    사망 :
    1871. 2. 2, 페슈트
    국적 :
    헝가리
  • 도망노예송환법
    도망노예송환법FSA(Fugitive Slave Act)'의 골자다. 반인권적이고 반문명적 독소 조항을 대거 담았던 이 법이 통과된 것은 연방의 분열을 막을 '1850년 대타협(Compromise of 1850)'의 핵심 사안이었기 때문. 1848년 멕시코로부터 빼앗은 서부 영토에서의 노예 제도 인정 여부를 둘러싸고 북부와 남부의 분열이 극한...
  • 한국경영자총협회 韓國經營者總協會, Korea Enterprises Federation
    설립 이후 경영계를 대표해 한국의 노동 관련 법·제도 및 노사관행을 발전시켜 왔다. 특히 경영계 최초로 임금가이드라인 제시, 최저임금 심의, 노사정 대타협 등 사회적 대화의 주체로 활동해 왔다. 2019년에는 종합경제단체로 거듭나면서 영문 명칭도 'KOREA ENTERPRISES FEDERATION'으로 변경했다. 주요 기능 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경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1850년 대타협의 한 장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