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가옥에서 바닥을 덮는 데 쓰는 짚으로 만든 사각형 돗자리.|다다미라고도 한다. 1개의 크기는 대개 너비 90㎝, 길이 180㎝, 두께 5㎝ 가량이며 신덴[寢殿]이나 쇼인[書院]을 비롯한 일본의 주택은 바닥 전체를 다타미로 덮는다. 원시시대부터 일본 건축물의 바닥은 앉고 잠자는 곳으로 이용되어 왔다. 바닥과 ...
다다미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전통식 바닥재를 말한다. 속에 짚을 5 cm 두께로 넣고 위에 돗자리를 씌워 꿰맨 것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다다미의 종횡비는 2:1로 된 장방형과 그 반인 정방형 2종류가 있다. 크기는 3자×6자 (910mm×1820mm)로 된 것이 기본이지만, 방의 크기에 맞추어 주문 생산하는 경우도 ...
와 도시의 주거형태인 정가(町家)로 나눌 수 있다. 농촌주택은 대개 판자집과 초가로 구성되어 있고 실내는 흙바닥에서 마루바닥으로, 침실은 마루바닥에서 다타미[疊]로 발전했다. 고온다습한 일본 풍토상 처음에는 수혈주거와 같은 평지주거 생활에서 점차 고상주거(高床住居) 생활로 변천되었다. 또한 일본은 국토...
간단히 도코라고도 한다. 기본형은 다타미에서 가마치(마루귀틀) 높이 만큼 한 단계 높여 다타미를 깐 뒤 위쪽에 오토시가케를 만들어 벽감 모양으로 꾸미고, 정면 벽에는 서화를 걸고 다타미 위에 장식물과 꽃병 등을 두는 것이 보통이다. 원래 벽면에 불화 등을 걸고 앞에는 삼구족을 놓고 예배를 드리던 풍습이 고정...
여러 종류의 모듈이 건축양식마다 각기 고유한 비율을 결정할 때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건축에서는 공간의 크기를 그곳에 놓일 수 있는 다타미의 개수로 측정하는데, 다타미 1장은 대개 너비가 90㎝, 길이가 180㎝ 크기이다. 현대건축에서 설계 모듈은 설계상의 비율과 치수를 기획하는 데 이용한다. 이때 쓰이는...
아마쿠사 해[天草灘]에 접해 있으며, 주산업은 농업으로서 규슈 북부의 공업도시들에 공급되는 쌀을 비롯하여 비단, 이구사[藺草:다타미 짜는 데 쓰는 골풀], 담배 등의 환금작물을 재배한다. 산지에서는 임업이, 해안과 섬에서는 어업이 주산업이다. 공업부문에서는 가공식품, 면직물, 화학제품, 펄프와 제지, 도자기...
세토나이카이[瀨戶內海]와 접한다. 농업이 주도산업이다. 남부 지역은 일본에서 농업기술과 기계화가 가장 발달한 지역 중의 하나로, 쌀·포도·복숭아와 다타미(일본식 돗자리)의 원료인 골풀, 면화 등과 그밖의 환금작물을 재배한다. 그러나 내륙 산악지대의 산업은 영세하며 주로 임업과 소규모 목축에 의존하고 있다...
가지는 사람. 일본 국민. 민족적 분류:일본의 문화, 언어(일본어), 역사, 혈통 등을 공유하는 사람. 일본에서는 위의 두 분류가 섞여 사용되는 일이 많다. 다타미 일본 전통 가옥의 마루 위에 까는 것으로, 짚을 심으로 삼아 만든 돗자리와 같은 직사각형의 매트리스이다. 크기는 대개 약90cm×180cm의 장방형으로...
등장했다. 1900년대에 들어 일제의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도시화·공업화가 추진됨에 따라 여관이 번성하게 되었다. 당시의 여관은 주로 일본풍으로 다타미 방을 갖추고 있었으나 8.15해방 이후 대부분 온돌방으로 개조되었다. 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산업화·공업화가 진행되면서 도시로의 인구이동이 활발해짐에...
세토나이카이 해안부의 도시들에서 이루어지며 농업은 벼농사와 내륙의 포도·감·복숭아 재배가 중심을 이룬다. 도쿠가와 시대[德川時代 : 1603~1867]에는 다타미·면직물·쪽염료·나막신·배 등을 생산해 세토나이카이를 통해 오사카[大阪]로 운송했다. 1690년에 작은 농촌이자 어촌인 니이하마[新居浜] 부근에서...
유지하여 책임자로 가로 나리타 요리야스를 연임시켰다. 문무를 장려하고 농촌을 진흥하는 데에 힘썼으며, 니혼마쓰 반코야키, 가와사키 종이, 히라이시 다타미, 오히라 곶감 등의 특산물이 이때 탄생하였다. 그 외에도 양잠업을 장려하고 말 시장, 비단 시장 등을 개설하였다. 그러나 재해와 치수 공사 등으로 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