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나무대나무는 벼과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상록성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대’라고 약칭하기도 하며 한자어로 죽(竹)이라고 한다. 땅속줄기로 길게 옆으로 뻗으며 해마다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에 걸쳐 죽순이 자란다. 줄기의 높이는 20m에 달하나 추운 지방에서는 3m밖에 자라지 않는다. 고대 사회로부터 주요한 전쟁 무...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식물
-
-
-
대나무에도 꽃이 필까- 윤선도, 〈오우가(五友歌)〉 중에서 나모도 아닌 거시 풀도 아닌 거시 곳기는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뷔연난다 뎌러코 사시에 프르니 그를 됴하 하노라 윤선도의 첫 유배는 1616년 서른 살 때, 이이첨의 횡포를 상소했다가 도리어 유배됐습니다. 두 번째 유배는 22년 후인 1638년, 죄목은 병자호란 때 왕(인조)을 호종하...
-
-
고향의 대나무를 그리워하는 척화신 김상헌지목돼 결국 청나라 선양까지 끌려가 고된 심문을 받았다. 근심 많아 소식 막혀 있었던 차에 편지 한 통 써 평안하단 소식 전한다. 무속헌의 앞 뜨락에 있는 대나무는 의연하게 겨울 추위 겪고 있으리. 《청음집》에 있는 김상헌의 시다. 이 시를 쓸 무렵 그는 청나라에서 그리운 고향 소식을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다...
- 관련 장소 :
- 인왕산
-
-
대나무로 난간을 꾸민 화원그의 나이 삼십 대 대부분을 명례방(明禮坊)에서 보냈던 것으로 보인다. 땅값이 비싸 큰 집을 장만하지 못했던 그는 작은 집의 좁은 땅을 절반으로 딱 잘라 대나무 난간인 죽간(竹欄)을 일렬로 옹기종기 모여 있게 짜놓고 마치 화원처럼 꾸몄다. 그 무렵 쓴 《다산시문집》의 <죽란화목기(竹欄花木記)>를 보면 당시 풍경...
- 관련 장소 :
- 명동
-
고엽제에도 살아남은 대나무, 비결은?대나무의 끝을 본 적이 있는가? 1958년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의 왕대숲을 시작으로, 1963년에는 충남 서산군, 1965년에는 경남 진주시 그리고 1967년에는 광주시에 이르기까지 일생에 단 한번 핀다는 대나무 꽃이 전국 방방곡곡에 핀 적이 있었다. 그렇게 화려하게 꽃을 핀 대나무는 서서히 말라 죽어갔고, 죽은 대숲이...
-
대나무쌕쌔기거치상이다. 암컷의 몸길이는 17-18mm이다. 산란관은 갈색으로 짧고 중간에서 약간 넓어지며 높이보다 7배 이상 길지 않다. 아생식판은 사다리꼴이다. 대나무 잎을 먹고산다. 우리나라 서남부에 나며 일본, 베트남, 태국에 분포한다. 형태 소형이다. 기본색은 연한 녹색이며 등면부는 갈색이다. 복부 등면 중심부는 갈색...
- 분류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메뚜기목 > 여치과 > 쌕쌔기속
- 서식지 :
- 대나무 숲
- 크기 :
- 17~18mm(장시형 뒷날개 끝까지 31~33mm, 산란관 8~10mm)
- 학명 :
- Conocephalus bambusanus Ingrisch, 1990
- 국내분포 :
- 한국 고유종(서남부)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베트남, 태국
-
2015담양세계대나무박람회 대밭설경우정사업본부는 2015년 9월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세계 최초로 대나무를 주제로 한「2015 담양세계대나무 박람회(이하 대나무 박람회)」개최를 앞두고 대나무의 다양한 모습이 담긴 기념우표 4종을 발행한다. 대나무는 예로부터 생활용품뿐만 아니라 문화ㆍ예술등 다양한 방면에서 우리 삶과 함께해 왔다. 최근에는...
- 발행일 :
- 2015.8.13
- 발행량 :
- 총 1,000,000장
- 종수 :
- 4
- 액면가격 :
- Yeong-won Stamp (NVI)
- 디자인 :
- 대밭설경
- 우표번호 :
- 3084
- 인면 :
- 41mm × 22.5mm
- 천공 :
- 14 × 14
- 전지구성 :
- (2 × 4) × 2
- 용지 :
- 평판 원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4도, 향기 1도(대나무향기)
- 우표크기 :
- 43mm × 25.5mm
- 디자이너 :
- 노정화
- 인쇄처 :
- 한국우편사업진흥원(Car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