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서양볼락 붉은볼락, ocean perch
    양볼락과의 중요한 식용어류. 호주와 뉴질랜드가 원산지이고, 수심 50~750m 정도의 대륙사면에 서식한다. 크기는 25~35cm 정도이고, 무게는 400~650g 정도이다. 식성은 육식이다. ‘붉은볼락’이라고도 부른다.|개요 조기어강 쏨뱅이목 양볼락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Helicolenus percoides’이다. 붉은볼락으...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쏨뱅이목 > 양볼락과
    원산지 :
    오세아니아 (호주,뉴질랜드)
    서식지 :
    수심 50∼750m 대륙사면
    크기 :
    약 25cm ~ 35cm
    무게 :
    약 400g ~ 650g
    학명 :
    Helicolenus percoide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붉은볼락 redfish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1m이다. 퍼치고기와 닮아 큰 입과 눈이 있으며, 머리와 뺨에 많은 가시가 있다. 원산지는 태평양이고, 주로 바다나 강에 서식한다. 유럽과 북아메리카 연안을 따라 북대서양에서 발견된다. 식성은 육식이다. 종류 동양산 식용어류인 황볼락과 유럽산 세바스테스 비비파루스 등의 근연종들이 있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횟대목 > 양볼락과
    원산지 :
    태평양
    서식지 :
    바다, 강
    크기 :
    약 1m
    학명 :
    Sebastes marinu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어업 漁業, commercial fishing
    총 상업적 어획량의 약 80%를 차지한다. 식용으로 가장 많이 잡는 것은 대서양대구, 여러 종류의 가자미류·다랑어류·대구·연어류·청어 등이다. 그밖의 중요...그루퍼·대구류·대서양멘헤이든청어·멸치류·민대구·바리류·붉은볼락·샤드고기·정어리류·철갑상어류·청어류·퉁돔류·판새류 등이 있다. 담수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세계의 수산업
    자원 관리가 잘 되고 있다. 선진 수산국의 대형 어선의 각축장으로, 어획량이 약 1,200만t에 달한다. 대표적 어획물은 대구를 비롯하여 청어·전갱이·적어류(볼락어류) 등의 주요어류와 갑각류·굴 등이다. 대서양 북서부 어장(뉴펀들랜드 어장) 캐나다의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반도, 노바스코샤 반도 및 미국의 메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지중해의 해양동물과 식물
    대부분 전장이 21m 이상을 넘지 않는 작은 배들이지만 그 수가 많아 어류의 남획이 심각하다. 지중해의 어종은 근본적으로 다양한 종을 가진 아열대 대서양의 동물상과 관련된다. 해저에 사는 어류로는 자미류·납서대류·대문짝넙치·민대구·망둑어류·붉은볼락·농어류·그루퍼 및 상어·가오리류·홍어류와 같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생물
  • 쏨뱅이아과 Sebastinae, メバル科
    생물 분류 쏨뱅이아과(Sebastinae)는 페르카목 양볼락과에 속하는 조기어류 아과의 하나이다. 약 130여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서양과 태평양 그리고 인도양에서 발견된다. 쏨뱅이와 홍감펭, 볼락, 우럭볼락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별도의 쏨뱅이과(Sebastidae)로 분류하기도 한다.FishBase 과 홍감펭속 (Helicolenus...
    도서 위키백과
  • 멸치과 Anchovy, カタクチイワシ科
    연안에서 주로 잡힌다. 안초비는 북아프리카 연안에도 있다. 이 어종은 유럽 대서양 연안부터 노르웨이 남부까지 분포한다. 산란은 보통 10월과 3월 사이에...중요한 식량자원이다. 이들 포식자로는 캘리포니아 넙치무리, 볼락, 방어류, 상어류, 치누크 연어, 코호 연어 등이다. 멸치류는 해양 포유류와 조류에도 중요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대서양볼락
혹등고래
대서양볼락
대서양볼락
퍼치고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