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기원근 공기원근법, 大氣遠近法
    멀리 보이는 물체의 색이 대기에 의해 다르게 보이는 것을 이용하여 그 색의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원근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이 용어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회화의 기법〉에서 처음 사용했다. 짧은 파장이 가장 많이 산란되므로 멀리 있는 어두운 물체는 대부분 푸른색을 띠고, 긴 파장은 덜 산란되며 멀리 있는 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원근 遠近法, perspective
    이루었다. 또한 이 방법은 건축가와 기술자, 조경사, 산업 디자이너들이 작품의 상상도를 그려 작업 시간 전에 완성된 작품을 볼 수 있게 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원근법과 다른 원리에 바탕을 둔 대기원근은 중국화와 유럽 회화에서 모두 쓰인 기법으로 색상과 색조를 조절하여 깊이의 환영을 창출해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레오나르도 다빈치 Leonardo da Vinci
    그러니까 다빈치가 혼자 힘으로 그린 최초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미숙한 점(마리아의 다리가 세 개로 보임)이 있지만 대기원근의 맹아적 표현이 보이는 대작이다. 원근을 충실하게 지킨 배경의 처리가 돋보이며, 실제 새의 날개를 보고 그린 것 같은 천사의 날개가 매우 인상적이다. 다빈치가 그린...
    출생 :
    1452년
    사망 :
    1519년
  • 씨름
    또는 “대기 씨루네.”라고 한다. 이것으로 보아 씨름이라는 말은 타동사 ‘씨룬다’라는 말이 명사화하여 ‘씨룸’이 되고, 다시 ‘씨름’이 된 것으로 보았다. 두 사람이 손을 맞잡고 버티어 힘을 겨룰 때 이것을 ‘팔씨름’이라고 말하며, 또 서로 말로써 지지 않으려고 버티는 것을 ‘입씨름’이라고 하는 것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체육
  • 미지의 세계를 재구성한 지도 미지의 세계를 발견하는 새로운 프레임
    지구의 대기와 지형도 조사했다. 우주여행에 나선 우주선들은 푸른 행성인 지구의 모습을 찍은 사진을 공개함으로써 인류는 머리의 상상이 아닌 육안으로 지구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밝혀진 지구의 나이는 45억 5000년, 적도 반지름은 6378킬로미터이며 이는 극반지름보다 21킬로미터 길다. 완전한 구모양이...
  • 회화의 구성의 요소 및 원리
    강조할 수 있다. 보색 대비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한편 차가운 색보다 따뜻한 색이 튀어나와 보인다는 성질을 이용해 공간의 깊이를 암시하는 대기원근도 널리 쓰여왔다(→색). 재질감은 회화 재료에 의해 화폭의 표면에 자동적으로 생겨나는 촉각적 재질감과 선·형태·명암·색채 등을 통해 풍부해지고 활성화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루카스 Lucas van Leyden
    기법을 결합시킬 수 있게 만들었다. 유명한 막시밀리안 황제의 초상화(1521)는 위의 기법을 사용해서 만든 초기작품의 하나이다. 또한 루카스는 판화에 대기 원근을 도입한 선구자에 속했다. 그가 얀 마뷔즈(호사르트)의 이탈리아식 화풍에 감명을 받고 제작한 〈바구니 속에 걸린 시인 베르길리우스 The Poet Virgil...
    출생 :
    1489/94, 네덜란드 레이덴
    사망 :
    1533, 레이덴
    국적 :
    네덜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초동 初冬
    황량함을 표현하였으며, 멀리로는 고향의 얕은 둔덕같은 산들을 묘사하였다. 명확한 색감의 확대된 근경과 멀리 운무(雲霧)를 머금은 원산(遠山)은 대기원근을 통해 자연스럽게 펼쳐졌다. 기법적으로는 크기와 명암의 정도에 차이를 둔 리듬감 있는 묵점을 사용했다. 이상범은 1923년 연구단체인 동연사(同硏社)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신고전주의 시대의 서양조각
    고전적인 예술형식과 주제들은 당시의 계몽사상과 호흡이 맞춰지면서 미술에서는 재빨리 새로운 표현을 추구하게 되었다. 신고전주의 조각은 부조에서 대기원근이나 선원근법을 나타낸다든지 환조에서 휘날리는 머리카락이나 옷자락을 묘사한다든지 하는 회화적인 효과를 염두에 두지 않고 명확한 윤곽선, 평평한 바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로마의 조각
    흉터까지도 묘사하는 사실주의적인 성격을 보여주었고, 이야기식 서술방식이 모든 예술 방면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부조와 회화에서는 대기, 공간의 깊이, 원근 등을 통해 3차원적으로 묘사되었다. 로마인들은 원시사회에서 전해내려온 장례관습에 따라 밀랍이나 테라코타로 선조의 조상이나 데스 마스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고대 로마 미술 ancient Greece art
    흉터까지도 묘사하는 사실주의적인 성격을 보여주었고, 이야기식 서술방식이 모든 예술 방면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부조와 회화에서는 대기, 공간의 깊이, 원근 등을 통해 3차원적으로 묘사되었다. 로마 원시 사회 때 풍습인 데스마스크가 BC 2세기 중반부터 사실적 조각이라는 예술 장르로 자리 잡아, 이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현대 서양회화
    입장과 대기, 빛, 그리고 자연과의 직접적인 접촉 등에 대한 공동인식이 뚜렷했다. 새로운 양식의 발전에 끼친 영향은 쿠르베의 가시적 세계의 절대적 수용...르네상스 전통의 사실주의를 파괴하기에 이른다. 인상주의를 현대회화의 출발점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그 사실주의 때문이 아니라 색채와 그 처리의 전면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대기원근법(aerial perspectiv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