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이쇼 데모크라시 Taisho Democracy
    1905년 러일전쟁 비강화운동을 배경으로 정우회와 한바쓰 세력 간의 정권교대 노선이 생겨난 시기부터, 제1회 보통선거에서 3개의 합법 무산정당이 성립된 1926년을 정점으로 하여, 만주사변 전후 시기까지 지속된 시대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정당이 정치권력의 주체로서 정통성을 확립하고 그 지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본 , 선거
  • 다이쇼 데모크라시 (관련어 다이쇼데모크라시) Taishō Democra..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신해 혁명 발발에서 치안 유지법 시행까지(1911~1925년) 일본에서 정치, 사회, 문화 각 방면에서 일어난 민주주의, 자유주의적인 운동, 풍조, 사조의 총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일본 제국)에서 일어난 최대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운동을 묶어 일컫는 말이다. 정치 부분에서는 호헌 운동...
    도서 위키백과
  • 일본의 근현대사 (관련어 다이쇼 데모크라시)
    일본의 메이지 유신 이후 현대까지의 역사.|메이지 유신 메이지[明治] 유신으로 불리는 1868년의 왕정복고는 수세기 동안 경영되어온 한 체제의 종말이었다. 역사의 변화에 더이상 기능하기 힘든 체제 자체의 구조적 모순과 때맞추어 가해진 외압이라는 이중의 위기가 반체제 행동에 의하여 해결을 본 것이다. 거사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일본
  • 다이쇼 정변 Taishō political crisis, 大正政変
    최고 실력자가 되었고 하라는 1918년 조각의 대명까지 받게 된다. 하라는 3년만에 암살되지만 이후에도 정우회는 일본 정치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으며 1940년 대정익찬회에 합류할 때까지 원내1당의 자리를 오랫동안 유지했다. 게이엔 시대 호헌 운동 다이쇼 데모크라시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 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
    도서 위키백과
  • 다이쇼 신수 대장경 Taishō Tripiṭaka, 大正新脩大蔵経
    대일본불교전서》(大日本佛敎全書) 151권 등 대규모 활자판 대장경이 출판되어서 새로운 대장경을 출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에는 문화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불교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기풍이 있었고, 과거 일본 고승들의 불경을 많이 재출판했다. 1917년(다이쇼 6년) 도쿄대학...
    도서 위키백과
  • 다이쇼 로망 Taishō Roman, 大正ロマン
    또한 대전경기와 투기의 성공으로 졸부(成金) 계층이 등장하면서 입신출세의 야망이 관직 뿐 아니라 사업을 향해서도 열리게 되었다. 중산층 사이에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민본주의가 대두, 일반 민중과 여성의 지위향상을 꾀하게 되었고,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문예・미술・음악・연극 등 예술이 유포되어...
    도서 위키백과
  • 다이쇼 시대 Taishō era, 大正
    大正)는 《역경》(易經) 〈임괘〉(臨卦)의 대형이정 천지도야(大亨以正 天之道也,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하는 것이 곧 하늘의 도이다.)에서 따온 글자이다.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비롯한 민권주의 운동이 일어난 시기이다. 간토 대지진 가메이도 사건 다이쇼 천황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연대 대조표 다이쇼 서기...
    도서 위키백과
  • 대정 사망, 소화 원년
    인사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했다. 게다가 건강이 나빠 1919년부터 황태자 히로히토(裕仁)가 섭정을 했다. 하지만 그의 치세에 일본에서는 이른바 ‘다이쇼(大正) 데모크라시’라 해서 한때 정당정치가 꽃피기도 했다. 황태자 시절인 1907년 조선을 방문했으며 이를 계기로 한국어를 공부한 적도 있다고 한다. 다이쇼 천황...
    간행/발행 :
    중외일보(1926년 12월 26일)
  • 주오코론 中央公論, Chuo koron
    주오코론〉을 문단의 등용문으로 삼고, 동시에 시사평론 방면에서는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와 오야마 이쿠오[大山郁夫] 등을 중용함으로써 다이쇼[大正] 데모크라시의 기수 역할을 담당했다. 1925년 다키타가 죽은 후에는 시마나카 유사쿠[嶋中雄作]가 편집 주간이 되었고, 1928년 사장이 되었다. 쇼와 시대[昭和時代...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전후민주주의 戦後民主主義
    전후민주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 보급된 민주주의 사상과 가치관을 총체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전후민주주의는 종종 전전 시대의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대비되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전후민주주의라는 말은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전후민주주의"를 설명하는 학문적 정설은 아직 존재하지 않으며...
    도서 위키백과
  • 호헌 운동 護憲運動, 護憲運動
    준 사건이었다. 대중 운동이 사실상 정당을 압박해 객관적 주도력은 민중이 쥐고 있었던 셈이다. 청년층과 실업가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으며 이 사건은 다이쇼 데모크라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18년 정우회를 이끄는 하라가 총리로 지명받으면서 명실상부한 첫 정당 내각이 등장했다. 하지만 1921년 하라가...
    도서 위키백과
  • 제3차 가쓰라 내각 第3次桂内閣, 第三次桂內閣
    의사당을 둘러싼 군중은 격앙돼 도쿄 시내는 대혼란에 빠지게 됐다. 중의원 의장 오오카 이쿠조의 설득으로 가쓰라는 내각 총사직을 결단하였다(다이쇼 데모크라시). 직후에 가쓰라는 병으로 쓰러져 사망하였으며, 신당 입헌동지회의 출범을 볼 수 없었다. 한편 일련의 혼란 속에서도 야마가타의 지위는 변함이 없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