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충자금 對充資金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외원조 공여조건에 따라 피원조국 정부가 특별계정으로 적립해야 했던 자국 통화.|내용 미국은 1948년 마셜플랜(Marshall Plan)에 의하여 「경제협력법(Economic Cooperation Act)」이 규정하는 쌍무협정에 의거하여, 피원조국에 적립된 대충자금 중 5%를 전략물자 구입 및 미국 정부 파...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대충자금 對充資金, counterpart fund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 의해 제공된 대외원조 도입액을 운용할 때 피원조국 정부가 원조의 증여분에 상당하는 달러액을 같은 액수의 자국통화로 특별계정에 적립한 자금.|미국의 대유럽부흥계획인 마셜 플랜(Marshall Plan)에서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대체로 적립금 중 5%는 전략물자구입 또는 미국이 파견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충자금 Counterpart Fund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 의해 제공된 대외원조 도입액을 운용할 때 수원국 정부가 원조의 증여분에 상당하는 달러액을 같은 액수의 자국통화로 특별계정에 적립한 자금.
  • 대충자금 Counterpart fund
    대충자금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 의해 제공된 대외원조 도입액을 운용할 때 수원국 정부가 원조의 증여분에 상당하는 달러액을 같은 액수의 자국통화로 특별계정에 적립한 자금이다. 미국의 대유럽부흥계획인 마샬플랜(Marshall Plan)에서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대체로 적립금 중 5%는 전략물자구입 또는 미국...
    도서 위키백과
  • 조선식산은행 朝鮮殖産銀行
    산하 최대의 정책금융기관으로 계속 활동했으나 8·15해방과 함께 일본으로부터의 자본도입이 소멸되고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사채 소화도 불가능해 미국 대충자금의 일부만 취급하는 등 개발은행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채 상업은행으로 변신하여 활동하다가 1954년 제정된 '한국산업은행법'에 의거해 개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특별회계 特別會計, special account
    자금특별회계는 회계연도를 넘어 특정한 목적 또는 용도에 충당하는 자금을 운영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며, 공무원연금특별회계·대충자금특별회계·재정차관자금관리특별회계·재정자금운용특별회계 등이 이에 속한다. 구분경리특별회계는 특정한 경비를 제한하기 위해 그 재원이 될 수입을 지정할 때 또는 특정수입액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협정환율 協定換率
    상응하는 한국 통화 적립금인 대충자금(對充資金) 규모를 결정하는 것도 환율이었는데, 경제 안정을 대한 원조의 목표로 상정했던 미국 정부는 공정환율보다 높은 대충자금 환율을 적용하여 대충자금의 규모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가 공정환율, 대충자금 환율, 그리고 유엔군 대여금...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경제
  • 한미원조협정 한국과 미국 간의 원조협정, 韓美援助協定
    제출하되, 반드시 그들이 원하는 기간과 양식을 따르도록 한다.(제4조) 둘째, 한국 정부는 원조물자의 원화 판매대전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 한국은행에 대충자금계정을 설치 · 운영한다. 한미 양국은 공정환율을 정하고, 한국 정부는 원조당국이 통고하는 달러화 표시의 원조액을 이 공정환율로 환산해, 그 대충자금...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현대사
  • 한국의 관료독점자본
    이를 가공·판매하여 독점이윤을 실현했고, 더구나 원조물자를 불하받는 자금이 저금리의 은행대부로 조달되었던 경우도 많았다. 원조물자의 판매대전인 대충자금이 권력과 결탁한 몇몇 기업에 독점적이며 낮은 특혜금리로 대출되었다. 관료독점자본은 자본축적에 필요한 모든 화폐자본, 즉 시설·운영·원료확보자금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한국산업은행 韓國産業銀行, The Korea Development Bank
    개발에 중추적 구실을 담당했다. 즉, 초창기에는 전재를 복구하고 자립경제의 모색을 위한 안정적인 산업기반을 구축하는데 정책의 초점이 놓여짐에 따라, 대충자금·정부차입금·산업금융채권발행대전(産業金融債券發行代錢)을 주요 재원으로 하여 기간산업 분야에 대한 자금공급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비료·시멘트...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4(여의도동 16-3)
    설립 :
    1954년 4월
    성격 :
    은행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경제
    사이트 :
    /www.kdb.co.kr
  • 환율 換率
    1달러 대 0.015원의 공정시세는 1947년 7월 15일에 0.05원(50圓)으로 인상되었고 1948년 10월 1일에는 0.45원(450圓)으로 다시 인상되었다. 한편 대충자금계정이 1948년 12월 10일자로 체결된 우리 나라와 미국간의 원조협정에 따라 설정됨으로써 대충자금환시세는 당시의 공정시세와 동률인 1달러 대 0.45원(450圓)으로...
    시대 :
    현대
    성격 :
    경제
    유형 :
    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한국산업은행 KDB산업은행, 韓國産業銀行
    최우선 과제는 한국전쟁으로 황폐해진 생산시설의 복구와 악성 인플레이션의 수습이었다. 정부는 미국을 비롯한 우방국의 경제적 지원으로 원조자금 중심의 대충자금과 산업부흥국채발행기금, 귀속재산처리특별회계적립금을 주요 재원으로 소비재 산업과 전력, 석탄 등 기간산업의 시설 복구 및 확충 등 부흥정책을...
    설립 :
    1954-04-01
    국가 :
    대한민국
    업종 :
    금융업
    취급품목 :
    산업자금 공급(대출, 투자, 보증), 산업금융채권 발행, 외화차입, 해외채권 발행 주선, 해외투자, 컨설팅
    사이트 :
    http://www.kdb.co.kr
    본사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4
    도서 기업사전 | 태그 금융 , 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