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편소설 短篇小說, short story
    단편소설이 뚜렷이 구별되는 문학 장르로 떠오른 것은 19세기이며 낭만주의와 사실주의가 단편소설의 출현을 촉진시킨 것으로 보인다. 낭만주의는 기이하며 비현실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사건에 대한 관심을 자극했고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장편이 아니더라도 단편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하였다. E. A. 포의 작품 〈괴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단편소설 短篇小設
    길이가 짧은 형태의 서사양식.|내용 장편소설(長篇小說)이나 중편소설(中篇小說)보다 짧은 이야기를 담은 형태이다. 대략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의 길이로 일반적으로 반 시간이나 두 시간 내외에 읽을 수 있는 길이로 보고 있다. 단일한 인상, 단일한 효과 및 통일성이 강조된다. 한국 문학에서는 광의로는 단형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단편 소설 (관련어 단편소설) Short story, 短編小説
    문학 단편소설(短篇小說)은 산문 형식으로 쓰는 서술체의 허구적인 이야기이며, 중편소설이나 장편소설보다 길이가 짧고, 문학 잡지류에 수록되거나 작품집으로 편찬되는 경우가 많다. 단편 소설은 가장 오래된 유형의 문학 가운데 하나이며 전 세계의 다양한 고대 공동체에서 전설, 신화, 설화, 동화, 허풍, 우화, 일화...
    도서 위키백과
  • Short story 단편소설, 短編小説
    A short story is a piece of prose fiction, which can be read in a single sitting. Emerging from earlier oral storytelling traditions in the 17th century, the short story has grown to encompass a body of work so diverse as to defy easy characterization. At its most prototypical the short story fea...
  • 가난한 삶 속의 진실, 더블린 사람들 Dubliners
    은 《젊은 예술가의 초상》, 《율리시스》와 함께 '더블린 삼부작'으로 불리는 작품집으로,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에서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15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중산층 서민들의 음울하고 불행한 삶을 통해 20세기 초 더블린의 실상을 보여주는 이 작품들 속의 등장인물과 사건 들은 조이스가 알고...
    분류 :
    단편소설
    창작/발표시기 :
    1914년
    국가 :
    아일랜드
    간행/발행 :
    Grant Richards Ltd.,
    작가 :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시리즈 세계문학사전 100 | 태그 작품 , 소설
  • 인생의 민낯과 마주하다, 가든파티 The Garden Party
    말을 남긴 캐서린 맨스필드는 삶과 창작 활동 모두에서 실험적인 면모를 보이며 예술의 변방인으로 살았던 모더니즘 작가이며, 저돌적이고 거친 개성으로 단편소설이라는 장르를 개척하며 D. H. 로렌스, 버지니아 울프와 같은 동시대 작가들에게 독특하고 인상적인 영향을 주었다. 맨스필드는 결핵을 앓는 와중에도 단편...
    분류 :
    단편소설
    창작/발표시기 :
    1922년
    국가 :
    영국
    간행/발행 :
    Constable
    작가 :
    캐서린 맨스필드(Katherine Mansfield)
  • 소련을 사는 작은 사람들, 감상소설 Сентиментальные повести
    을 결성하고 여러 소품과 단편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1922년 첫 단행본인 《나자르 일리치 시네브류호프 씨의 이야기》를 낸 그는 1927년 그간 발표한 단편들을 모은 소설집 《감상소설》을 출간했다. 〈암염소〉, 〈아폴론과 타마라〉, 〈무서운 밤〉, 〈지혜〉 등의 작품에서 조셴코 자신이 직접 체험했던 평범한 민중...
    분류 :
    단편소설
    창작/발표시기 :
    1927년
    국가 :
    러시아(소련)
    작가 :
    미하일 조셴코(Mikhail Zoshchenko)
    시리즈 세계문학사전 100 | 태그 작품 , 소설
  • 양반전 兩班傳
    내용 조선 정조 때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의 문집인 ≪연암집 燕巖集≫ <방경각외전 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저작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지은이의 초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선에 한 양반이 살고 있었다. 어질고 독서를 좋아하였다. 군수가 도임하면 반드시 그를...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지원
    창작/발표시기 :
    조선 정조 연간
    성격 :
    한문 단편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가을밤의 수상한 유령, 슬리피 할로의 전설 The Legend of Sleepy Hollow
    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대표작 《스케치북》으로 큰 명성을 얻었다. 판타지 소설의 특징을 보여주는 〈슬리피 할로의 전설〉은 단편소설 모음집인 이 《스케치북》에 수록된 소설로, 보름달이 뜨는 밤에 출몰한다는 머리 없는 유령 이야기를 모티프로 하고 있다. 워싱턴 어빙의 작품이 지닌 특유의 낭만성과, 역사와...
    분류 :
    단편소설
    창작/발표시기 :
    1820년
    국가 :
    미국
    간행/발행 :
    C. S. Van Winkle
    작가 :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
  • 겉옷을 잃고 삶도 잃다, 외투 Шинель
    소귀족 집안에서 태어났다. 1828년 네진 김나지움를 졸업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건너와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고, 1831년 여덟 편의 단편소설을 수록한 첫 소설집 《디칸카 근교의 야화》를 발표하면서 작가로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우크라이나를 배경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다룬 이 소설들이 큰 인기를...
    분류 :
    단편소설
    창작/발표시기 :
    1843년
    국가 :
    러시아
    작가 :
    니콜라이 고골(Nikolai Gogol)
  • 이효석 가산, 李孝石
    해에는 평양에 있던 숭실전문학교로 전임하였다. 그의 30대 전반에 해당하는 1936∼1940년 무렵은 작품 활동이 절정에 달하였을 때이다. 해마다 10여 편의 단편과 많은 산문을 발표하였으며, 「화분(花粉)」(1939)·「벽공무한(碧空無限)」(1940) 등 장편도 이때 집필된 것이다. 「산」·「들」·「메밀꽃 필 무렵...
    시대 :
    근대
    출생 :
    1907년
    사망 :
    1942년
    유형 :
    인물
    직업 :
    소설가
    대표작 :
    도시와 유령, 노령근해, 상륙, 돈, 오리온과 능금, 화분, 산, 메밀꽃 필 무렵, 장미 병들다, 들, 분녀
    성별 :
    분야 :
    문학/현대문학
    본관 :
    전주(全州)
  • 출세에 대한 인간의 무한한 욕망, 광인일기 Записки сумасшедшего
    작품 소개 고골의 가장 뛰어난 단편소설로 〈코〉, 〈외투〉, 〈광인일기〉 세 편을 꼽곤 한다. 그중에서도 9등 문관 포프리신이 미쳐가는 과정을 일기 형식으로 쓴 소설 〈광인일기〉는 포프리신이 스스로를 스페인 왕으로 여기게 되는 내용으로 그 문학적 독특함이 상당하다. 포프리신은 개가 말하는 것을 듣고, 개가...
    분류 :
    단편소설
    창작/발표시기 :
    1835년
    국가 :
    러시아
    작가 :
    니콜라이 고골(Nikolai Gogol)
    시리즈 세계문학사전 100 | 태그 소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괴기 단편집(Tales of the Grotesque and Arabesque)
하근찬의 단편 소설집 〈서울 개구리〉
김동인의 단편 소설집 두 가지
1930년대에 빼어난 단편 소설을 잇달아 선보인 김유정
단편 소설집 〈동백꽃〉에 실린 작가의 사진
내면 의식의 흐름을 추적해 심층 심리를 묘사한 단편 소설 〈감정이 있는 심연〉을 표제로 내세운 창작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