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울특별시의 도시계획특징은 서울의 도시계획을 국토균형개발의 차원에서 접근한 점과 서울의 도시구조를 이제까지의 도심 중심의 단핵적 구조에서 부심과 위성도시·신도시 개발을 전제로 다핵적 구조로 개편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91)의 하나로 마련된 '수도권정비기본계획'(1982~91)은 서울의...
-
부산광역시의 인구와 도시해방 이후 공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시청 부근의 도심과 함께 서면과 온천장 일대에 부도심지가 형성되는 등 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이 재편되어 도시구조가 단핵구조에서 다핵구조로 변모했다. 시청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충무로·대청로·광복로 일대에 중심시가지가 형성되어 있고, 구덕로를 따라 대신동 방면으로 주거지역...
-
위성도시 衛星都市따라 주택공급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이 시기에 파리 교외에 건설된 주거단지들은 ‘Grands Ensembles’이라고 하였다. 프랑스의 본격적인 신도시 개발은 1965년 파리권 장기기본구상에 의해 진행되었다. 파리지역 내부도시의 과밀문제해소를 위한 인구와 산업의 분산뿐만 아니라 단핵구조를 다핵구조의 개편을...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서울지하철 서울地下鐵모노레일 등 제외)의 총 운행거리는 런던(439.0㎞)과 뉴욕(397.2㎞)에 이어 세계 3위이다. 연원 및 변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은 서울특별시를 단핵도시(單核都市)에서 다핵도시로 발전시키고, 기성시가지의 재개발과 인구증가에 따른 도시교통의 수요를 해결하기 위하여, 1965년부터 건설 공사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
- 분야 :
- 경제·산업/교통
-
복부인 福婦人지역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초기 강남 개발이 지지부진하자 정부는 1970년대 중반 과밀화된 강북 구도심을 벗어나 주변부 신시가지 건설을 통한 ‘다핵도시’ 개발 구상을 마련했다. 이는 곧바로 강남 개발로 옮겨졌는데, 한강에 대한 ‘종합 대책’을 통해 택지 개발과 도로 개설을 추진해 여의도를 부도심으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도시 개발 정책 都市 開發 政策기능이 지역별로 세분화되고 있다. [부산 도시 기본 계획] 도시 개발 정책에 따른 부산 도시 기본 계획[2007년 5월 수립]은 2030년 이후 부산의 도시 공간 구조를 다핵 분산형 중심지 체계로 설정하고, 도심의 기능을 분리해 부도심 기능을 특성화하는 2도심, 6부도심, 4지역 중심으로 설정하고 있다. 특히 서부산권의...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2030 부산 도시 기본 계획 2030 釜山 都市 基本 計劃④ 광안리 해수욕장[수영구] 8,000㎡ 증가, ⑤ 월내 길천 상습 해일 피해 방지 사업으로 1만 9000㎡ 증가 등이 포함되었다. [도시 기본 구상] 2020년 이후 부산의 도시 공간 구조를 다핵 분산형 중심지 체계로 설정하고, 도심의 기능을 분리해 부도심 기능을 특성화하는 2도심, 6부도심, 4지역 중심으로 설정하고 있다...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