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르마수트라 dharmasutra
    최초의 힌두교 법전.|인간 행동에 대한 여러 권의 교본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이들 교본은 주로 사람들 사이의 관계 및 사람과 국가의 관계에 대한 규범들을 간결하게 요약한 규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르마수트라는 카스트 제도의 실제적인 규정과 사회적·경제적·종교적 관계에서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규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다르마샤스트라 Dharma-sastra
    와 브리티(vṛtti:연속된 각 스므리티에 대한 해설)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니반다와 브리티는 법률적인 조언을 목적으로 한 사법 관계의 글로서, 서로 이질적인 수트라와 스므리티를 조화시키는 데 상당히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 다르마샤스트라의 기법은 주로 고대문헌·격언·시구 등을 적고, 그 뜻이 애매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法, dharma
    4가지 목표 가운데 하나이다. 사람은 자신의 계급과 지위 및 생활형편에 따라 이것을 지켜야 한다. 다르마를 주제로 하는 가장 오래된 힌두교 율법서인 〈다르마수트라 Dharma-sūtra〉는 세월이 흐르면서 내용이 확충되어 〈다르마샤스트라(法典) dharmaśāstra〉라는 긴 율법서로 편찬되었다(→ 다르마수트라). 불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슈라우타수트라 Srauta-sutra
    문헌에 기초를 두므로 슈라우타라고 불린다. 슈라우타 수트라는 가정의례를 다루는 〈가정경 Grhya-sutras〉, 행동규범을 다루는 〈다르마 수트라 Dharma-sutras〉와 함께 〈칼파 수트라 Kalpa-sutras〉를 구성한다. 이 〈칼파 수트라〉는 베다의 각 학파들에서 나타난 경구서 전집이다. 각 슈라우타 수트라는 특정 의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가정경 家庭經, Grhya-sutra
    베다의 제의를 다룬 〈슈라우타수트라 Srauta-sutra〉 및 행위규범을 다룬 〈다르마수트라 Dharma-sutra〉('義務經'이라는 뜻)와 함께 〈칼파수트라 Kalpa-sutra〉, 즉 베다(인도 최초의 성전)의 여러 학파에서 채집한 금언 모음서를 구성한다. 사람이 자신을 의식하면서부터 장례식을 치를 때까지 인생의 각 단계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힌두교 , 종교
  • 칼파수트라 Kalpa-sutra
    이러한 편람은 인도 최초의 성전인 베다의 여러 학파에서 많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각 학파의 희생의식(슈라우타수트라)·가정의식(가정경)·생활규범(다르마수트라)에 관한 각각의 절차를 설명한다. 이들은 경(sutra :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벼리')이라는 짧은 경구 형식으로 씌어져 있기 때문에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리아바르타 Āryāvarta, 雅利安·伐爾塔
    것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되었다.Sfn 10세기의 구르자라-프라티하라 황제들은 아리아바르타의 마하라자디라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바우다야나 다르마수트라(BDS) 1.1.2.10(기원전 8~6세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에서는 아리아바르타가 칼라카바나 서쪽, 아다르사나 동쪽, 히말라야 남쪽, 빈디야 북쪽에 있는 땅...
    도서 위키백과
  • 미망사 푸르바 미망사, Mimamsa
    라 불린다. 이 학파 최초의 저작은 자이미니(BC 4세기경)가 쓴 〈미망사 수트라 Mῑmāṃsā-sūtra〉이다. 이에 대한 중요한 주석서는 샤바라스바민(BC 1세기?)이...를 포함한 수많은 주석가와 교사들이 그 뒤를 이었다. 미망사의 목표는 다르마에 대한 깨달음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 학파에서 다르마는 적절하게 행하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드비자 Dvija, ドヴィジャ
    서적 인용 드비자라는 단어는 베다나 우파니샤드에도 없고, 슈라우타수트라나 그리야수트라와 같은 베당가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이 단어는 다르마수트라 문헌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기원전 1세기 중후반의 다르마사스트라 문헌에서 이 단어에 대한 언급이 점점 더 많이 등장한다. 드비자라는 단어의 존재는...
    도서 위키백과
  • 미망사 학파의 제사철학
    망사수트라). 이것이 1차적인 목적이지만 이 학파는 곧 경전에 대한 해석원리의 발전, 의미론과 해석학적 이론들로 나아갔다. BC 4세기경에 경전을 지은 자이미니는 초기 미망사 작가들, 특히 바다리(Bādari)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 바다리의 주장으로 간주되는 견해에 따르면 베다 명령은 자기의 이익에 대한 기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스므리티 Smṛti, 斯姆里蒂
    으로서의 스므리티는 베다 시대 이후인 기원전 500년경에 성립되었다. 성전(聖傳)으로서의 스므리티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수트라(Sūtras) 이티하사(Itihāsas)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 푸라나(Purāṇas) 우파베다(Upaveda) 아가마(Āgama) 수트라(Sūtras)에는 크게 베단가(Vedāṅga)의 수트라와...
    도서 위키백과
  • 브라만교에 대한 힌두교의 도전
    BC 600년경에는 수트라(짧은 암기용 문장) 형식으로 제의·의식·생활규범을 정리한 〈천계경(天啓經 Srauta-sutra)〉·〈가정경(家庭經 Grhya-sutra...律法經) Dharma-sutra〉 등이 나타났다. 사회는 네 계층과 각각의 의무(다르마)에 의해 통제되었고 개인은 탄생에서 죽음까지 많은 통과의례에 의해 정화되었다. 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