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홍도 조선 후기의 화가
    한국적 풍속화로 조선 시대 4대 화가에 꼽히는 화가로 호는 단원. 본관은 김해, 자는 사능이며 어려서 경기도 안산에서 당대 최고의 문인화가, 이론가인 강세황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다. 28세 때인 1773년에는 어용화사로 발탁되어 영조어진과 왕세자의 초상을 그렸다. 1781년에는 정조어진 익선관본 도사의 동참화사...
    출생 :
    1745(영조 21)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김해(金海)
    자 :
    사능(士能)
    호 :
    단원(檀園)
  • 단구 斷口, fracture
    광물학에서, 벽개면 이외의 방향으로 깨진 광물표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용어.|단구에는 다음과 같은 몇 종류가 있다. ① 패각상, ② 평탄, ③ 불평탄, ④ 침상, ⑤ 다편상 등이다.→ 벽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monocyte 단핵백혈구 단핵세포 단구, 單核白血球
    무과립백혈구의 1종. 사람의 백혈구 중 4~8%를 차지하는 단핵세포로 골수 또는 비장의 조혈간세포(造血幹細胞)에서 발생한다.
  • 하안단구 (동의어 단구) 河岸段丘, river terrace
    하곡의 측면을 따라 확장되는 계단상의 지형.|하안단구를 통해 하상의 높이가 현재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단구는 수문학적·기후적 변화로 하방침식이 일어나 형성된다. 가끔씩 범람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단구는 퇴적층으로 된 평평한 정상부와 가파른 한쪽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구는 범람원의 잔존물로서...
    도서 다음백과
  • 해안단구 海岸段丘, marine terrace
    해안절벽과 그 앞에 형성된 파식대지가 해수면 위로 융기하여 형성된 암석단구.|흔히 바다 쪽의 파식대지와 함께 나타난다. 해안단구는 미국의 캘리포니아·오리건 주, 칠레, 지브롤터, 뉴질랜드 및 태평양의 기타 섬들에서도 발견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조선/해양
  • 단구 Terrace (geology), 段丘
    다른 뜻 단구(段丘, terrace)는 지질학에서 계단모양 지형을 말한다. 위치에 따라 하안단구, 해안단구 등이 있다. 해안에 가까운 지역에는 때때로 편평한 면을 가진 지형이 몇 개의 계단 모양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단을 형성하고 있는 면은 해면이나 그보다 낮은 지역과 단애(斷崖)로 접하고 있다. 이...
    도서 위키백과
  • 가평천 지리여행(Gapyeongcheon Geotravel) (관련어 단구)
    자~ 오늘은 하천여행이다. 서둘러 가평으로 가보자. 계곡을 보러 말이다. 단풍은 한물 지났지만 늦가을 정취는 아직 괜찮을 것이다. 모처럼 DSLR을 챙긴다. 무거워 한참을 외면했던 망원렌즈도 만져본다. 줄무늬 가득한 연회색 암반 위로 쏟아질 노란 햇살이 벌써부터 마음을 재촉한다. 날이 푹하면 잠깐이나마 계곡물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지구 ,
  • 순환기와 혈액, 적혈구와 백혈구 (관련어 단구) 적혈구는 산소와 운반, 백혈구는 면역을 담당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백혈구는 침입한 병원체나 이물을 제거하거나 죽이는 역할을 한다.|적혈구의 기능 적혈구는 중앙이 움푹 팬 지름 6~9μm의 원반 모양으로 빨간 핵이 없는 세포다. 유연성이 뛰어나고 변형을 잘해서 모세혈관의 얇은 벽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적혈구는 산소를 각 ...
    참고 :
    혈액이 빨간 것은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빨간 색소이기 때문이다. 곤충이나 오징어 등은 헤모시아닌이라는 파란 색소가 혈액에 많아서 혈액이 파랗다.
  • 해안단구 해성단구, 海岸段丘
    개설 성인(成因)을 중시해서 해성단구(海成段丘)라고도 한다. 평탄한 단구면은 과거의 해수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파식대지(波蝕臺地) 혹은 사빈과 같은 퇴적면이며, 이들이 지반의 융기 또는 해수면의 하강으로 인해여 현재의 해수면의 높이보다 높은 곳이 위치하게 된 것이다. 단구애(段丘崖)는 그 뒤의 낮아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서민 생활을 독창적으로 담아낸 천재, 김홍도 김사능(金士能), 金弘道
    김홍도는 신윤복, 김득신과 함께 조선의 3대 풍속화가로 꼽히며, 서민들의 생활상을 익살과 해학, 풍자를 섞어 향토적인 정취로 담아낸 화가이다. 우리에게 〈무동〉, 〈씨름〉, 〈서당〉 등의 풍속화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 밖에도 산수화, 신선도, 화조화, 불화 등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으며...
    출생 :
    1745년
    사망 :
    1806년경
    대표작 :
    〈무동〉, 〈씨름〉, 〈서당〉, 〈금강산도 8첩병풍〉 등
    시기 :
    조선 후기
  • 하안단구 하성단구, 河岸段丘
    의하여 형성된 지형으로서 발달 원인에는 해면의 변동, 기후의 변화, 지반의 융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하천에 의헤 형성된 것으로 하성단구라고 하며, 상부의 평탄한 면을 단구면, 그 전면의 급경사 지역은 단구애라고 부른다. 모래나 자갈이 퇴적되어 형성된 것은 충적단구, 침식에 의해 암석하상이 노출된 경우 암석...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최북 필 단구승유도 崔北 筆 丹丘勝遊圖
    내용 화원 최북(崔北)이 1749년 음력 3월 도보(道甫) 이광사(李匡師)와 함께 단양의 도담삼봉을 유람하고 그린 것이다. 이 내용은 그림 왼쪽에 이광사가 예서체로 쓴 발문(跋文)에 쓰여 있다. 즉, “기사년 음력 3월에 한벽루에서 쓰다. 월성 최식 유용이 함께 어울리고 이를 그리다. 도보[己巳春季 書于寒碧樓 月城崔埴...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8건

하안단구
해안단구
해안 단구
해안 단구
해안단구
해안단구
해안단구
해안단구
해안단구
해안단구
단구면
단구면
단구면
단구면
단구면
단구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