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륙성 기후 大陸性 氣候쉬워지면서 저기압(低氣壓)이 발달하여 주변에서 공기가 수렴한다. 반면, 지표면이 냉각되는 겨울철에는 찬 공기가 퇴적되면서 대륙 내부에 광대한 규모의 고기압(高氣壓)이 발달하여 주변으로 공기를 확산한다. 그러므로 겨울철에는 대륙 내부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도 대륙의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대륙성 기후가 발달...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기단 氣團, air mass때 황해에 접한 해안과 섬에서는 눈이 내리기도 한다. 시베리아 기단이 발원해서 2∼3일 경과하면 세력이 약화되어 온난건조해진다. 이 때 대륙성 고기압에서 분리된 이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 주변에 위치하여 포근한 날씨를 가져온다. 시베리아 기단이 직접 영향을 미칠 때는 춥고, 변질된 이동성 고기압이 영향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삼한사온 3한4온, 三寒四溫주기는 해에 따라 매우 불규칙하다. 어떤 해는 이상적으로 낮은 기온이 장기간 계속되고, 또 어떤 해는 긴 이상난동(異常暖冬)이 나타나기도 한다. 대륙성고기압은 지속성이 있기 때문에 서고동저형 기압배치가 되면 심할 경우 10일 정도나 지속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기간 추위가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또 기온 변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쾨펜의 C형과 D형 기후 쾨펜의 C형과 D형 기후대류성 강수이며, 극동 아시아 지역에서처럼 계절풍에 의해 산악지역에서 발생하는 지형성 강수도 있다. 아열대 대륙 서안의 기후는 아열대 고기압에 의해 설명된다(대륙성기후). 아열대습윤 기후(Cfa, Cwa) 이 기후는 남북위 20~35°의 대륙 동안에서 나타나며, 연강수량이 750~1,150㎜로 연중 비교적 일정한 분포를...도서 다음백과
-
계절풍 몬순(momsoon), 季節風여름 계절풍보다 강하게 발달한다. 겨울이 되면 차가운 시베리아 기단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데, 시베리아 기단은 차고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으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고기압이다. 시베리아 기단이 발달하면 동부 아시아 일대에는 북서풍이 분다. 한번 차가운 대기가 빠져 나가면 새로운 대기가 축적되는데 보통...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