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라니 陀羅尼다라니는 지혜나 삼매 또는 산스크리트어 음을 번역 없이 외는 진언을 가리키는 불교용어이다. 총지·능지·능차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범문의 짧은 구절을 진언 또는 주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 또는 대주라고 한다. 대체로 악을 없애고 복을 빌 때, 죽은 이의 명복을 빌 때, 또는 불보살을 공양하거나 참...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진언과 다라니의 차이는진언(mantra)은 불보살 등의 서원이나 덕, 또는 가르침이나 지혜를 나타내는 신비로운 주문으로, 산스크리트를 번역하지 않고 음사하여 읽는다. 보통 비교적 짧은 주문을 진언이라 하고, 긴 주문을 다라니(dhāraṇī)라고 하지만 엄밀하게 구별하지는 않는다. 언어 표기법 경전 표기법
-
고양 원각사 고려시대 다라니 일괄 진언, 高陽 圓覺寺 高麗時代 陀羅尼 一括서지사항 각종 다라니는 간행 시기, 크기, 구성이나 행자 수가 일정하지 않다. 1150년(고려 의종 4)에 간행된 『대비로자나성불경등 일대성교중 무상일승제경소설 일체비밀다라니(大毘盧遮那成佛經等 一代聖敎中 無上一乘諸經所說 一切一切秘密陀羅尼)』는 세로가 5.0㎝에 불과하고, 1152년(고려 의종 6)에 간행된...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불설해백생원결다라니 불설해백생원가경(佛說解百生怨家經), 佛說解百生寃結陀羅尼말씀하시기를 미래의 말법 세상에서 중생들이 죄를 짓고 그 원한으로 복수가 이어지는 것을 막고자 한다면 선남자, 선여인이 7일 동안 목욕 재계하고 이 다라니(陀羅尼) 108편과 보광보살마하살의 명호를 매일 아침 외우면 집안의 원한이 소멸되고 만나지 않게 된다고 설하였다는 것이다. 본문과 진언이 끝난 뒤 권말의...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수구다라니 隨求陀羅尼내용 ‘수구’는 중생이 소원을 구하면 성취한다는 뜻으로서, 이 다라니의 효험에서 이름지어진 것이다. 갖은 이름(具稱)은 『불설금강정 유가최승비밀성불수구즉득신변가지성취다라니(佛說金剛頂瑜伽最勝秘密成佛수求卽得神變加持成就陀羅尼)』이지만, 보통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 또는 『수구다라니』라...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일월수 다라니주머니 日月繡 陀羅尼주머니개설 다라니주머니란 긴 범문(梵文) 구절을 써 넣은 주머니를 말하는 것으로, 이 유물은 연화화생도(蓮花化生圖)가 수놓인 주머니 1쌍이다. 연화화생은 불교를 믿는 신자들이 서방정토에 왕생하는 것을 극락의 연화 위에 피는 것으로 비유한 것이다. 2개의 모양이 똑같은 연화등(蓮花燈) 모양의 연두색 주머니이며, 불교...
- 유형 :
- 유물
- 분야 :
- 생활/의생활
-
불정존승다라니경 발문 가구영험불정존승다라니기발문(加句靈驗佛頂尊勝陀羅尼記跋文), 佛頂尊勝陀..내용 861년 무렵 발해 사신 이거정(李居正)이 가구영험불정존승다라니를 일본에 전해주었는데, 이 다라니에는 당대(唐代) 무철(武徹)이 이 다라니와 관련해 경험한 여러 이적과 존승다라니의 영험 그리고 존승다라니경 번역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서두에는 무철의 다라니에 얽힌 이야기가 나온다. 다음으로는...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불교경전 요약, 천수경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 千手經몸과 마음을 바쳐 믿고 의지하니, 보살펴주시고 소원이 모두 이루어져 큰 기쁨을 얻게 하소서. 거듭거듭 간곡히 아룁니다. 이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 또는 ‘대비주(大悲呪)’라고도 한다. 이어서 도량을 청정하게 하는 〈사방찬(四方讚)〉과 〈도량찬(道場讚)〉이 나오고, 다음이 〈참회게...
-
십이문다라니경소 十二門陀羅尼經疏서지적 사항 일본 승려 에이쵸[永超]가 찬술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홍경록(弘經錄) 1과 승려 평조(平祚)가 편찬한 『법상종장소(法相宗章疏)』에는 1권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일실되어 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저작자 :
- 경흥(憬興)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