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적점 대적반, 大赤點
    목성에서 경도방향으로 움직이고 중심이 남위 23°인 대기현상. 대적반(大赤斑)이 라고도 함.|이것은 달걀 모양이고, 동서의 길이는 남북의 길이보다 2배 정도 길다. 남북의 길이는 약 1만 4,000km로 목성 반지름의 약 1/5 정도이고, 지구의 지름과 거의 같다. 1665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카시니가 초기 망원경 가운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적점 Great Red Spot, 大赤斑
    대적점(大赤點) 또는 대적반(大赤斑)은 목성 대기 중 남위 22도에 위치한 고기압성 폭풍 지대이다. 1655년 조반니 카시니는 목성 표면의 점을 최초로 발견했으며 이 점의 관측 기록은 1713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현 대적점이 관측 대상으로 지정된 때는 1830년으로, 중간에 관측기록상 공백이 있기 때문에 카시니의 점...
    도서 위키백과
  • Great Red Spot 대적점, 大赤斑
    The Great Red Spot is a persistent anticyclonic storm on the planet Jupiter, 22° south of the equator, which has lasted for at least 186 years and possibly as long as 351 years or more.The storm is large enough to be visible through Earth-based telescopes. It was probably first observed by Giova...
  • “여러분, 저 아직 살아있어요!” 보이저 1호의 편지
    와 ‘메티스’라는 위성을 처음으로 찾아냈을 뿐 아니라, 위성 ‘이오’에서 활동 중인 화산도 발견했어요. 또 목성의 거대한 타원형 무늬인 ‘대적점(GRS)’을 촬영해 대적점이 태풍과 같은 소용돌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 사진 2. 보이저 탐사선이 촬영한 목성의 대적점. ⓒNASA 목성에서의 임무를 끝마친 보이저...
    도서 과학향기
  • 목성 세성, 木星
    분화구들로 인해 표면이 밝게 빛난다. 지름이 4,800㎞에 달하지만, 밀도는 달의 반밖에 되지 않으며 태양계 내에서 알려진 가장 큰 충돌구인 바할라(Valhalla)를 가지고 있다. 목성의 대기는 대적점과 같은 거대한 소용돌이가 지배하고 있다. 이 특이한 소용돌이는 300년 이상 계속되었으며 지름이 지구의 2배에 달한다...
    태양까지의 평균거리 :
    7억 7829만
    적도의 지름 :
    142,984㎞
    공전주기 :
    11.86년
    표면온도 :
    (대기 최상층에서 측정하였을 때) -150℃
    도서 손안의 우주 | 태그 우주
  • 슈바베 Samuel Heinrich Schwabe
    태양의 흑점수가 약 10년을 주기로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7년 동안 거의 매일 태양을 관측한 뒤 1843년에 이 발견을 발표했다. 또한 1831년에 목성의 대적점을 처음으로 자세히 그렸다. 1857년에는 왕립천문학회의 금메달을 받았으며, 1868년 왕립학회의 외국인 회원으로 뽑혔다. 이것은 그당시 아마추어 과학자...
    출생 :
    1789. 10. 25, 안할트 데사우
    사망 :
    1875. 4. 11, 데사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보이저 2호가 이룬 업적은 무엇인가?
    유로파 표면의 십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선을 발견했다. 또한 몇 개의 새로운 고리들과 목성 주위를 도는 세 개의 새로운 위성을 발견하고, 목성의 대적점에 대해 상세히 조사했다. 이후 목성 접근 비행을 중력 선회로 이용하여 토성에 도착했다. 최대 접근은 1981년 8월 25일에 이루어졌다. 보이저 2호는 레이더 시스템...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주노 우주탐사선 Juno Spacecraft
    지난 10일 촬영한 사진 속에는 목성과 목성을 둘러싸고 있는 위성 4개 가운데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등 3개가 찍혔다. 목성의 붉은 색 반점인 대적점도 뚜렷하게 보인다. 주노는 2003년 퇴역한 목성탐사선 ‘갈릴레오’ 이후 두 번째로 목성 궤도에 진입했다. 1989년 발사된 NASA의 목성탐사선 갈릴레오의...
  • 우주탐사의 공헌
    고도에서 목성을 두르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 행성을 뒤덮고 있는 구름에서 번개가 발생하는 것도 발견되었다. 목성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대적점(大赤點)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360km/h 이상으로 6일마다 1바퀴씩 회전하는 거대한 소용돌이임이 발견되었다. 또한 보이저호의 자료를 통해 3개의 새로운 위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대흑점 Great Dark Spot, 大暗斑
    대흑점(大黑點, Great Dark Spot) 또는 대암점(大暗點)은 해왕성의 대기 중 주위에 비해 눈에 띄게 어두운 부분을 가리킨다. 목성의 대적점처럼 대흑점 역시 고기압성 폭풍이다. 다만 대흑점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구름이 적고, 수백 년은 지속돼 온 것으로 추정되는 대적점과는 달리 수명이 짧아서 생겨나서 흩어지기...
    도서 위키백과
  • 목성 Jupiter, 木星
    띠들로 눈에 띄게 구분되는데, 서로 상호 작용하는 경계선을 따라 발생하는 난류와 폭풍에 의한 것이다. 그로 인해 발생한 유명한 결과물로는 대적점이 있는데, 대적점은 적어도 망원경을 통해 최초로 관측된 17세기부터 존재한 거대한 폭풍이다. 목성의 주변은 희미한 고리계와 강력한 자기권이 있다. 목성은 1610년에...
    도서 위키백과
  • 대백점 Great White Spot, 大白斑
    대백점(大白點, Great White Spot) 또는 대백반(大白班)은 토성 대기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대폭풍이다. 목성의 대적점, 해왕성의 대흑점과 마찬가지로 거대 가스 행성의 대폭풍 현상 중 하나이다. 이 폭풍은 매우 거대하고 흰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다. 1876년 아사프 홀이 최초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대적점
대적점(Great Red Spo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