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기-바다 경계면 air-sea interface
    대기와 바닷물 사이의 경계.|경계면은 지구의 여러 환경들 중에서 각종 물리작용과 화학작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환경 중의 하나이며, 대부분의 해양생물들은 바로 이 경계면 주변에 서식한다(→ 해수). 대기는 열대 저위도의 대기-바다 경계면에서 고온의 해수로부터 배면방사(背面放射)에 의해 많은 양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심해대 深海帶, abyssal zone
    가장 큰 생태환경권으로 3억㎢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구 전체표면의 약 60%, 해양 영역의 83%를 차지하고 있다. 심해대 해수는 극지역(주로 남극)의 대기-바다 경계면에서 유입되어온다. 그곳의 추운 기후는 해빙(海氷)을 만들고 바닷물을 냉각시킨다. 높은 밀도 때문에 이곳의 해수는 밑으로 가라앉아 바닥을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해류와 기후
    교란이나 이와 관련된 열수송은 기상학적인 이상현상들에서와 같이 상당히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가뭄이나 홍수, 비정상적인 한파나 온난화 등을 초래한다. 장거리 기상예보에 대한 시도는 일반적인 해양의 순환, 시간별 순환의 변화와 대기-바다 경계면의 물리적 조건에 대한 그 영향 등에 의존하고 있다. → 해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지구 地球
    나타난다. 대기의 성분은 질소(77%)와 산소(21%)가 대부분이며, 소량의 이산화탄소 · 아르곤 · 메탄 · 수증기 등이 있다. (2) 수권 수권은 물이 있는 곳으로 바다 · 호수 · 강 등이 있다. 남극과 북극에 있는 빙하와 지하수도 수권에 속하지만 학자에 따라서는 빙하를 빙권으로 부르기도 한다. 수권의 구성 성분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지구 Earth
    내핵의 경계면을 유로면 이라고 한다. 지구물리적인 관점에서는 지구 내부를 물성에 따라서 분류하는데, 다음과 같은 층상 구조로 구분된다. 0 - 약 60 km 암석권 약 60 km - 약 200 km 연약권 약 200 km - 2890 km 중간권 (맨틀) 2890 km - 5100 km 외핵 (온도는 섭씨 3000~5500도) 5100 km - 6378 km 내핵 (온도는...
    도서 위키백과
  • 타이탄 (위성) Titan (moon), タイタン (衛星)
    에테인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이 사실은 1980년, 보이저 1호의 탐사에 의해 밝혀져 한 때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논의 되기도 했다. 1943년에 대기층이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후 탐사선 보이저에 의해 대략의 모습이 알려졌으나 2004년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토성을 탐사 하면서 그 부속선인 하위헌스...
    도서 위키백과
  • 날씨란 무엇인가?
    사이의 경계면에서 발달한다. 이것은 한랭핵을 가지고 있고 나선형의 구름 띠를 형성하는데, 제트류에 의해 인도된다. 공중에 떠 있는 입자 강력한 바람과 오래...방화에 의해 생기는 산불은 건조 지역에서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 산불은 대기화학에 영향을 주는 많은 양의 일산화탄소, 검댕 및 다른 에어로졸을 방출...
  • 맹그로브숲 Mangrove forest
    복잡한 뿌리 체계는 또한 이 숲을 포식자로부터 먹이와 피난처를 찾는 물고기와 기타 유기체에게 매력적인 곳으로 만든다. 맹그로브숲은 육지, 바다, 대기 사이의 경계면에 서식하며 이러한 시스템 사이의 에너지와 물질 흐름의 중심이다. 홍수 예방, 영양분과 폐기물의 저장 및 재활용, 경작 및 에너지 전환을 포함하여...
    도서 위키백과
  • 압력 Pressure, 圧力
    액체의 경계면에 수직한 방향이나 모든 부분에서 작용한다. 이는 열역학의 기본적 매개 변수이다. 국제단위계에서는 파스칼 (Pa)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단위 미터제곱당 뉴턴을 의미한다 (N/m2 or kg·m−1·s−2). 이 이름은 1971년에 지어졌으며, 그 이전에는 단순히 '단위 미터제곱당 뉴턴'으로 표현했다. 압력의...
    도서 위키백과
  • 역전층 Inversion (meteorology), 逆転層
    있는 경계면을 말한다. 기온은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지는데 기온 역전층의 경우는 반대로 높아지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기온역전층이 생기면, 공기는...발생한다. 보통은 짧은 시간 동안 그리고 제한된 범위로 나타나며, 기온역전은 대기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공기의 수직적인 이동을 방해하여 강수의 가능성을...
    도서 위키백과
  • 해수면 Sea level, 海面
    측지학적으로는 해양의 평균적인 높이(평균해수면)를 나타낸다. 대기와 해양은 그 경계면인 해수면을 통해 열(잠열, 상전이) 및 운동량(바람 응력) 등의 형태로...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고도가 해발이다. 평균해수면은 "바다가 평온할 때의 수위" 즉 바람이나 물결에 의해서 변화하는 해수면의 평균적 상태를 의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