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서양대구 cod
    대구과에 속하는 큰 해양 어류. 대서양이 원산지이고, 수심 200m 이내의 연해와 먼바다에 서식한다. 크기는 1.8m 정도이고, 무게는 91kg 정도이다. 식성은 육식이다. 식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중요하다.|개요 조기어강 대구목 대구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Pollachius virens’이다. 식용이 가능하고...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대구목 > 대구과
    원산지 :
    대서양
    서식지 :
    수심 200m 이내의 연해, 먼바다
    크기 :
    약 1.8m
    무게 :
    약 91kg
    학명 :
    Pollachius viren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대서양대구 (관련어 대서양 대구) Atlantic cod, タイセイヨウダラ
    대서양대구(Gadus morhua, Atlantic cod)는 대구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인간에 의해 널리 소비된다. 건조시킨 대구는 염을 하지 않은 건대구Oxford English Dictionary, 3rd ed. "milwell, 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2.Oxford English Dictionary, 1st ed. "stock-fish|'stockfish, n." Oxford Unive...
    도서 위키백과
  • 대서양대구 北大西洋大口, pollock
    coalfish'로 알려져 있다. 식용으로 좋은 낚시감이다. 크기는 약 1.3m, 무게는 약 32kg이다. 원산지는 대서양으로, 유사종으로는 가두스 폴라키우스가 있다. 대서양 북쪽에 사는 대구라고 하여 ‘북대서양대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추측된다.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1.3m, 무게는 약 32kg이다. 진한 녹색을 띠는데...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대구목 > 대구과 > 북대서양대구속
    원산지 :
    대서양
    서식지 :
    바다
    크기 :
    약 1.3m
    무게 :
    약 32kg
    학명 :
    Pollachius viren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대서양대구 Pollock, 狹鱈
    대서양대구속(北大西洋大口屬)는 대구과에 속하는 분류로, 북대서양에 서식하는 두 종이 여기에 속한다.위키공용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대서양대구 Pollachius virens, シロイトダラ
    대서양대구는 북대서양에 서식하는, 대구과의 바닷물고기이다.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해덕대구 haddock
    피난아디와 아브로스 스모키가 있다. 어깨에 있는 검은 점으로 다른 수산물과 구분이 가능하다.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1m, 무게는 약 17kg이다. 대서양대구를 닮아 턱수염과 두 개의 뒷지느러미, 그리고 세 개의 등지느러미가 있다. 이들은 옆줄의 색이 밝지 않고 짙으며, 양 어깨에 뚜렷한 검은 점이 한 개씩 있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대구목 > 대구과
    원산지 :
    대서양
    서식지 :
    바다
    먹이 :
    게, 새우
    크기 :
    약 1m
    무게 :
    약 17kg
    학명 :
    Melanogrammus aeglefinus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8~23일
    멸종위기등급 :
    높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청어 herring
    하나인 청어는 어류의 유생뿐만 아니라 요각류·익족류, 그리고 그밖의 플랑크톤성 갑각류와 같은 미세한 생물을 먹는다. 이들은 큰 무리를 지어다니며 대서양대구·연어류·다랑어류 등과 같은 대형 포식어류의 먹이가 된다. 청어는 위도와 온도에 따라 12월에서 한여름 사이에 산란한다. 1마리의 암컷이 4만 여 개나...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청어목 > 청어과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북극해
    서식지 :
    연안, 민물, 강 어귀
    먹이 :
    새우, 게
    크기 :
    약 20cm ~ 38cm
    학명 :
    Clupea pallasii
    식성 :
    잡식
    천적 :
    다랑어, 대서양대구, 연어
    용도 :
    구이용, 조림용, 훈제용
  • 매운탕 속 대구가 작아지는 이유
    그런데 세계에서 가장 큰 대구어장은 대서양에 있다. 그중에서도 캐나다 동부 뉴펀들랜드의 대구어장은 세계에서 손꼽는 대규모 어장이었다. 그러나 대서양 대구어장은 끝이 없어 보이는 자연자원도 인간의 무지한 남획 앞에선 얼마나 속절없이 허물어지는지 잘 보여주는 유명한 사례이기도 하다. 캐나다의 뉴펀들랜드...
  • 대서양의 산업자원
    대서양의 몇몇 어장에서는 수산자원의 고갈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대서양에서 세계 어획량의 40%를 얻고 있으며, 북대서양에서는 가자미·농어·대구·청어·다랑어가 남획되고 있고 남대서양에서는 다랑어와 밴댕이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심하지 않다. 가장 많이 남획된 어종은 다랑어로, 대서양뿐만 아니라 다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서양
  • Pollock 북대서양대구속, タラ
    Pollock (alternatively spelled pollack; pronounced ) is the common name used for either of the two species of North Atlantic marine fish in the Pollachius ("P.") genus. Both P. pollachius and P. viren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pollock. Other names for P. pollachius include the Atlantic pollock...
  • 대구간유 大口肝油, cod-liver oil
    대서양대구(Gadus morhua)를 비롯하여 대구과에 속하는 다른 종들이 많이 쓰인다. 비타민 A와 비타민 D의 급원인 대구간유는 비타민 D 부족으로 생기는 구루병·소아근육경련증·골연화증 같은 칼슘·인 대사이상 치료에 이용되며 가금과 가축 사료로도 쓰인다. 19세기에는 몇 가지 소모성 질환을 치료하는 민간요법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대서양의 해양생물
    대서양은 깊이에 따라 조간대·투광대·중간대·심해지대·대양기저지대로 나뉘며 이들 각각은 독특한 해양생물 환경을 지니고 있다(→ 해양학). 조간대는 최대 깊이가 60m로 해조류의 대부분과 굴·홍합·대합조개 등의 다양한 연해동물이 살고 있다. 투광대는 최대 깊이가 180m로 바닷 속 생명체의 생명을 유지시키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4건

대서양대구
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