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이달로스 조각 Daedalic sculpture
    전설적인 그리스 예술가 다이달로스가 창조했다는 조각 양식.|다이달로스는 청동시대(그리스 신화에서 황금과 은 시대 이후에 오는 전쟁과 폭력의 시대)에 크레타 섬에서 살았다고도 하고, 청동시대 이후의 고대기에 그리스에서 살았다는 전설도 있다. 전설에서 그는 실재 인물, 혹은 신화적 화신으로 등장한다. 작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다이달로스 (관련어 다이달로스 조각) Daidalo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건축가·조각가. (영). Daedalus.|크레타 섬의 미노스 왕을 위하여 전형적인 미궁을 지었다고 한다. 미노스 왕의 총애를 잃고 감옥에 갇혔다가 밀랍과 깃털로 날개를 만들어 아들인 이카로스와 함께 시칠리아로 도망쳤다. 그러나 이카로스는 태양에 너무 가까이 가는 바람에 날개가 녹아 바다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프리먼 다이슨과 다이달로스 포스트휴먼 상상, 미래의 몸을 열다
    파시파에가 황소에게 반해버린다는 것이었다. 파시파에는 황소에 대한 사랑으로 상사병에 걸릴 지경에 이른다. 이때 다이달로스 등장한다. 다이달로스는 그리스에서 아주 이름난 장인이었다. 조각에 뛰어난 솜씨를 가지고 있어 아프로디테 조각상을 만들기도 했다. 미노스 왕의 신임을 얻은 그는 왕비를 위해 황소와 꼭...
  • 그리스의 조각
    보편화되면서 인물묘사에 있어서 정형화된 양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즉 다이달로스 양식(이 양식이 특히 번성했던 크레타 섬의 전설적인 장인 다이달로스의 이름을 딴 것임)이라 불리는 양식이 자리잡게 됨으로써 기하학기의 미니어처 조각에서 그 가능성이 제시되었던 자연주의와 자유로운 표현이 막을 내리게 되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조각
    유해가 안치되어 있는 오두막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에트루리아 문명은 그리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에트루리아의 아케익풍 조각들은 그리스 아케익 시대의 다이달로스 전통을 그대로 따랐다. BC 550년경에는 양식의 변화가 생겨나 조각상들이 이오니아식 특징을 띠게 되었다. 에트루리아 조각은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소 , 미술
  • 크레타의 미궁
    밖으로 탈출해 날아오르게 된 이카로스는 기쁨에 들떠 하늘 위를 향했다. 한낮의 뜨거운 태양은 이카로스의 날개 사이사이의 밀랍을 녹여 버렸고 이카로스는 산산 조각나 흩어진 깃털들과 함께 바다로 추락해 생을 마감하고 만다. 한편 무사히 이웃 나라 섬에 도착한 다이달로스는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며 이 섬 저 섬을...
  • 신화시대의 그리스 미술
    섬세한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 그리스의 전설적 미술가이자 발명가인 다이달로스(Daedalus)가 만든 조각상들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가당치 않은 허풍처럼 들린다. 하지만 훨씬 오래 전부터 이집트 조각이 실현한 사실성을 전혀 접해보지 못했고, 〈키클라데스 여인상〉의 표현력에만...
  • 카노바 Antonio, Marchese d'Ischia Canova
    받은 〈다이달로스와 이카로스 Daedalus and Icarus〉는 최초의 주요작품이다. 로코코 양식을 띤 이 조상은 너무 사실적이어서 살아 있는 모델에 석고를 부어 만든 것이 아니냐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1779~80년 로마에 머물면서 스코틀랜드의 화가이자 화상인 개빈 해밀턴을 비롯한 당대의 주요미술가들과 만났으며...
    출생 :
    1757. 11. 1, 베네치아 포사뇨
    사망 :
    1822. 10. 13, 베네치아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안토니오 카노바 Antonio Canova, アントニオ・カノーヴァ
    베르나르디(Giuseppe Bernardi)의 작업장에서 견습생으로 일했다. 1776년에는 조각 작품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를 제작했으며 1779년에는 조각 작품 《다이달로스와 이카로스》를 제작했다. 1780년 12월 28일에 로마에 정착하면서부터 고대 로마의 유적을 연구했다. 조각 작품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로스》(1781년...
    도서 위키백과
  • 글립토테크 Glyptothek, グリュプトテーク
    앞쪽에는 다이달로스, 프로메테우스, 하드리아누스, 페리클레스, 피디아스, 헤파이스토스 등이 있다. 서쪽과 동쪽에는 베르텔 토르발센과 안토니오 카노바 등 르네상스 및 글립토테크가 세워진 당시의 조각가들이 있으며, 이들의 작품들은 한때 글립토테크의 관에서 전시됐으나 이후에 노이어 피나코테크로 옮겨졌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