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서양헌장 大西洋憲章, Atlantic Charter
    제2차 세계대전중 1941년 8월 14일 영국의 처칠 총리와 당시 비교전국이었던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북대서양에서 5일간의 선상회의 끝에 발표한 공동선언.|대서양 선언이라고도 한다. 공통의 목표를 규정한 서명서인 대서양헌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양국은 영토확장을 원하지 않는다. ② 관련 주민들의 자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서양 헌장 (관련어 대서양헌장) Atlantic Charter, 大西..
    정상회담 정보 대서양헌장(大西洋憲章, Atlantic Charter)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윈스턴 처칠(영국 수상)과 루스벨트(미국 대통령)가 대서양에서 회담, 전후의 세계 질서에 대하여 14개조의 평화조항으로 된 구상을 발표하였다. 미국이 파시즘에 대항하는 민주 세력의 일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려는 임무와 결...
    도서 위키백과
  • Atlantic Charter 대서양 헌장, 大西洋憲章
    The Atlantic Charter was a pivotal policy statement issued on 14 August 1941, that, early in World War II, defined the Allied goals for the post-war world. The leaders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drafted the work and all the Allies of World War II later confirmed it. The Charter s...
  • 대서양헌장이란 무엇인가?
    뉴펀들랜드 연안의 영국 군함 프린스오브웨일스에서 회담을 가졌다. 이곳에서 두 정상은 세계 국민 복지와 평화 등에 관한 양국 정책의 공통 원칙을 담은 대서양헌장을 발표했다. 1941년 8월 14일 두 나라가 서약한 헌장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 있었다. 첫 번째로 양국은 영토의 확대를 원하지 않는다, 두 번째로...
  • 국제연합 UN, 國際聯合
    국제연합이란 원래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연합국을 가리키던 말이었다. 전후 국제평화기구에 대한 구상이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1941년의 대서양헌장에서였다. 대서양헌장에서 움튼 국제협력의 대원칙은 이듬해 연합국 선언에서 확인되었고 1943년 10월의 모스크바 회담에서 일반원칙으로 정립되었다. 같은 해 1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기구
  • 대서양조약기구 NATO, 北大西洋條約機構
    한 국가 또는 여러 국가에 대한 무력공격을 모든 회원국에 대한 공격 행위로 간주하며, 조약국 중 한 국가가 그러한 무력공격을 당했을 때에는 국제연합(UN) 헌장 제51조에서 인정한 개인 또는 집단의 자위권(自衛權) 발동에 따라 나머지 조약국들은 북대서양 지역의 안보를 유지하고 보존하기 위해 무장군의 사용을...
  • 신대서양 헌장 New Atlantic Charter, 新大西洋憲章
    G7 정상회의에서 존슨과 바이든의 첫 대면 회담에서 서명되었다. 이 협정은 1941년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과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선언한 대서양 헌장의 새로운 버전이다. 협정이 선언된 회의는 서방 동맹을 재정의하는 데 사용됐다.뉴스 인용 8가지 목표를 제시한다. 민주주의와 열린사회의 원칙과 제도...
    도서 위키백과
  • 대서양 조약 기구 NATO, 北大西洋条約機構
    나토는 1999년 4월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분쟁 예방과 위기 관리를 강조하는 동맹 전략 개념을 채택했다. 미국의 9·11 테러는 나토가 사상 처음으로 나토 헌장 5조를 발동하게 만들었다. 이 조항은 어떤 멤버에 대한 공격이 모든 멤버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2001년 10월 4일, 북대서양 조약...
    도서 위키백과
  • 대서양 조약 기구의 대외 관계 Foreign relations of NATO
    유럽-대서양 파트너십 이사회에 참여한다. 오스트리아 군대는 또한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코소보, 레바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022년 현재 배치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 EUFOR 임무를 이끌고 있다.뉴스 인용 오스트리아 인민당(OEVP)의 2016년 대통령 후보이자 우파 정치인...
    도서 위키백과
  • 국제연합 유엔, 國際聯合
    미국 뉴욕에 있다. 제1차세계대전 후 결성되었던 국제연맹이 붕괴된 모순점을 해결하고 다시 한번 세계평화질서를 재건하자는 노력의 결과, 1941년에 「대서양헌장」, 1942년 연합국공동선언을 거쳐 1943년 모스크바선언에서 국제기구 설립의 일반 원칙이 정해졌다. 이어 1944년 덤바튼오크스회담을 열고 미국·영국...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대서양 조약 North Atlantic Treaty, 北大西洋条約
    유효 기간을 20년으로 정하였으나 1969년 4월 자동적으로 연장되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설립 근거인 이 조약은 동서 냉전 체제하의 유럽에서 미국을 주축으로 한 서방측 국가들의 대표적·상징적 공동방위동맹체 조약으로서 유엔 헌장상의 지역적 협정의 효시적 모델이며, 이후 서방 세계의 지역적 집단 안전...
    도서 위키백과
  •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의 연설 진주만 공격 후 의회 연설
    자유'를 언급했다. 1. 언론의 자유 2. 신앙의 자유 3. 결핍으로부터의 자유 4. 공포로부터의 자유 세계 인권사상의 초석이 된 이 4가지 자유는, 1941년의 대서양헌장, 1942년의 연합국공동선언을 거쳐, 국제연합(UN)헌장의 인권조항이 되고, 1948년 12월 10일 국제연합(UN) 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인권선언의 전문에...
    출생 :
    1882년
    사망 :
    1945년
    장소 :
    워싱턴 DC, 국회의사당(The United States Capitol, Washington, DC)
    날짜 :
    1941년 12월 8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대서양헌장(大西洋憲章)
대서양 헌장 회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