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르마샤스트라 Dharma-sastra
    의무경(義務經)으로서 고대 인도의 법률.|파키스탄·말레이시아·동아프리카 등 인도 이외의 여러 국가에 사는 힌두교도들에게는 아직도 근본적으로 가족법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도의 경우 국회에서 현실에 맞도록 수정하여 실정법으로 시행하고 있다. 다르마샤스트라는 재판절차를 폭넓게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다르마샤스트라 (관련어 다르마 샤스트라) Dharmaśās..
    다르마샤스트라는 산스크리트 문헌으로 샤스트라 또는 신앙과 법적 임무와 관련된 것이다. 다르마샤스트라의 두꺼운 문헌은 원래 인도의 브라만 전통의 산물이며 전문가 전통의 고상한 학자적인 체계를 나타낸다. 그 복잡함 때문에 다르마샤스트라는 초기 영국 식민 행정가들에 의해 인도의 힌두인들의 땅의 법으로 여겨...
    도서 위키백과
  • Dharmaśāstra 다르마 샤스트라, ダルマ・シャーストラ
    Dharmaśāstra is a genre of Sanskrit texts and refers to the śāstra, or Indic branch of learning, pertaining to Hindu or Sanathana dharma, religious and legal duty. The voluminous textual corpus of Dharmaśāstra is primarily a product of the Brahmanical tradition in India and represents the elab...
  • 마누 법전 마나바 다르마 샤스트라, Manu-smrti
    정식 이름은 마나바 다르마 샤스트라(Mānava-dharmaśāstra)이다. 전설상 인류의 시조이며 법을 만든 자인 마누가 지었다고 전해지며 지금의 형태로 법전이 만들어진 것은 BC 1세기경부터이다. 마누 법전은 힌두인이 지켜야 할 다르마(法)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것은 힌두인이 4개의 사회계급(varna) 중 한 구성원으로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다르마수트라 dharmasutra
    것이었다. 이 시들은 인기를 끌게 되었고, 결국에는 규범집 전체가 시의 형태로 되었다. 전에 존재하던 다르마수트라를 이처럼 시의 형태로 각색한 것을 다르마샤스트라(Dharma-śāstra)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다르마샤스트라라는 용어는 인도의 종교생활 및 사회생활을 지배하는 관습과 관례 전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샤스트라 Shastra, シャーストラ
    문헌을 뜻한다. 예를 들어, 용수의 《대지도론》과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은 각각 고타마 붓다 또는 붓다의 지위에 속한 존재들이 설한 《반야경》과 《금강삼매경》의 주석서이다. 이 때문에 경(經)이라고 하지 않고 론(論)이라고 한다. 다르마샤스트라 아르타샤스트라 대승 경전 불교 둘러보기힌두교 둘러보기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法, dharma
    따라 이것을 지켜야 한다. 다르마를 주제로 하는 가장 오래된 힌두교 율법서인 〈다르마수트라 Dharma-sūtra〉는 세월이 흐르면서 내용이 확충되어 〈다르마샤스트라(法典) dharmaśāstra〉라는 긴 율법서로 편찬되었다(→ 다르마수트라). 불교에서는 부처가 선언한 우주의 원리로서, 모든 시대의 모든 사람에게 공통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푸시야미트라 숭가 Pushyamitra Shunga, プシャミトラ
    계 왕국들을 자주 정벌하였으며, 야바나인들에게 승리할 때마다 브라만교의 대규모 의식인 아슈바메다를 거행하였다. 또한 오늘날 힌두교의 대표적인 다르마샤스트라 중 하나인 마누 법전의 편찬을 최초로 실시하는 등 브라만교를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다. 푸시야미트라는 기원전 149년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도서 위키백과
  • 초기 힌두교
    여신들이 비중을 더해갔다. 비슈누의 배우자인 락슈미 여신은 기원전부터 숭앙되었고, 시바의 배우자 두르가 여신은 4세기부터 중시되기 시작했다. 〈다르마 샤스트라 律法論〉는 힌두인의 일상생활과 행동, 윤리적 규범, 의례, 사법 문제까지 연관된 문헌으로서 〈가우타마〉·〈바우다야나〉·〈아파스다바〉 등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푸라나 Purana
    신기원을 이루는 사건들, 왕가의 역사이다. 푸라나는 주제상 바라타족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 Mahābhārata〉와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으며, 〈다르마샤스트라 Dharmaśāstra〉라고 불리는 의례서들과도 다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중심적 주제를 바탕으로 400~1000년에 그밖의 관습, 의례, 제사, 축제, 카스트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와레루 Wareru
    유일한 지배자가 되었고 마르타반에 수도를 정했다. 그는 명목상으로는 람캄하엥의 가신이었지만 중국의 쿠빌라이 칸과 독자적인 외교관계를 맺었다. 재위중 현존하는 미얀마의 가장 오래된 법전 〈다르마 샤스트라 Dharma-śāstra〉 혹은 〈담마타트 Dhammathat〉를 편찬했다고 한다. 와레루는 손자들에게 살해되었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한타와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자티 jati
    집단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쓰인다. 사회학적으로는 힌두 사회 내의 카스트 집단을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힌두 법전(다르마 샤스트라)을 만드는 사람들은 자티를 바르나(사회계급)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고, 경우에 따라 이를 4개 바르나(브라만·크샤트리아·바이샤·수드라) 간의 결혼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